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주지역 일부 여자 중·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수면의 질과 간식섭취량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Sleep Quality and Snack Intake in Third Yea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Gwangju A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2, 2013년, pp.212 - 222  

김효복 (동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  박양원 (동신대학교 보건복지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광주지역 여자 중학교 3학년과 여자 고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수면의 질에 따른 간식섭취 실태, 간식 종류별 섭취빈도 및 섭취량, 수면의 질 수(PSQI) 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수면부족 상태에 놓인 청소년들의 간식의 종류별 섭취빈도와 섭취량을 제시하였다. 본 조사는 광주지역 일부 여중 고 3학년 학생에 대한 국한된 자료이기는 하나 설문 결과의 일반사항들이 조사대상자 학교의 학생들의 간식섭취 현황을 대변하고 있는 것으로 비숙면인 분포는 여자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이 71.1%, 여자 중학교 3학년 학생이 48.8%로 여자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이 여자 중학교 3학년 학생보다 수면부족을 더 많이 겪고 있어 수면의 질 또한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1). 인간은 생애주기를 통해 1/3 가량을 수면을 취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1달에 1번 이상 낮잠을 잔다는 성인이 38%라는 보고가 있고(34), 선행연구(9)에서와 같이 깜빡 잠으로 자신의 부족한 수면을 보충하는 경우도 있다. 본 연구에서 숙면인과 비숙면인에 따른 간식 섭취빈도 및 섭취량에 대해서는 숙면인은 과일류와 유제품의 섭취빈도가 더 높게 조사되었고, 음료류, 빙과류, 분식류, 패스트푸드, 빵 및 떡류, 과자류에서는 비숙면인이 높게 조사되었으나 전체적으로는 모든 영역에서 비숙면인이 숙면인보다 간식 섭취빈도 및 섭취량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0.01). 전체적으로 여자 중학교 3학년 학생이 여자 고등학교 3학년 학생보다 수면의 질이 높았고 수면의 질과 간식섭취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수면의 질이 높을수록 과일 종류의 경우 주 3회, 30~200 g 정도 섭취, 유제품의 경우 주 3회, 120~240 mL 정도를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결과에서와 같이 숙면 집단이 정량적으로 과일류 및 유제품의 간식섭취빈도 및 섭취량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므로 수면부족과 수면의 질 저하를 겪고 있는 학생들을 위해서는 앞에서 제시한 숙면을 취할 수 있는 일정량의 간식 섭취를 권장하며 체계적인 식생활 지도가 요구된다. 또한 여자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수면 부족에 따른 아침결식, 간식섭취 행동에서 나타난 식생활 문제점과 저체중학생의 숫자의 증가에 따른 문제점 해결을 위해 지속적인 영양교육을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는 하루의 간식섭취 중 학교생활 중의 간식섭취량에 대한 조사만 이루어져 실질적으로 간식섭취량이 수면의 질에 그다지 많은 영향을 미치지는 않은 것으로 해석되었다. 따라서 수면의 질과 관련하여 학교생활 이후와 저녁 식사 이후의 야식이나 밤참의 섭취량 대해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현재 이를 위한 조사가 진행 중에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studied the eating habits and sleeping patterns of 68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ir third year in Gwangju. According to the body mass index (BMI) of the subjects, obesity (over weigh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hird graders of high school students ($20.8{\pm}4.0$, 3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광주지역 여자 중학교 3학년과 여자 고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수면의 질에 따른 간식섭취 실태, 간식 종류별 섭취 빈도 및 섭취량, 수면의 질 지수(PSQI) 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수면부족 상태에 놓인 청소년들의 간식의 종류별 섭취빈도와 섭취량을 제시하였다. 본 조사는 광주지역 일부 여중․고 3학년 학생에 대한 국한된 자료이기는 하나 설문 결과의 일반사항들이 조사대상자 학교의 학생들의 간식섭취 현황을 대변하고 있는 것으로 비숙면인 분포는 여자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이 71.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주지역 여자 중․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생활 중에 섭취하는 간식의 종류와 섭취빈도, 섭취량, 수면정도를 조사하고, 수면부족인 학생들(비숙면인)과 일반학생들(숙면인)로 구분하여 이들의 간식 섭취 실태와 섭취 양을 중심으로 수면의 질과의 상관성을 파악하였다. 단, 중학교 3학년 여학생을 연구의 비교대상으로 삼은 것은 고등학교 3학년과 비슷한 연령대인 고등학교 1학년 여학생들이 2학년 여학생들보다 심한 수면부족현상을 느끼고 있었다는 선행연구(14)에서 비롯되었다.
  • 이러한 내용은 본 연구의 비숙면인들의 간식섭취 양상과 비슷하였다. 따라서 조사대상자들에 대해 이들이 선호하는 간식을 어느 정도 섭취하는가를 알기 위해 종류별 간식섭취량을 구체적으로 조사하였다.
  • 단, 중학교 3학년 여학생을 연구의 비교대상으로 삼은 것은 고등학교 3학년과 비슷한 연령대인 고등학교 1학년 여학생들이 2학년 여학생들보다 심한 수면부족현상을 느끼고 있었다는 선행연구(14)에서 비롯되었다. 이는 고등학교 진학을 앞둔 여중 3학년 학생들이 스트레스로 인해 수면의 질에 영향을 받은 때문으로 예측되어, 본 연구에서 이들의 수면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간식섭취에 대하여 정량적 측면에서의 접근을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의 어떠한 요소가 평생의 건강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게 되는가? 신체적 성장이 급속도로 일어나는 시기인 청소년기는 영양과 수면이 평생의 건강과 밀접한 관련을 갖게 되므로(5,6) 이들의 식생활 및 간식섭취 행동(7-9), 수면상태에 대하여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10-12). 그중에서도 시간적으로 제약을 많이 받는 중․고등학생들의 경우에는 과열된 교육환경으로 인해 운동시간이 감소하고 있으며(13), 빠른 등교와 늦은 귀가로 인한 아침결식, 식사시간의 불규칙성, 간식 및 외식 빈도의 증가(14), 수면부족 등으로 안정된 식사와 수면을 취하기가 어렵다.
오늘날 급격한 사회․경제적 발달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어떠한 악영향이 생겼는가? 오늘날 급격한 사회․경제적 발달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식생활의 서구화와 영양 불균형, 만성질환 중심의 질병 구조 변화 등 건강을 위협하는 요인들이 증가하고 있다 (1,2). 현재 우리사회는 편의위주의 가공식품의 남용, 외식을 즐기는 젊은 층의 인구증가와 더불어 편식, 결식 등의 식생활 패턴의 변화로 이어져 청소년들의 영양 및 건강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3,4).
청소년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고등학생들이 안정된 식사와 수면을 취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신체적 성장이 급속도로 일어나는 시기인 청소년기는 영양과 수면이 평생의 건강과 밀접한 관련을 갖게 되므로(5,6) 이들의 식생활 및 간식섭취 행동(7-9), 수면상태에 대하여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10-12). 그중에서도 시간적으로 제약을 많이 받는 중․고등학생들의 경우에는 과열된 교육환경으로 인해 운동시간이 감소하고 있으며(13), 빠른 등교와 늦은 귀가로 인한 아침결식, 식사시간의 불규칙성, 간식 및 외식 빈도의 증가(14), 수면부족 등으로 안정된 식사와 수면을 취하기가 어렵다. 전반적으로 중․고등학생의 경우 대부분의 식생활은 학교급식이나 외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Mozaffarian D, Hao T, Rimm EB, Willett WC, Hu FB. 2011. Changes in diet and lifestyle and long-term weight gain in women and men. N Engl J Med 364: 2392-2404. 

