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작업치료사가 사용하고 있는 self-care training 치료방법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Use of Self-care Training among Occupational Therapists in a Different Clinical Settings원문보기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작업치료사들이 사용하고 있는 자기관리훈련(self-care training) 치료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자기관리훈련에 관한 작업치료사들의 관점은 무엇인지 5년 이상의 임상 경험을 지닌 치료사들의 관점을 이해함으로써 신규 작업치료사들이 자기관리훈련에 대한 치료 방향 설정에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작업치료사가 사용하고 있는 자기관리훈련 치료방법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얻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 중 하나인 현상학적인 접근법을 사용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심층 설문지와 인터뷰를 병행하여 수행하였다. 결과 : 본 연구를 토대로 작업치료사가 주로 사용한 자기관리훈련 치료 전략을 크게 4가지로 요약하였다. 첫 번째 연령별 치료대상에 대한 치료전략을 아동과 성인으로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 있었으며, 두 번째 치료환경구성에 따른 치료전략을 클라이언트의 가정과 치료실에서 각각 다르게 구성할 수 있었다. 세 번째로 작업치료의 이론적 배경에 따른 치료전략 설정에서 작업에 기초한 치료를 사용하거나 클라이언트 중심의 치료 전략을 사용하였다. 네 번째는 자기인식을 통한 치료전략 중 동기부여 과정에서 서로 다른 매개체를 사용하여 작업에 대한 인식을 달리 하였다. 결론 : 자기관리훈련은 단순히 환자를 대상으로 ADL 훈련을 시행하는 것이 아니라 연령별 치료대상, 치료 환경구성, 작업치료의 이론적 배경과 클라이언트의 자기인식의 네 가지 항목별 치료전략을 이해하고 클라이언트 연령 및 환경에 가장 적합한 자기관리훈련 치료 전략을 설정함으로서 보다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할 것이다.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작업치료사들이 사용하고 있는 자기관리훈련(self-care training) 치료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자기관리훈련에 관한 작업치료사들의 관점은 무엇인지 5년 이상의 임상 경험을 지닌 치료사들의 관점을 이해함으로써 신규 작업치료사들이 자기관리훈련에 대한 치료 방향 설정에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작업치료사가 사용하고 있는 자기관리훈련 치료방법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얻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 중 하나인 현상학적인 접근법을 사용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심층 설문지와 인터뷰를 병행하여 수행하였다. 결과 : 본 연구를 토대로 작업치료사가 주로 사용한 자기관리훈련 치료 전략을 크게 4가지로 요약하였다. 첫 번째 연령별 치료대상에 대한 치료전략을 아동과 성인으로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 있었으며, 두 번째 치료환경구성에 따른 치료전략을 클라이언트의 가정과 치료실에서 각각 다르게 구성할 수 있었다. 세 번째로 작업치료의 이론적 배경에 따른 치료전략 설정에서 작업에 기초한 치료를 사용하거나 클라이언트 중심의 치료 전략을 사용하였다. 네 번째는 자기인식을 통한 치료전략 중 동기부여 과정에서 서로 다른 매개체를 사용하여 작업에 대한 인식을 달리 하였다. 결론 : 자기관리훈련은 단순히 환자를 대상으로 ADL 훈련을 시행하는 것이 아니라 연령별 치료대상, 치료 환경구성, 작업치료의 이론적 배경과 클라이언트의 자기인식의 네 가지 항목별 치료전략을 이해하고 클라이언트 연령 및 환경에 가장 적합한 자기관리훈련 치료 전략을 설정함으로서 보다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할 것이다.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understanding the procedure of self-care training in occupational therapy and exploring experienced occupational therapists' perspectives in self-care training Method : A phenomenological study design was used to collect information regarding use of self-c...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understanding the procedure of self-care training in occupational therapy and exploring experienced occupational therapists' perspectives in self-care training Method : A phenomenological study design was used to collect information regarding use of self-care training among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a different settings. The data collection process was conducted by using a structured interview and survey. Result : The self-care training strategies us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summarized to four main themes; 1. Different strategies for different age group, 2. Design therapeutic strategy rely on client's natural environment, 3. Use of theoretical background: occupation-based or client-centered, or both. 4. Use of self-awareness stragety; using different method to reflect self-awareness. Conclusion : The self-care training is not just simply conduct ADL training but understanding client's age, environment, theoretical background, and self-awareness of the client. Through eatablishing understandable self-care training strategy according to client's age and environment, the more effective self-care training would be possible.