$\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태 첨가가 배추김치의 숙성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cklonia cava on the Quality Kimchi during Ferment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1, 2013년, pp.83 - 88  

이현아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송영옥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미순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안전과) ,  한지숙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감태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김치를 제조한 후 $5^{\circ}C$에서 28일 동안 숙성시키면서, pH와 산도, 젖산균수 변화, 환원당 함량, 색도의 변화 및 관능성을 측정하였다. pH 및 산도는 담근 초기에는 감태 첨가량이 많을수록 pH는 낮아지고 산도는 높았다. 그러나 감태 첨가량이 많을수록 pH가 완만하게 감소되어 감태 첨가 김치의 발효숙성이 더디어짐을 알 수 있었다. Leuconostoc sp.와 Lactobacillus sp. 등의 젖산균수는 담금 초기에는 감태 첨가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발효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Leuconostoc sp.의 경우 배추김치는 숙성 16일째, 감태 첨가 김치에서는 숙성 20일째까지 그 수가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환원당 함량에서는 감태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환원당의 함량도 높았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모든 군에서의 환원당 함량이 감소되었다. 감태 첨가 김치는 발효가 진행될수록 명도가 감소하였고, 감태김치의 적색도는 적숙기까지는 증가하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생김치일 때 관능적 특성을 보면 전체적인 선호도는 감태를 첨가한 것이 첨가하지 않은 배추김치보다 높았고, 감태 첨가량에 따른 선호도는 15%가 가장 높았다. 적숙기 상태의 김치에서도 생김치일 때와 동일하게 감태 15% 첨가 김치의 평가가 가장 좋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mprove kimchi qualities, Ecklonia (E.) cava of 5%, 15% or 25% were added and the qualities investigated by measuring changes in physic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during fermentation at $5^{\circ}C$. The pH of kimchi with E. cava added decreased and acidi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까지 감태에 대한 연구로는 항산화(18), 항염증(19), 항암(20), 항고혈압 및 항당뇨(21) 등의 생리활성이 입증되어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음이 보고되고 있으나 감태를 김치에 활용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유용한 기능성을 지니고 있는 감태를 부재료로 이용하여 첨가량을 달리한 김치를 담근 후 감태 첨가 김치의 발효특성 및 관능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태의 국내 분포 지역은? 본 연구에 사용된 감태(Ecklonia cava)는 일본 및 우리나라에만 분포하는 갈조식물 다시마목(Laminariales) 미역과(Alar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해조류로 우리나라에서는 독도와 동해남부 및 제주도를 포함한 남해안 일대 연안에 분포하며 전복과 소라 등의 먹이나 alginic acid의 원료로만 사용되고 있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해조류이다(16,17). 현재까지 감태에 대한 연구로는 항산화(18), 항염증(19), 항암(20), 항고혈압 및 항당뇨(21) 등의 생리활성이 입증되어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음이 보고되고 있으나 감태를 김치에 활용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감태의 분류학적 위치는? 본 연구에 사용된 감태(Ecklonia cava)는 일본 및 우리나라에만 분포하는 갈조식물 다시마목(Laminariales) 미역과(Alar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해조류로 우리나라에서는 독도와 동해남부 및 제주도를 포함한 남해안 일대 연안에 분포하며 전복과 소라 등의 먹이나 alginic acid의 원료로만 사용되고 있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해조류이다(16,17). 현재까지 감태에 대한 연구로는 항산화(18), 항염증(19), 항암(20), 항고혈압 및 항당뇨(21) 등의 생리활성이 입증되어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음이 보고되고 있으나 감태를 김치에 활용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감태 첨가 김치의 발효 숙성 중 Leuconostoc sp.의 수가 최대치를 나타내는 시기가 일반 배추김치에 비해 늦는 것이 시사하는 바는? 본 연구에서 김치에 감태를 첨가하면 Leuconostoc sp.의 수가 최대치로 나타나는 시기가 지연되어, 이는 감태 첨가가 김치 젖산균의 최대 생성시기를 늦추어 감태 첨가 김치의 숙성을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김치 젖산균의 경우 발효 초기에는 Leuconostoc sp.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ang BH, Seo JS, Jeong EJ. 2008. A method for maintaining good kimchi quality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Nutr 21: 51-55. 

  2. Lee MK, Rhee KK, Jang DJ. 2007. A survey of research papers on Korean kimchi and R&D trends. Korean J Food Culture 22: 104-114. 

  3. Sim KH, Han YS. 2008. Effect of red pepper seed on kimchi antioxidant activity during fermentation. Food Sci Biotechnol 17: 295-301. 

  4. Kim YJ, Pak WS, Koo KH, Kim MR, Jang JJ. 2000. Inhibitory effect of Baechu kimchi (Chinese cabbage kimchi ) and Kakduki (radish kimchi) on diethylnitrosamine and D-galactosamine induced hepatocarcinogenesis. Food Sci Biotechnol 9: 89-94. 

  5. Lee JJ, Lee YM, Kim AR, Chang HC, Lee MY. 2008. Effect of Leuconostoc kimchi GJ2 isolated from kimchi (fermented Korean cabbage) on lipid metabolism in high cholesterolfed rats. Korean J Food Preserv 15: 760-768. 

