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의 휴대전화 중독 사정을 위한 부모용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Cell Phone Addiction Scale for Korean Parents of Young Children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19 no.1, 2013년, pp.29 - 38  

구현영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휴대전화 중독 사정을 위한 부모용 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는 것이다. 방법 아동의 휴대전화 중독 사정에 대한 개념적 기틀 설정, 예비 문항 작성, 내용 타당도 검정 및 사전 조사를 통해 최종 20문항을 구성하였고, 초등학교 1-6학년 아동의 부모 465명과 4-6학년 아동 178명을 대상으로 구성타당도, 준거타당도, 신뢰도 검정을 하였다. 결과 문항분석 결과 해당문항 제외 시 ${\alpha}$값의 변화가 .92-.93의 범위였고, corrected item-total correlation 계수가 .50-.76의 범위였다. 요인분석 결과 금단, 통제력 상실, 집착의 세 요인이 추출되었고, 세 요인의 설명변량은 60.30%였다. 준거타당도 검정 결과 휴대전화 중독은 자기통제력과 역상관 관계가 있었고, 아동이 응답한 휴대전화 중독, 충동성, 문자메시지 발신 및 수신횟수, 통화횟수 및 시간과 순상관 관계가 있었다. 신뢰도 검정 결과 Cronbach's ${\alpha}$가 .94였고, 반분법에 의한 Guttman의 신뢰도 계수가 .87이었다. 휴대전화 중독 정도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표준점수를 활용하여 70점 이상이면 휴대전화 고위험사용군, 63점 이상이고 70점 미만이면 위험사용군, 63점 미만이면 일반사용군으로 구분하였다. 결론 아동의 휴대전화 중독 사정을 위한 부모용 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도구로 아동의 휴대전화 중독을 조기 발견하고, 적합한 중재를 개발하여 제공하며, 중재 효과를 평가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cell phone addiction scale for Korean parents of young children, an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veloped scale. Methods: The scale was developed through construction of a conceptual framework, generation of initial items, verification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아동의 휴대전화 중독 사정을 위한 부모용 도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1-6학년 아동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개방형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기초로 문항을 작성하였고, 어머니가 사용한 표현을 고려하여 문장을 기술하였다. 또한 휴대전화 신제품이 빠르게 출시되고, 휴대전화 통화가능지역이 전국으로 확대되며, 휴대전화 충전서비스 시설을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게 되면서, 이전 도구에서 사용되었던 ‘사용불가 지역에 있으면 불안하다’(Jang & Chae, 2006), ‘배터리 잔량이 적어질수록 불안하고 초조해진다’(Lee, 2008) 등의 문항은 포함되지 못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휴대전화 중독 사정을 위한 부모용 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휴대전화 중독 사정을 위한 부모용 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는 것이다.
  • 또한 부모는 아동의 과도한 휴대전화 사용을 걱정하며, 휴대전화 중독 진단과 관리 등에 대한 교육 요구가 아동보다 더 높았으므로(Koo, 2011), 부모용 도구 개발과 같은 구체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휴대전화 중독 사정을 위한 부모용 도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함으로써, 아동의 휴대전화 중독을 조기 발견하여 관리하는 데에 활용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러한 과정을 통해 휴대전화가 없거나 사용할 수 없을 때 불안하고 초조하며 견딜 수 없는 금단, 휴대전화를 점점 더 많이 사용해야 만족하는 내성, 휴대전화로 인해 학업에 집중하지 못하는 등 일상생활이 방해되는 생활 장애, 휴대전화를 항상 몸에 지니고 다니며 사용에 지나치게 관심이 집중되어 있는 집착을 휴대전화 중독의 개념적 기틀로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장기 아동의 과도한 휴대전화 사용이 초래할 수 있는 문제는? 과도한 휴대전화 사용은 정신건강 문제와 관련되며(Song, 2006), 오랫동안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경우 휴대전화에서 나오는 전자파로 인한 뇌조직 손상과 뇌종양의 위험이 알려지고 있다(Hardell, Carlberg, Söderqvist, Mild, & Morgan, 2007). 성장기에 있는 아동은 휴대전화 사용으로 인한 피해가 성인보다 심각한데(Dimonte & Ricchiuto, 2006), 아동은 휴대전화를 항상 몸에 지닌 채 지내고,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며, 과다한 요금 때문에 부모와 갈등을 겪기도 한다(Ko, 2006). 또한 위험한 장소를 걷거나 도로를 건너는 것과 같이 주의를 집중해야 할 때도 휴대전화를 사용하여 안전사고 위험이 높다(Bianchi & Phillips, 2005).
휴대전화의 초등학생 사용자수가 느는 배경은? 휴대전화의 기능 향상과 신제품 출시 및 업체의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으로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시기가 점점 빨라져서 초등학생 사용자수가 늘고 있으며, 휴대전화 사용으로 인한 문제도 이른 시기부터 나타나고 있다. 과도한 휴대전화 사용은 정신건강 문제와 관련되며(Song, 2006), 오랫동안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경우 휴대전화에서 나오는 전자파로 인한 뇌조직 손상과 뇌종양의 위험이 알려지고 있다(Hardell, Carlberg, Söderqvist, Mild, & Morgan, 2007).
과도한 휴대전화 사용가 끼칠 수 있는 악영향은? 휴대전화의 기능 향상과 신제품 출시 및 업체의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으로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시기가 점점 빨라져서 초등학생 사용자수가 늘고 있으며, 휴대전화 사용으로 인한 문제도 이른 시기부터 나타나고 있다. 과도한 휴대전화 사용은 정신건강 문제와 관련되며(Song, 2006), 오랫동안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경우 휴대전화에서 나오는 전자파로 인한 뇌조직 손상과 뇌종양의 위험이 알려지고 있다(Hardell, Carlberg, Söderqvist, Mild, & Morgan, 2007). 성장기에 있는 아동은 휴대전화 사용으로 인한 피해가 성인보다 심각한데(Dimonte & Ricchiuto, 2006), 아동은 휴대전화를 항상 몸에 지닌 채 지내고,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며, 과다한 요금 때문에 부모와 갈등을 겪기도 한다(Ko,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rratt, E. S., & White, R. (1969). Impulsiveness and anxiety related to medical students' performance and attitudes.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44, 604-607. 

