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점포에서 감성마케팅과 비주얼머천다이징이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to Consumer's Attitude influenced by Emotional Marketing and Visual Merchandising at Fashion Store 원문보기

패션비즈니스 = Fashion business, v.17 no.1, 2013년, pp.1 - 12  

김란임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이승희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consumer's attitude at fashion stor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marketing and visual merchandising.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0-30 young consumers at fashion store in 20-30s who live in Seoul and Daegu. Data were analyzed by 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즉, 패션 점포에서 감성마케팅과 비주얼 머천다이징 요소가 소비자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봄으로써 감성마케팅과 비주얼 머천다이징 효과성을 보다 심도 있게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성 마케팅이란? 감성 마케팅(emotional marketing)이란 고객들의 다양한 욕구에 맞추어 그들의 관심사, 라이프 스타일 등을 고려하여 고객의 입장에서 좀 더 그들에게 다가가는 마케팅 방법으로, 고객과의 지속적인 유대관계 속에서 그들이 제품 또는 서비스의 후원자가 되도록 만드는 것이며, 고객에게 감동을 줌으로서 회사와 브랜드에 대한 가치를 높이거나 신뢰를 높이는 적극적인 마케팅이다.7)
패션 점포 내의 감성마케팅과 비주얼 머천다이징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첫째, 감성마케팅은 패션점포의 감성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감성마케팅에 대하여 긍정적일수록 패션점포의 긍정적 감성반응 또한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비주얼 머천다이징은 패션점포의 감성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비주얼 머천다이징 인지가 높아질수록 패션점포의 긍정적 감성반응 또한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감성마케팅과 비주얼 머천다이징은 상호 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비주얼 머천다이징 인지가 높아질수록 감성마케팅에 대한 반응도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감성반응은 소비자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감성반응이 긍정적일수록 소비자의 태도 또한 호의적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감성마케팅과 비주얼 머천다이징 및 이들의 상호작용은 감성반응의 조절적 작용을 통해 소비자 태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감성마케팅과 비주얼 머천다이징은 소비자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하였고, 그 결과 감성마케팅과 비주얼 머천다이징 모두 소비자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감성마케팅과 비주얼 머천다이징 인지가 높아질수록 소비자의 긍정적 태도 또한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마케팅 영역에서 패션점포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한 이유는? 소비자가 가장 처음으로 접하는 매체로서 패션 점포의 감각적 요소가 소비자의 태도와 감정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마케팅 영역에서 연구의 대상이 되기 시작하였다. 서희경·이승희3)는 의복 만족도와 관련하여 소비자들이 처음에는 저렴한 가격과 디자인에 만족을 하였으나 점차 패션 환경이 변화하고 새로운 브랜드들이 진출함에 따라 판매원의 서비스, 매장정책 등이 소비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여 점포의 매장 정책의 중요성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Hyun Soeun(1999), "Where emotional marketing brings?", korea marketing association, 33(9), pp.11-81. 

  2. Park Hyunhee, Jeon Jungok(2008), "A study of the consumer response depending on visual merchandising type",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13(3), pp.1-20. 

  3. Suh Heekyung, Lee Seunghee(2011), "Shopping orientation and satisfaction with clothes of 20s women consumers using domestic/ global SPA bran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5), pp.501-512. 

  4. Peter, J. P., Olson, J. C. (1996), Consumer Behavior and Marketing Strategy (5th ed.), Homewood. Illinois: Irwin McGraw -Hill. 

  5. Hutcheson, G. D., Moutinho, L. (1998), "Measuring preferred store satisfaction using consumer choice criteria as a mediating factor",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14(7), pp.705-720. 

  6. Lee Koohyoung, Kim Byoungju, Jeong Il seok(2001), "Effects of multimodal stimulation human sensibility",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4(1), pp.43-51. 

  7. Shin Junggil, Moon Seungkwan, Moon Hyung nam(2004), Emotion management emotional leadership, Nexbiz. 

  8. Jung Dukjoo(2009), "A study of how emotional marketing strategy of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 affects consumer's purchasing decis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 master's dissertation. 

  9. Yoo Seungjae(2003), "A study on the role of design for brand building in new marketing are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2(1), pp.5-18. 

  10. Lee Soeun(2008), "Structural relations according to the VMD of clothes stores and brand awareness : with a focus on emotional reaction, brand image 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Doctoral thesis of Ewah Womans University. 

  11. Shim Nakhoon(1986), "Study of visual merchandising for department store display", Hongik University master's dissertation. 

  12. Lee Hojung(2000), Fashion merchandising, Kyohak Researcher, p.356. 

  13. Ahn Kwangho, Han Sangman, Jun Sung rul(1999), Strategic brand management, Hakwonsa. 

  14. Kim Youngmi(2009), "The influence on how visual reaction about department women clothing store's visual merchandising affect on brand attitude",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a doctor's dissertation. 

  15. Choi Sungjae(2001), "A reserch on how the emotional AD and rational AD effect differently on each generation", Yonsei University a master's dissertation. 

  16. Huh Jooyeun(2005), "The impacts of in-store sensory experience on the emotional reaction, store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costomers", Ewha Women's University master's dissertation. 

  17. Kim Seongho, Kim Cheolho(2005), "A study on portal sites user's service acceptance process in Korea",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18(1), pp. 275-105. 

  18. Kotler, P. (1974), "Atmosphere as a marketing tool", journal of retailing, 49(4), pp.48-64. 

  19. Mehrabian, A., Russell J. A. (1974), "An approach to environmental psychology", MIT Press, MA, pp.26-85. 

  20. Jeon Jungok, Park Hyunhee(200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ashion VMD cognition measurement instrument",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10(2), pp.117-139. 

  21. Park Hyunhee, Jeon Jungok (2008), "A study of the consumer response depending on visual merchandising type",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13(3), pp.1-20. 

  22. Oliver, R. L.(1993), "A conceptual model of service quality and service satisfaction: compatible goals, different concepts", advences in services marketing and management, 2, pp.62-85. 

  23. Yoo Changjo, Hyun Soeun, Jeon Jung ok(1997), "Structural analysis to store characteristics, in-store emotions and shopping behavior", journal of Korean marketing association, 12(2), pp.1-27. 

  24. Lee Haksik, Ahn Kwangho, Ha Young won(1999), Consumer behavior, Bobmunsa.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