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줄날도래(Hydropsyche kozhantschikovi) 에탄올 추출물이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활성산소에 의한 세포와 DNA의 손상 억제력을 조사하였다. 줄날도래 에탄올 추출물의 DPPH 유리 라디칼과 수산화 라디칼 제거능은 대조군에 비해 각각 60.4%, 60.0%로 나타났으며, $Fe^{2+}$-chelating 효과는 37.5%로 조사되었다. 줄날도래 추출물이 활성산소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손상에 미치는 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지질과산화의 상대적 수준과 p21 단백질의 발현율을 해보면 줄날도래 추출물은 라디칼 처리군에 비해 지질과산화를 거의 완벽하게 억제하고 있으며, p21 단백질의 발현은 대조군의 92.2%로 회복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줄날도래 추출물의 DNA 분절화 억제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74.1%로 나타나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DNA 분절화를 효율적으로 억제하고 있으며, H2AX 단백질의 인산화비는 라디칼 처리군의 16.7%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조사되어 줄날도래 추출물은 히스톤 단백질의 인산화를 83.3%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줄날도래 추출물은 활성산소에 대한 항산화 효과 뿐만 아니라 세포와 DNA의 손상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Hydropsyche kozhantschikovi on cell and DNA damage caused by oxidative stress. In a radical scavenging assay, compared with ascorbic acid used as a control, the level of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and that of hydroxy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새로운 생물자원으로 부각되고 있는 곤충류에서 새로운 생리활성물질에 대한 추적은 매우 필요한 연구 분야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하천에 매우 풍부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수질오염에 대한 내성이 매우 강한 수서 곤충인 줄날도래(Hydropsyche kozhantschikovi)를 사용하여 이의 항산화능과 세포와 DNA의 산화적 손상에 따른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줄날도래 추출물에 의해 생성이 억제되는 인체 내 2차 산화물은 무엇인가?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줄날도래 추출물은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유리 라디칼과 생체 내 강한 독성을 나타내는 수산화 라디칼을 제거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O2·-, H2O2, ROO·-등과 같은 2차 산화물의 생성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세포의 비정상적인 증식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진 p21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유리 라디칼에 의한 DNA의 분절화와 DNA의 인산화를 억제시켜 DNA의 open circular form 전환과 phospho-H2AX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화스트레스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가 직접적으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는 산화스트레스에 의해 생성되며, 직접적으로 지질, 단백질, DNA 등을 손상시켜 동맥경화증, 암, 노화 등 여러 질병을 유발하고 있다[23]. 이러한 산화촉진물질은 생체 내 산화억제물질과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고 있으나, 흡연, 각종 환경오염물질, 알코올, 약물, 방사선, 격렬한 운동 등 여러 물리, 화학적 요인에 의해 산화촉진과 산화억제의 균형상태가 무너지게 되면 활성산소의 과다 발생으로 세포 내 여러 구성성분인 지질, 단백질의 산화로 인해 다양한 퇴행성 질환의 유발되고 유전독성에 따른 생체 기능이 저하되게 된다[16, 21, 23].
줄날도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DPPH 유리 라디칼과 수산화 라디칼 제거능 측정 결과는? 64%로 나타나 뚜렷한 활성을 보이지 않는다고 보고된 바 있다[14]. 본 연구에서도 줄날도래 추출물의 DPPH 유리 라디칼과 수산화 라디칼 제거능은 각각 60.0%, 43.7%의 활성을 보였으며 Fe2+-chelating 효과는 37.5%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Hong, S. C., Jeong, J. B. and Jeong, J. H. 2008. Buddleja officinalis prevents the normal cells from oxidative damage via antioxidant activity. Korean J Plant Res 21, 449-456. 

  2. Heo, J. C., Park, J. Y., Hwang, J. S., Park, H. C., Kang, S. W., Hwang, S. J., Yun, C. Y., Kwon, T. K. and Lee, S. H. 2006. Comparison of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and Cyclooxygenase-2 promoter inhibitory activity in Harmonia axyridis Pallas and Coccinella septempunctata Linne. Korean J Food Preserv 13, 513-518. 

  3. Hsu, B., Coupar, I. M. and Ng, K. 2006. Antioxidant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 from the fruit of the doum palm, Hyphaene thebaica. Food Chem 98, 317-328. 

  4. Jeong, J. B., Hong, S. C. and Jeong, H. J. 2009a. 3, 4-Dihydroxybenzaldehyde purified from the barley seeds (Hordeum vulgare) inhibits oxidative DNA damage and apoptosis via its antioxidant activity. Phytomedicine 16, 85-94. 

  5. Jeong, I. Y., Lee, J. S., Oh, H., Jeong, U. H., Park, H. R. and Jo, S. K. 2003. Inhibitory effect of hot-water extracts of Paeonia japonica on oxidative stress and identification of its active compon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39-744. 

  6. Jeong, J. B., Park, J. H., Lee, H. K., Ju, S. Y., Hong, S. C., Lee, J. R., Chung, G. Y., Lim, J. H. and Jeong, H. J. 2009. Protective effect of the extracts from Cnidium officinale against oxidative damage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via antioxidant effect. Food Chem Toxicol 47, 525-529. 

