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작업기반 중재(Occupation-Based Practice)에 대한 인식 및 실행 조사연구
A Study of Awareness and Implementation of OBP(Occupation-Based Practice)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v.7 no.2, 2017년, pp.19 - 31  

장기연 (우송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작업치료사들의 작업기반 중재에 대한 인식도와 실행현황을 알아보고 이를 작업기반 중재 관련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 국내 임상작업치료사 300명을 편의 표집하여 구조화된 293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응답한 288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기반 중재에 대한 인식도는 평균 5.7점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연령과 임상경력이 많을수록 인식도가 높았으나 성별을 제외하고는 유의하지 않았다. 작업기반 중재를 접하게 된 계기는 전공수업, 논문 및 세미나, 동료의 소개 및 기타 등이었으며 연령과 학력, 기관소재지, 임상경력에 따라 관련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작업기반 중재를 임상에서 사용한다고 응답한 인원은 152명(52.8%)으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보다 많았다. 사용여부는 근무지를 제외하고 성별, 연령, 임상경력, 학력에 따른 관련성의 차이가 모두 유의미하지 않았다. 작업치료 전체 과정 중 상담, 중재, 목표설정, 평가와 문서화 순으로 작업기반 중재를 사용하는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작업기반 중재를 사용하는 목적은 클라이언트의 삶에서 의미있는 작업을 찾기, 클라이언트의 가정이나 지역사회활동에 참여를 촉진, 클라이언트 기능회복을 위한 치료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작업기반 작업치료를 시행하는 동안 어려움을 느꼈던 부분은 클라이언트 및 보호자의 작업에 대한 이해 부족이 가장 많았고 작업치료실 환경의 제약 및 도구의 부족, 관련 지식 및 활용방법 이해의 부족, 치료 준비 시간 부족, 치료비/보험 수가 적용의 어려움 등의 순으로 높은 응답을 보였다. 결론 : 작업기반 중재의 인식도와 실행 정도는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수준 및 치료환경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작업기반 중재를 현재보다 활성화하기 위한 교육의 시행과 임상 환경의 조성을 위해 제도적, 학술적 논의와 지원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study was to learn the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s' awareness and current state of implement of Occupation-Based Practice and to use it as a baseline data. Methods : After 300 Korean clinical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conveniently sampled, the structured 293 questionnaires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강개념의 변화와 지역사회중심 재활의 확대로 작업기반 중재를 통해 작업치료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제도 및 교육 개선의 노력과 방안 모색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국내 작업치료사들의 작업기반 중재에 대한 인식도와 실행현황을 알아보고 이를 작업기반 중재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시행하였다.
  • 이에 따라 작업치료 영역의 확대와 정체성 확립을 위해 치료적 활동을 기반으로 한 의료모델에서 작업기반 작업치료로의 적극적인 전환이 어느 때보다도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국내 작업치료사들의 작업기반 중재에 대한 인식도와 실행현황을 알아보고 이를 제도 및 학술적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의 임상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작업기반 중재에 대한 인식도와 실행 현황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 조사연구이다.
  • 이를 위해 우선, 작업기반 중재의 인식도와 현황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가 확보되어야 하나, 국내에 작업과 작업기반 중재 관련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Oh, 2015). 이에 본 연구는 작업을 기반으로 한 작업치료중재에 대한 임상가들의 인식과 필요성 및 실행 현황을 알아보고 작업기반 작업치료의 확대를 위한 제도적, 학술적 기초자료로 사용하는 목적으로 실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세계작업치료사협회는 2001년 국제 기능 분류 체계(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이하 ICF)의 개발 이후로 작업치료의 평가와 개입이 신체 구조나 기능이 아닌 작업에 기초해야한다고 강조했다(WFOT, 2014). 100년 전 전문분야로서 태동 이후 의료모델 중심(medical-based settings)의 부흥기를 거치면서 치료적 활동을 통해 신체구조와 기능의 회복에 중점을 두었다면 ICF 이후의 사회 및 생활모델에서는 작업치료사는 인간의 작업을 기반으로 하여 활동과 참여를 촉진하는 중재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작업기반 중재 작업치료는 대상자의 작업을 대상으로 한 삶의 질과 권리를 존중하는 활동과 참여 중심의 접근으로 어떤 전문영역보다도 지역사회중심 모델 하에서는 그 목적에 부합하는 분야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작업기반의 작업치료란 무엇인가? 작업을 수행한다는 것은 환경 내에서 대상자가 동기를 가지고 스스로 선택한 의미 있는 활동에 참여(engagement)함을 의미한다. 작업기반의 작업치료는 클라이언트 자신이 설정한 목표에 맞춰 클라이언트가 시행하는 작업으로 구성된 활동을 중심으로 행하는 치료의 형태를 말하며, 평가, 상담, 중재, 목표, 기록을 작업기반으로 하는 것이다(AOTA, 2014).
작업치료사의 임파워먼트 요소로 의미성이 가장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직업정체성은 직업적 성공, 사회적 적응, 심리적 웰빙(well-being) 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Yoo, Yoo, Chung, Bae, & Jo, 2014:재인용), Sim, Cha와 Oh(2009)의 연구에서는 작업치료사의 임파워먼트 요소로서는 의미성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고 하였다. 자신의 직업의 본질은 무엇인가 하는 질문에 대해 확실한 의미를 찾을 때 가장 전문가적 힘을 얻을 수 있다고 한 결과로, 작업의 명확한 개념에 대한 이해가 작업치료사의 정체성과 관련이 있음을 유추할 수 있겠다.
작업이란? 작업(Occupation)에 대한 다양한 정의의 공통점을 정리해 보면, 작업이란 개인과 문화에 따라 의미나 가치가 부여된 일상생활에서 행하는 활동의 집합인 것임을 알 수 있다. 작업은 단순히 사람이 행하는 동작과 활동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생활과 관련이 깊고, 의미나 가치가 포함된 포괄적인 개념이며, 작업이 치료적 가치를 지니기 위해서는 건강과 삶의 질, 정의에 반하지 않아야 한다(Townsend & Polatajko,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rbesman, M., & Mosley, L. J. (2012). Systematic Review of Occupation- and Activity-Based Health Management and Maintenance Interventions for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6(3), 277-283. 