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understanding the procedure of self-care training in occupational therapy and exploring experienced occupational therapists' perspectives in self-care training Method : A phenomenological study design was used to collect information regarding use of self-care training among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a different settings. The data collection process was conducted by using a structured interview and survey. Result : The self-care training strategies us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summarized to four main themes; 1. Different strategies for different age group, 2. Design therapeutic strategy rely on client's natural environment, 3. Use of theoretical background: occupation-based or client-centered, or both. 4. Use of self-awareness stragety; using different method to reflect self-awareness. Conclusion : The self-care training is not just simply conduct ADL training but understanding client's age, environment, theoretical background, and self-awareness of the client. Through eatablishing understandable self-care training strategy according to client's age and environment, the more effective self-care training would be possibl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결론적으로 치료사가 환자에게 자기관리훈련을 적용할 시 어떠한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지 치료적 전략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며 신규 작업치료사에게 치료적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5년 이상 임상 경력을 가진 작업치료사들 이 뇌졸중, 척수손상환자, 장애 아동, 정신과적 문제를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자기관리훈련을 하는 동안에 사용하고 있는 치료적 중재 방법에 대해 현상학적 관점 에서 이해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작업치료사들이 사용하고 있는 자기관리훈련 치료과정은 무엇이며 자기관리훈련에 관한 작업치료사들의 관점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5명의 작업치료사에게 심층 설문지 및 인터뷰를 수행하였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참여한 치료사의 자기관리훈련에 대한 임상적 경험을 토대로 중재 시 중요한 부분들에 대한 치료적 전략에 대해 기술하였다. 클라이언트에게 가장 적합한 치료적 전략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초기 클라이언트와의 만남에서 작업치료사와 클라이언트의 서로간의 신뢰성을 갖출 수 있는 관계형성을 하고 클라이언트가 원하고 있는 활동과 그 활동에 대한 가치를 파악함과 동시에 self-care 수행에 어려운 점이 무엇인지 파악해야 한다.
제안 방법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에게 직접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2차 인터뷰를 진행한 자료를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해 설문지 자료 및 녹취된 인터뷰를 반복해서 읽고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에 밑줄을 그어 이해하도록 하였다.
현상학적 방법은 질적연구 방법이며, 참여자의 삶 전체의 경험을 기초로 한 현상을 연구한 구조와 특징, 본질을 기술하는 목적의 방법이다(Husserl, 1970). 자료 수집은 연구 참여자의 설문지를 통해 2013년 6월 3째 주부터 2013년 10월 2째 주 까지 약 3달 동안 진행 되었다. 설문지 초안을 작성한 후 작업치료학과 교수 1인의 검증을 토대로 연구 목적과 관련 없는 문항들은 수정 또는 삭제 하였으며 인터뷰에 사용할 최종 문항들을 확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연구 참여자의 설문지를 통해 2013년 6월 3째 주부터 2013년 10월 2째 주 까지 약 3달 동안 진행 되었다. 설문지 초안을 작성한 후 작업치료학과 교수 1인의 검증을 토대로 연구 목적과 관련 없는 문항들은 수정 또는 삭제 하였으며 인터뷰에 사용할 최종 문항들을 확정하였다. 참여자들은 질문에 응답할 시에 환자에게 적용하고 있는 자기관리훈련 활동경험을 가능한 자세하고 구체적으로 진술하도록 요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는 연구의 시작과 동시에 연구 결과의 편향을 없애기 위해 본인이 생각하는 자기관리훈련에 대한 가정, 편견, 혹은 선입견 등을 스스로 기술해봄으로써 참여자의 설문지 및 면담내용을 읽고 들으면서 비교 분석하여 중립성을 확보하였다.