  6. Kim M, Lee SJ, Seul KJ, Park YM, Ghim SY. 2009. Characteriza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 produced by Lactobacillus paraplantarum KNUC25 isolated from kimchi .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7: 24-32. 

  7. Sung JM, Choi HY. 2009. Effects of Alaska Pollack addi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Korean salted cabbage). Korean J Food Preserv 16: 772-781. 

  8. Park LY, Jeong TS, Lee SH. 2008. Effects of Chaenomelis Fructus water extrac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l-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15: 669-674. 

  9. Bae MS, Lee SC. 2008.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added Styelaclava.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573-579. 

  10. Shin SM, La SH, Choi MK. 2007.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mulberry leaf powder. Korean J Food & Nutr 20: 53-62. 

  11. Jung YK, Oh SH, Kim SD. 2007.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wamaegi added kimchi. Korean J Food Preserv 14: 526-530. 

  12. Yoon SS. 2008. A historical study of Korean traditional Kimchi.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Seoul, Korea. p 56-61. 

  13. Kim SS. 1985. A scientific consider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p 92-97. 

  14. Kim SB, Lee TG, Park YB, Yeum DB, Kim YK, Do JR, Park YH. 1994.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peptic hydrolyzates of anchovy muscle protein. J Korean Fish Soc 27: 1-6. 

  15. Opstvedt J. 1984. Fish fats. In Fats Animal Nutrition. Wiseman J, ed. Butterworth, London, UK. p 53-82. 

  16. Kim JA, Lee JM. 2004. The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Ecklonia cava according to the drying methods. Korean Acad Family Medicine 42:193-203. 

  17. Kang SR, Kim MH. 2009. The effect of Ecklonia cava extracts on bone turnover markers in ovariectomized rats. J Life Sci 19: 1841-1846. 

  18. Athukorala Y, Kim KN, Jeon YJ. 2006. Antiproliferative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an enzymatic hydrolysate from brown alga, Ecklonia cava. Food Chem Toxicol 44: 1065- 1074. 

  19. Shin HC, Hwang HJ, Kang KJ, Lee BH. 2006. An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gent for potential treatment of osteoarthritis from Ecklonia cava. Arch Pharm Res 29: 165-171. 

  20. Kong CS, Kim JA, Yoon NY, Kim SK. 2009. Induction of apoptosis by phloroglucinol derivative from Ecklonia cava in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s. Food Chem Toxicol 47: 1653-1658. 

  21. Lee SH, Li Y, Karadeniz F, Kim MM, Kim SK. 2009. $\alpha$ -Glucosidase and $\alpha$ -amylase inhibitory activities of phloroglucinal derivatives from edible marine brown alga, Ecklonia cava. J Sci Food Agric 89: 1552-1558. 

  22. Ku HS, Noh JS, Yun YR, Kim HJ, Kwon MJ, Cheigh HS, Song YO. 2007. Weight reduction and lipid lowering effect of sea tangle added Korean cabbage kimchi .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140-1147. 

  23. Shin HS. 1983. Theory and investigation of food analysis. Shinkwang Publishing Corp., Seoul, Korea. p 166-250. 

  24. James GC, Sherman N. 1987. Microbiology: A laboratory manual. 2nd ed. Benjamin/Cummings Pub., New York, NY, USA. p 76. 

  25. Yang YJ. 2004. A study on development of American preference kimchi with diet functionality.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p 10. 

  26. Kim KO, Kim SS, Sung RK, Lee YC. 1989. Method and adaptation of sensory test. Shinkwang Publishing Corp., Seoul, Korea. p 196-219. 

  27. SAS. 1992. User's guide: Statistics.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28. Park BH, Cho HS, Oh BY. 2002. Phy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imchi treated with chitosan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Human Ecol 5: 85-93. 

  29. Park WP, Cho YB, Lee SC, Kim JM, Lee MJ. 2001. Changes in kimchi quality as affected by the addition of boiled-dried fusiforme .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834-838. 

  30. Park SK, Cho YS, Park JR, Moon JS, Lee YS. 1995. Changes in the contents of sugar, organic acid, free amino acid and nucleic acid related compounds during fermentation of mustard leaf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4: 48-53. 

  31. Hong SP, Cho GS. 1995. Chemical components and functionality of seeweeds. Report of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Seongnam, Korea. Vol 8, p 3-14. 

  32. Cho Y, Yi JH, Hwang IK. 1998.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by addition of different kinds of minor ingredients. Korean J Soc Food Sci 14: 1-10. 

  33. Mheen TI, Kwon TW. 1984.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43-450. 

  34. Moon SW, Lee MK. 2011. Effects of added harvey powder on the quality of Yulmoo Kimchi .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435-443. 

  35. Park WP, Park KD, Kim JH, Cho YB, Lee MJ. 2000. Effect of washing conditions in salted Chinese cabbage on the quality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30-34. 

  36. Kim MK, Hwa GH, Kim MJ, Kim SD. 1994. Change in color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Nutr 23: 274-27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