  2. Murrin CM, Kelly GE, Tremblay RE, Kelleher CC. 2012. Body mass index and height over three generations: evidence from the lifeway cross-generational cohort study. BMC Pub Health 12: 81-92. 

  3. Bray GA. 2009. Can we reduce snack food intake? Am J Clin Nutr 90: 251-252. 

  4. Benedict C, Brooks SJ, O'Daly OG, Almen MS, Morell A, Aberg K, Gingnell M, Schultes B, Hallschmid M, Broman JE, Larsson EM, Schloth HB. 2012. Acute sleep deprivation enhances the brain's response to hedonic food stimuli: An fMRI study. J Clinical Endo Metab 97: E443-E447. 

  5. Lamberg L. 2009. High schools find later start time helps students' health and performance. JAMA 301: 2200-2201. 

  6. Klingenberg L, Chaput JP, Holmback U, Jennum P, Astrup A, Sjodin A. 2012. Sleep restriction is not associated with a positive energy balance in adolescent boys. Am J Clin Nutr 96: 240-248. 

  7. Jo JI, Kim HK. 2008. Food habits and eating snack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Ulsan area. Korean J Nutr 41: 797-808. 

  8. Kim YK, Shin WS. 2008. A comparison study on perception of body image and dietary habits of high school student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Korean J Community Nutr 13: 153-163. 

  9. Park IJ, Park YW. 2009. Survey on intake of snacks and self-purchased snacks due to lack of sleep in high school students in Gwangju. Korean J Food Culture 24: 256-266. 