둘째, 연구자는 연구결과 도출을 위해 Giorgi(1997)의 네 단계 자료 분석 절차를 엄수하여 적용하였고 모든 참여자의 설문지에 기록한 내용 및 필사한 자료집을 여러 차례 읽어 적용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Lincoln과 Guba(1985)의 엄밀성 평가 기준에 따라 사실적 가치, 적용성, 일관성, 중립성의 4가지 측면을 확인함으로써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치료 목표설정 접근 방법에 대해 클라이언트와 보호자가 가장 희망하는 수행할동이 무엇인지에 초점을 맞추어 설정하여 클라이언트 중심의 치료 전략을 사용하였다.
치료환경구성에 대한 자기관리훈련 치료전략을 분석한 결과 아동의 경우에는 치료실 안에서 시간 스케줄과 집 밖에서의 환경(캠프 등)에서 중재를 하였으며, 성인의 경우에는 병원 안에서 집과 가급적 유사하고 편의시설을 클라이언트가 경험해 볼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일상생활이 일어나는 상황에 가급적 유사한 상황을 설정해 진행하며, 지역사회의 경우에는 따로 ADL실을 구성하지 않고 실생활에서 직접 교육을 통한 치료를 진행하였다.
대상 데이터
연구 참여자는 작업치료를 전공하고 작업치료사 면허증을 취득하여 작업치료사로 병원 및 지역사회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 중에서 연구에 참여할 의사가 있는 5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목적적 표본 추출에 의해 선정되었다. 자신의 경험을 진솔하게 드러낼 수 있고, 현재 5년 이상의 근무경력을 가진 작업치료사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론/모형
작업치료사들이 사용하고 있는 자기관리훈련 방법에 대한 설문지 및 심층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자료 분석방법은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신경림, 조명옥과 양진향, 2004; Forinash, 1992;Forinash & Grocke, 2005).
성능/효과
첫째, 연구자가 면담내용을 분석 및 기술한 내용이 참여자의 진술과 일치함을 확인함으로서 사실적 가치를 확보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작업치료를 전공하고 작업치료사 면허증을 취득하여 작업치료사로 병원 및 지역사회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 중에서 연구에 참여할 의사가 있는 5명을 선정하였다.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참여자는 남성 3인, 여성 2인 총 5명이며 나이는 만32세에서 만 40세까지 평균 36세, 임상경력은 5년에서 16년까지 평균 10년 10개월 으로 현재 병원, 센터 및 지역사회에서 주5일 동안 환자를 치료하고 있었다. 연구자는 설문지를 작성을 하기 전에 참여자들에게 연구의 목적, 진행과정을 설명하고 설문지 작성 란에 동의서를 받았다.
연구 참여자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작업 치료사들이 사용하고 있는 자기관리훈련 치료과정에 대한 경험을 질적 분석을 한 결과 자기관리훈련에 있어서 치료사가 중요시 하는 부분에 대해 공통적인 주제로 분류하여 18개의 의미단위, 9개의 하위구성요소 및 4개의 구성요소, 1개의 큰 주제범위가 도출되었다 (표 3).
연구 결과 작업치료사가 사용하고 있는 자기관리훈련에 대한 치료전략은 연령별 치료대상, 치료환경구성, 작업치료의 이론적 배경과 자기인식을 통한 자기관리 훈련 네 가지로 나누어졌다.
아동의 경우 보호자와 함께 치료실을 방문하여 치료를 받으며, 센터내의 생활 프로그램을 통해 자기관리훈련 중재를 실시하는 치료적 환경 구성 및 치료 세팅에서 비롯한 것으로 사료되며, 성인의 경우 입원환자를 치료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입원환자의 경우에는 정해진 치료시간 안에 치료를 실시할 수 밖에 없으며 또한 병원 규정상 안전상의 문제로 인해 환자를 실제 환경에서 치료를 하기에는 제한점이 많아 병원내의 주어진 환경 안에서 중재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나온 결과와 각각의 치료적 전략을 설정할 때 연령별 치료대상에 경우 아동과 성인의 차이점을 볼 수 있었으며, 병원, 센터, 지역사회의 치료환경의 차이에 따른 치료적 전략도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었다.