  2. Bianchi, A., & Phillips, J. G. (2005). Psychological predictors of problem mobile phone use. Cyberpsychology & Behaviors, 8, 39-51. 

  3. Dimonte, M., & Ricchiuto, G. (2006). Mobile phone and young people: A survey pilot study to explore the controversial aspects of a new social phenomenon. Minerva Pediatrica, 58, 357-363. 

  4. Goldberg, I. (1996). Internet addiction electronic message posted to research discussionist. Retrieved December 27, 2004, from http://www.rider.edu/ users/suler/psycyber/supportgp.html. 

  5. Han, J. L., & Hur, G. H. (2004).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mobile phone addiction scal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8, 138-165. 

  6. Hardell, L., Carlberg, M., Soderqvist, F., Mild, K. H., & Morgan, L. L. (2007). Long-term use of cellular phones and brain tumours: Increased risk associated with use for 10 years.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64, 626-632. 

  7. Hockenberry, M. J., & Wilson, D. W. (2011). Wong's nursing care of infants and children. (9th ed.). St. Louis, MO: Elsevier. 

  8. Jang, H. J., & Chae, K. M. (2006).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ith technological addiction: Cellular phone addiction.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1, 839-852. 

  9. Kendall, P. C., & Wilcox, L. E. (1979). Self-control in children: development of a rating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 1020-1029. 

  10. Kim, B. K., Yun, S. O., & Lee, H. G. (2006). The analysis for the causes of mobile phone addiction. Seoul: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 Promotion. 

  11. Kim, K. H. (2002). The psychological perspectives of addictive behavior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7, 159-179. 

  12. Ko, J. H. (2006). Saving my child who addicted cellular phone. Seoul: Yedam. 

  13. Koo, H. Y. (2009). Development of a cell phone addiction scale for Korea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818-828. http:// dx.doi.org/10.4040/jkan.2009.39.6.818 

  14. Koo, H. Y. (2010). Cell phone addiction in highschool students and its predict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6, 203-210. http://dx.doi.org/10.4094/jkachn.2010.16.3.203 

  15. Koo, H. Y. (2011). Educational needs for children and parents regarding children's cell phone us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 296-305. 

  16. Koo, H. Y., & Park, H. S. (2010). Factors inuencing cell 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6, 56-65. http://dx.doi.org/10.4094/jkachn.2010.16.1.56. 

  17. Koo, H. Y., & Yoo, M. S.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of a cell phone addiction scale for Korean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8, 76-84. http://dx.doi.org/10.4094/jkachn. 2012.18.2.76 

  18. Lee, E. O., Im, N. Y., Park, H. A., Lee, I. S., Kim, J. I., Bae, J. I., et al. (2009). Nursing/medical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Seoul: Soomoonsa. 

  19. Lee, G. S., & Lee, J. H. (2008). Children's cellular phone usage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usage and self-ecacy and self-control.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7, 271-278. 

  20. Lee, H. G. (2008). Exploration the predicting variables affecting the addictive mobile phone use. Korean Journal of Social & Personality Psychology, 22, 133-157. 

  21. Lee, H. J., Kim, M. S., Son, H. K., Ahn, S. H., Kim, J. S., & Kim, Y. H. (2007). Discriminating power of socio-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variables on addictive use of cellular phone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957-965. 

  22. Lee, H. S. (1992). Impulsiveness test guide. Seoul: Hankook guidance. 

  23. Lee, J. S., & Myung, S. Y. (2007). A study of adolescents' peer relation and school life mal adjustment according to their mobile phone use and addictio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5, 67-86. 

  24.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and Promotion. (2003). Internet addiction self-report questionnaires (K-tool) and prevention and education program. Seoul: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and Promotion. 

  25. Moon, J. S. (1997). Nursing research. Seoul: Shinkwang. 

  26. Moon, Y. I., Koo, H. Y., & Park, H. R. (2005). Scope of internet addiction and predictors of addiction in Korean children in early elementary school.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1, 263-272. 

  27. Song, E. J.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ing mobile phone and mental health state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5, 325-333. 

  28. Young, K. S. (1998). Caught in the net: How to recognize the signs of internet addiction and a winning strategy for recovery. NY: John Wiley & Sons, Inc.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