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중선택 시험에서 부정행위자 발견을 위한 새로운 통계적 측도
A New Statistical Index for Detecting Cheaters on Multiple Choice Tests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26 no.1, 2013년, pp.81 - 92  

한은수 (국립보건연구원 연구기획과) ,  임요한 (서울대학교 통계학과) ,  이경은 (경북대학교 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학문적 진실성(academic integrity)을 위반하는 잠재적 부적행위를 판단할 때, 잘못된 결정을 피하기 위해서는 확고한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교육학 연구자들은 부정행위를 발견 혹은 확신 할 수 있는 많은 통계적인 방법들을 발전시켰다. 그러나, 대부분의 방법들은 단순히 상관계수를 기초로한 방법들이어서 종종 응답자들의 패턴을 설명하기가 어렵다. 이 논문에서는, 이런 어려움을 해결하기 해결하기 위하여 표준화된 부호 엔트로피 유사성 점수(Standardized Signed Entropy Similarity Score)라는 새로운 통계적인 측도를 제안한다. 또한, 이 제안한 방법을 실제 시험 자료를 이용 부정행위자를 발견하는데 적용하였고, 다른 기존의 방법들과 비교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important to construct a firm basis for accusing potential violators of academic integrity in order to avoid spurious accusations and false convictions. Educational researchers have developed many statistical methods that can either uncover or confirm cases of cheating on tests. However, mos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X, Y)를 표준화하기 위해, S(X, Y)의 평균과 분산을 살펴보자. 먼저, x′kWkyk의 평균과 분산을 각각 µk#라 하자.
  • 본 논문에서, 우리는 선다형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확인하기 위한 새로운 통계적 유사성 측도를 제안했다. 이 지표는 수험자들의 선택한 선택지 빈도의 분포에 따라 가중치를 고려한, 즉 각 문항의 난이도를 반영한 응답일치도로서 정답/오답과 무관하게 된다.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부호화된 엔트로피(signed entropy)를 정의, 이용하여 문항의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유사성 측도를 제안한다. 각 문항의 부호화된 엔트로피는 해당 문항의 각 선택항목에 대하여 수험자들의 응답의 통일성을 나타내는 측도로 문항당 선택항목들에 대하여 비중을 정의한다.
  • 이번 절에서는 Angoff (1974), Bellezza와 Bellezza (1989), Crawford (1930), 그리고 Kling (Holland, 1996)에 의하여 제안된 네 가지의 유사성 측도에 대하여 간단히 소개하려고 한다.

가설 설정

  • N명 수험자는 K개 문제로 이루어진 시험을 치는 것을 가정한다. 게다가 각 문제는 J 선택지를 가지는 것을 가정한다.
  • N명 수험자는 K개 문제로 이루어진 시험을 치는 것을 가정한다. 게다가 각 문제는 J 선택지를 가지는 것을 가정한다. 그들의 응답들은 {Xi}, 여기서 i = 1, 2, .
  • 를 가지는 함께 곱 다항분포(Product Multinomial distribution), 수험자들 사이의 독립성, 그리고 각 수험자들의 응답사이의 독립성을 가정한다. 실제로, 수험자들 사이의 독립성과 각 수험자들의 응답사이의 독립성에 대한 가정은 어느 정도 이상적일 수 있다.
  • 이러한 기존의 측도들은 난이도와 같은 문항의 특성이 반영되어 있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면 A문항은 난이도가 높아 수험자이 모두 틀리는 문항이고 B문항은 난이도가 낮아 모두가 맞추는 문항이라 가정하자. 만일 두 수험자가 A문항을 같이 맞추고 B문항을 같이 다르게 답하면서 틀리는 경우가 그 반대의 경우 (B문항을 같이 맞추고 A문항을 다르게 답하며 두 수험자 모두 오답을 하는 경우)보다 유사성 측도가 높아야 한다.
  • 일반성을 잃지 않고 각 문항이 J개의 선택지가 있고 정답이 모두 1번인 K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시험이라고 가정하자. 수험자 A와 B의 답안을 각각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ngoff는 어떠한 지표를 개발하였는가? Crawford (1930)는 두 수험자의 전체 오답수(각 수험자의 오답수의 합)에 대한 두수험자의 일치하는 오답수의 상대적인 비율을 구한 후 부정행위가 없는 모든 쌍들의 상대적인 오답비율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해 표준화 시킨 지표를 제안하였고, Angoff (1974)는 두 수험자의 오답일치수(같은 오답을 선택한 문항수)를 표준화 시킨 지표를 개발하였다. Bellezza와 Bellezza (1989)은 두 수험자의 공통 오답 수(오답의 일치와는 상관없이 같이 틀린 문항수) 중 두 수험자의 오답일치수의 분포를 이용하여 p-값을 계산하였고, 1979년 Frederick Kling이 처음 K-지표를 고안했으며 (발표된 논문이 없었음) Holland (1996)가 K-지표와 관련한 이론적인 것들을 발표하였다.
Crawford의 지표는 무엇인가? 먼저, Crawford의 지표는 부정행위를 하지 않은 수험자들(근처 자리가 아닌 수험자들)의 랜덤표본을 추출하여 각 쌍들의 오답일치수의 상대적비율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특정수험자들의 오답일치 수의 상대적 비율이 평균비율과 차이나는 지 검정한 것이다. 시험이 강의실 두 곳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강의실 다른 수험자들은 부정행위 혐의가 전혀 없으므로 그러한 수험자들의 쌍들, 675(= 27 × 25) 쌍들의 오답일치수의 상대적 비율들을 이용하였다.
Angoff의 B-지표의 분포는 무엇에 따라 많이 달라질 수 있는가? Angoff의 B-지표는 Wi · Wj의 비슷한 값들끼리 묶어 그룹으로 묶어 그 그룹안에서 QAB를 표준화한것이다. 그룹 수에 따라 B-지표의 분포는 많이 달라질 수 있다. 그룹 수를 1개에서 부터 점차 늘려보았는데, 그룹 수에 따라 지표의 변동이 심한 것을 볼 수 있었고, Table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Angoff, W. H. (1974). The development of statistical indices for detecting cheater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69, 44-49. 

  2. Bellezza, F. S. and Bellezza, S. F. (1989). Detection of cheating on multiple-choice tests by using error similarity analysis, Teaching of Psychology, 16, 151-155. 

  3. Buss, W. G. and Novick, M. R. (1980). The detection of cheating on standardized tests: Statistical and legal analysis, Journal of Law and Education, 9, 1-64. 

  4. Crawford, C. C. (1930). Dishonesty in objective tests, School Review, 38, 776-781. 

  5. Haney, W. M. (1993). Cheating and escheating on standardized test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Atlanta, GA. 

  6. Holland, P. W. (1996). Assessing unusual agreement between the incorrect answers of two examinees using the K-Index: Statistical theory and empirical support, ETS Research Report No.96-7. Princeton, NJ: Educational Testing Service. 

  7. Storey, J. D. (2003). The positive False Discovery Rate: A Bayesian interpretation and the q-value, The Annals of Statistics, 6, 2013-20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