후속연구
결론적으로 치료사가 환자에게 자기관리훈련을 적용할 시 어떠한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지 치료적 전략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며 신규 작업치료사에게 치료적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5년 이상 임상 경력을 가진 작업치료사들 이 뇌졸중, 척수손상환자, 장애 아동, 정신과적 문제를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자기관리훈련을 하는 동안에 사용하고 있는 치료적 중재 방법에 대해 현상학적 관점 에서 이해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치료목표를 설정할 시에 클라이언트 개개인의 환경을 고려하고, 클라이언트가 목표 설정에 참여하여 치료에 대한 목표를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도록 하여 클라이언트에게 동기부여를 제공함과 동시에 치료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치료적 전략을 사용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더 나아가 본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자기관리훈련 전략을 적용한 후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는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향후의 연구에서는 더 많은 집단군과 연구 참여자의 근무지 유형에 따른 연구가 필요하고, 연구의 방법을 다양화하여 분석하는 것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근무환경에서도 병원과 센터, 지역 센터에서 근무하는 치료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이 외의 근무환경에서 근무하는 치료사의 치료적 관점을 이해 할 수 없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성공적인 자기관리훈련을 하기위해서는 다양한 치료적 전략을 이해하고 적용하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의 대한 전반적이고 정확한 이해와 클라이언트의 환경적 요소에 따른 치료적 전략을 적절하게 설정해야 한다. 또한 신규 작업치료사들의 자기관리훈련의 치료적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임상의 작업치료사들이 사용하고 있는 자기관리훈련의 치료적 전략에 대한 다각도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elf-care란 무엇인가?
작업치료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는 장애를 가진 환자들의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기능적인 활동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며(Holm, Rogers & James, 2003), 일상생활동작은 인간의 삶에서 자기 관리를 스스로 유지하고 개인의 일들을 수행함으로써 자신의 역할과 자아성취를 이루는데 있다(Palmer & Toms, 1992). Self-care의 정의는 매일 자기 자신을 돌볼 때 수행하는 기본적인 활동들을 의미하며(Christiansen, 1994; Christiansen & Ottenbacher, 1998), 일상생활동 작은 보통 personal ADL(P-ADL)과 instrumental ADL(I-ADL)로 두 가지 영역으로 나뉜다(Fisher, 1997). 본 연구에서는 self-care의 용어는 P-ADL과 동의어로 사용하였으며, 작업치료사들이 사용하고 있는 P-ADL 용어는 전형적으로 화장실가기, 목욕하기, 옷 입기, 먹기, 몸단장을 포함한 개인 관리 영역을 포함한다 (Ashworth, beuben & Benton, 1994).
작업치료의 목적은 무엇인가?
작업치료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는 장애를 가진 환자들의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기능적인 활동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며(Holm, Rogers & James, 2003), 일상생활동작은 인간의 삶에서 자기 관리를 스스로 유지하고 개인의 일들을 수행함으로써 자신의 역할과 자아성취를 이루는데 있다(Palmer & Toms, 1992). Self-care의 정의는 매일 자기 자신을 돌볼 때 수행하는 기본적인 활동들을 의미하며(Christiansen, 1994; Christiansen & Ottenbacher, 1998), 일상생활동 작은 보통 personal ADL(P-ADL)과 instrumental ADL(I-ADL)로 두 가지 영역으로 나뉜다(Fisher, 1997).
일상생활동작의 영역 중 본 연구에서 self-care와 동의어로 사용한 것은 무엇인가?
Self-care의 정의는 매일 자기 자신을 돌볼 때 수행하는 기본적인 활동들을 의미하며(Christiansen, 1994; Christiansen & Ottenbacher, 1998), 일상생활동 작은 보통 personal ADL(P-ADL)과 instrumental ADL(I-ADL)로 두 가지 영역으로 나뉜다(Fisher, 1997). 본 연구에서는 self-care의 용어는 P-ADL과 동의어로 사용하였으며, 작업치료사들이 사용하고 있는 P-ADL 용어는 전형적으로 화장실가기, 목욕하기, 옷 입기, 먹기, 몸단장을 포함한 개인 관리 영역을 포함한다 (Ashworth, beuben & Benton, 1994). 자기관리훈련은 재활의 중재에 있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어지고 있는 치료방법이며(Taylor & Manguno, 1991; Neistadt &Seymore, 1995), 재활의 많은 영역인 신경학, 소아과학, 노인병학, 의학, 정형외과와 지역사회재활에서 작업치료사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Susanne & Kerstin, 2002).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