  10. Kim MH, Seo JS, Choi MK, Kim EY. 2012. A study on dietary and eating snack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ifferent obesity indexes in Chungnam area. Korean J Food & Nutr 25: 105-115. 

  11. Koo KS. 2010. The effects of sleep deprivation on the changes of eeg, fatigue metabolic substrate, and stress hormone following maximal exercise. Korean J Growth Develop 18: 57-64. 

  12. Choi JM. 2008. A study on snack intake status according to degree of middle school students' sleeping in Gwangju region. MS Thesis. Dongshin University, Gwangju, Korea. 

  13. Lee JH. 2009. Study on eating habit and snack intake for sleep quality of Gwangju city girl's commercial high school students. MS Thesis. Dongshin University, Gwangju, Korea. 

  14. Shin HY. 2008. A study on actual conditions of sleeping time and snack intake in some high school girls in Gwangju region. MS Thesis. Dongshin University, Gwangju, Korea. 

  15. McCrory MA, Campbell WW. 2011. Effects of eating frequency, snacking, and breakfast skipping on energy regulation: symposium overview. J Nutr 141: 144-147. 

  16. Lee KW, Lee HS, Lee MJ. 2005. A study on the eating behavior of self-purchasing snack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Food Culture 20: 594-602. 

  17. Tey SL, Brown RC, Gray AR, Chisholm AW, Delahunty CM. 2012. Long-term consumption of high energy-dense snack foods on sensory-specific satiety and intake. Am J Clin Nutr 95: 1038-1047. 

  18. Chapelot D. 2011. The role of snacking in energy balance: a biobehavioral approach. J Nutr 141: 158-162. 

  19. Nedeltcheva AV, Kilkus JM, Imperial J, Kasza K, Schoeller DA, Penev PD. 2009. Sleep curtailment is accompanied by increased intake of calories from snacks. Am J Clin Nutr 89: 126-133. 

  20. St-Onge MP, Roberts AL, Chen J, Kelleman M, O'Keeffe M, RoyChoudhury A, Jones PJH. 2011. Short sleep duration increases energy intakes but does not change energy expenditure in normal-weight individuals. Am J Clin Nutr 94: 410-416. 

  21. Penev PD. 2012. Update on energy homeostasis and insufficient sleep. J Clin Endocrinol Metab 97: 1792-1801. 

  22. Crummy F, Piper AJ, Naughton MT. 2008. Obesity and the lung: 2. Obesity and sleep-disordered breathing. Thorax 63: 738-746. 

  23. Ram S, Seirawan H, Kumar SK, Clark GT. 2010. Prevalence and impact of sleep disorders and sleep habits in the United States. Sleep Breath 14: 63-70. 

  24. Knutson KL, Van Cauter E. 2008. Associations between sleep loss and increased risk of obesity and diabetes. Ann N Y Acad Sci 1129: 287-304. 

  25. Al Awar R, Obeid O, Hwalla N, Azar S. 2005. Postprandial acylated ghrelin status following fat and protein manipulation of meals in healthy young women. Clin Sci (Lond) 109: 405-411. 

  26. Spiegel K, Tasali E, Penev P, Van Cauter E. 2004. Brif communication: Sleep curtailment in healthy young men is associated with decreased leptin levels, elevated ghrelin levels, and increased hunger and appetite. Ann Intern Med 141: 846-850. 

  27. Taheri S, Lin L, Austin D, Young T, Mignot E. 2004. Short sleep duration is associated with reduced leptin, elevated ghrelin, and increased body mass index. PLoS Med 1: e62. 

  28. Weiss A, Xu F, Storfer-Isser A, Thomas A, Ievers-Landis CE, Redline S. 2010. The association of sleep duration with adolescents' fat and carbohydrate consumption. Sleep 33: 1201-1209. 

  29. Baik I, Shin C. 2011. Association of daily sleep duration with obesity, macronutrient intake, and physical activity. Korean J Community Nutr 16: 315-323. 

  30. Kim OS, Kwon SY, Ryu HS. 2006. The study of dietary patterns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rea. J Korean Diet Assoc 12: 342-349. 

  31. Choi SK, Choi HJ, Chang NS, Cho SH, Choi YS, Park HK, Joung HJ. 2008. Snacking behavior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13: 199-206. 

  32. Han GS, Cho WK. 2011. Study of dietary behaviors and snack intake patterns of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gi-do. Korean J Food Culture 26: 490-500. 

  33. Moon SS, Lee YS. 2009. Comparison of dietary habits, exercise, recognized body shapes and weight control between obesity and underweight of adolescents. Korean J Human Ecology 18: 1337-1348. 

  34.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2011. Unhealthy sleep-related behaviors-12 States, 2009.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tlanta, GA, USA. Vol 60, p 233-2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