  2. Arbesman, M., & Lieberman, D. (2012). Methodology for the Systematic Reviews on Occupation- and Activity-Based Intervention Related to Productive Aging.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6(3), 271-276. 

  3. Estes, J., & Pierce, D. E. (2012). Pediatric therapists' perspectives on occupation-based practice.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19, 17-25. 

  4. Fisher, A. G. (2014). Occupation-centred, occupationbased, occupation-focused: Same, same or different? Scandinavial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1, 96-107. 

  5. Hooper, B., Mitcham, M. D., Taff, S. D., Price, P., Krishnagiri, S., & Bilics, A. (2015). Energizing Occupation as the Center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9(Supplement 2), 1-5. 

  6. Japanese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2009) from http://www.jaot.or.jp/science/MTDLP.html. (accessed 20 June, 2017). 

  7. Johonson, J. J., & Schkade, J. K. (2001). Effects of an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On Mobility Problems Following a Cerebral Vascular Accident. Applied Gerontology, 20(1), 91-110. 

  8.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2017). from https://www.kaot.org/start.asp. (accessed 20 June, 2017). 

  9. Krishnagiri, S., Hooper, B., Price, P., Taff, S. D., & Bilics, A. (2017). Explicit or Hidden? Exploring How Occupation Is Taught in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a in the United States.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1(2), 1-9. 

  10. Lee, H. S., Chang, K. Y., Jung, M. Y., Ku, I. S., & Woo, H. S. (2014). Job Analysis of Occupational Therapists for 2013.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2), 89-112. 

  11. Oh, S. I. (2015). The Effects of Improved Quality of Daily Life Activities through a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on the Depression of Stroke Patient.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The Graduate School Hanseo University. Master's thesis. 

  12. Orellano, E., Colon, W. I., & Arbesman, M. (2012). Effect of Occupation- and Activity-Based Interventions 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rformance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6(3), 292-300. 

  13. Polatajko, H. J. (2001). National perspective: The evolution of our occupational perspective: The journey from diversion through therapeutic use to enablement.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8, 203-207. 

  14. Polatajko, H. J., Davis, J. A., Hobson, S., Landry, J. E., Mandich, D., Street, S. L., Yee, S., et al. (2004). Meeting the responsibility that comes with the privilege Introducing a taxonomic code for understanding occupation.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1(5), 261-264. 

  15. Price, P., & Miner, S. (2007). Occupation Emerges in the Process of Therapy.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1(4), 441-450. 

  16. Rogers, S. L. (2007).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in Medical-Based Settings. OT Practice, 12(15), 10-16. 

  17. Saito, Y., Tomori, K., Uezu, S., & Sawada, T. (2015). Case report from Occupation- How to write an occupational therapy outline- Igaku-shoin. 

  18. Schell, B. A. B., Gillen, G., & Scaffa, M. E. (2014). Willard & Spackman' 12th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Baltimore. 

  19. Sim, J. H., Cha, T. H., & Oh, D. W. (2009). A Study on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Perceived by Clinical Occupational Therapis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7(3), 111-120. 

  20. The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2014).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 process 3rd edition.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8, S1-S48. 

  21. Tomori, K., Nagayama, H., Ohno, K., Nagatan, R., Saito, Y., Takahashi, K., et al. (2014). Comparison of occupation-based and impairment-based occupational therapy for sub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feasibility study. Clinical Rehabilitation, 1-11. 

  22. Tomori, K., Uezu, S., Kinjo, S., et al. (2012). Utilization of the iPad application: aid for decision-making in occupation choice.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19, 88-97. 

  23. Townsend, E. A., & Polatajko, H. J. (2008). Enabling occupation II: Advancing an occupational therapy vision for health, well-being, and justice through occupation. ON: CAOT Publications ACE. 

  24. Wasmuth, S., Pritchard, K. & Kaneshiro, K. (2016).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for Addictive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Substance Abuse Treatment, 62, 1-9. 

  25. Wolf, T. J., Chuh, A., Floyd, T., McInnis, K., & Williams, E. (2015). Effectiveness of Occupation-Based Interventions to Improve Areas of Occup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After Stroke: An Evidence-Based Review.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9(1), 1-3A. 

  26. World Feder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Definition of Occupational Therapy, 2014. from Available at: http:// www.wfot.org/AboutUs/AboutOccupationalTherapy/Definition of Occupational Therapy. aspx.(accessed 20 June, 2017). 

  27.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Geneva, Switzerland; 2001. 

  28. Yoo, H. J., Yoo, T. Y., Chung, T. I., Bae, S. H., & Jo, A. R. (2014). Scale Development of Occupational Identity and Testing Model of Antecedents and outcome variables of Occupational Identity.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7(4), 617-6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