  7. Kang, K. A., Zhang, R., Piao, M. J., Ko, D. O., Wang, Z. H., Kim, B. J., Park, J. W., Kim, H. S., Kim, D. H. and Hyun, J. W. 2008. Protective effect of irisolidone, a metabolite of kakkalide, against hydrogen peroxide induced cell damage via antioxidant effect. Bioorg Med Chem 16, 1133-1141. 

  8. Kim, J. W., Moon, B. S., Park, Y. M., Yoo, N. H., Ryoo, I. J., Nguyen, T. C., Yoo, I. D. and Kim, J. P. 2005. Structur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iketopiperazines isolated from the mushroom Sarcodon aspratu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93-97. 

  9. Kim, K. M., Park, C., Choi, Y. H. and Lee, W. H. 2008. Induction of apoptosis by water extract of Cordyceps militaris (WECM) in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G2 Cells. J Life Sci 18, 804-813. 

  10. Lightfoot, T., Skibola, C. F., Smith, A. G., Forrest, M. S., Adamson, P. J., Morgan, G. J., Bracci, P. M., Roman, E., Smith, M. T. and Holly, E. Z. 2006. Polymorphisms in the oxidative stress genes,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peroxidase and catalase and risk of non-Hodgkin’s lymphoma. Br J Haematol 91, 1222-1227. 

  11. Looi, M. L., Mohd Dali, A. Z., Md Ali, S. A., Wan Ngah, W. Z. and Mohd Yusof, Y. A. 2008. Oxidative damage and antioxidant status in patients with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and carcinoma of the cervix. Eur J Cancer Prev 17, 555-560. 

  12. Martinez, G. R., Loureiro, A. P. M., Marques, S. A., Miyamoto, S., Yamaguchi, L. F., Onuki, J., Almeida, E. A., Garcia, C. C. M., Barbosa, L. F., Medeiros, M. H. G. and Di Mascio, P. 2003. Oxidative and alkylating damage in DNA. Mutat Res 544, 115-127. 

  13. McKee, T. and McKee, J. R. 2002. Biochemistry: the molecular basis of life. McGraw-Hill, New York. 

  14. Park, S. Y. and Chin, K. B. 2007.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in pork patties containing bokbunja (Rubus coreanus) extract.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7, 432-439. 

  15. Park, J. Y., Heo, J. C., An, S. M., Yun, E. Y., Han, S. M., Hwang, J. S., Kang, S. W., Yun, C. Y. and Lee, S. H. 2005. High throughput-compatible screening of anti-oxidative substances by insect extract library. Korean J Food Preserv 12, 482-488. 

  16. Park, M. H., Kang, S. M., Jung, H. Y. and Hong, S. G. 2003. Protecting effects of vitamine E against immobilization stress-induced oxidative damage in rat brain. Korean J Nutr 36, 570-576. 

  17. Park, J. Y., Heo, J. C., Woo, S. U., Yun, C. Y., Kang, S. W., Hwang, J. S. and Lee, S. H. 2006. Anti-inflammatory and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n hydrogen peroxide-induced cytotoxicity of grasshopper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3, 796-802. 

  18. Park, Y. M., Jeong, J. B., Seo, J. H., Lim, J. H., Jeong, H. J. and Seo, E. W. 2011. Inhibitory effect of red bean (Phaseolus angularis) hot water extracts on oxidative DNA and cell damage. Korean J Plant Res 24, 130-138. 

  19. Park, Y. M., Lim, J. H., Jeong, H. J. and Seo, E. W. 2011. Effect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s on oxidative damage. J Exp Biomed Sci 17, 69-77. 

  20. Park, Y. M., Kim, J. I., Lee, C. H., Lim, J. H. and Seo, E. W. 2011. Effect of Dendranthema indicum extracts on cell and DNA damage induced by oxidative stress. J Life Sci 21, 1698-1704. 

  21. Punchard, N. A. and Kelly, F. J. 1996. A practical approach, pp. 1-8, In Punchard, N. A. and F. J. Kelly (eds.), Free radicals.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22. Smirnoff, N. and Cumbes, Q. J. 1989.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ompatible solutes. Phytochemistry 28, 1057-1060. 

  23. Thannickal, V. J. and Fanburg, B. L. 2000. Reactive oxygen species in cell signaling. Am J Physiol Lung Cell Mol Physiol 279, 1005-1029. 

  24. Valko, M., Leibfritz, D., Moncol, J., Cronin, M. T., Mazur, M. and Telser, J. 2007.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s and human disease. Int J Biochem Cell Biol 39, 44-84. 

  25. Yoon, W. J., Lee, J. A., Kim, J. Y., Kim, S. B. and Park, S. Y. 2007. Antioxidant activ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 of the Anomala albopilos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670-677. 

  26. You, H. J., Oh, D. H, Choi, C. Y., Lee, D. G., Hahm, K. S., Moon, A. R. and Jeong, H. G. 2002. Protective effect of metallothionein-III on DNA damage in response to reactive oxygen species. Biochim Biophys Acta 1573, 33-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