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오디박 첨가 쿠키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Supplemented with Mulberry Poma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2, 2013년, pp.234 - 243  

전혜련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오혜림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초롱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황미현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형돈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이상원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김미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당 함량이 높은 쿠키에 항당뇨 및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오디박(4%, 8%, 12%)을 첨가하여 건강에 좋은 쿠키를 제조한 후 이화학적, 항산화 특성 및 관능특성을 분석하였다. 건오디박 쿠키 반죽의 밀도는 건오디박 12% 첨가군이 가장 낮았으며, 건오디박 쿠키의 퍼짐성은 건오디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손실률은 건오디박 8% 첨가군이 가장 높았으며, 팽창률은 건오디박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명도와 황색도는 건오디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적색도는 건오디박 8% 첨가군이 9.28로 가장 높았다. pH는 건오디박 12% 첨가군이 가장 낮았으며, 산도는 건오디박 12% 첨가군이 가장 높았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오디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환원당은 오디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건오디박 쿠키의 경도, 탄력성 및 씹힘성은 대조군에 비해 건오디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총 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건오디박 12%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DPPH radical 소거능과 hydroxyl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건오디박 함량이 높아질수록 감소하여 항산화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BTS radical 소거능FRAP 실험 결과에서도 건오디박 함량이 증가할수록 항산화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관능검사에서 강도특성 및 기호도 평가 결과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건오디박 12% 첨가군이 6.43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건오디박 12% 첨가군이 항산화성이 좋았지만 건오디박 8% 첨가군의 기호도가 가장 높았으므로 건오디박 8% 첨가 쿠키가 기능성식품으로 가장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of cookies supplemented with mulberry pomace (0%, 4%, 8%, 12%). The bulk density, spread ratio, and leavening rate of cookies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mulberry pomace. The lightness and b valu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5 mL를 acetate buffer에 넣어 FRAP reagent를 만들어 20 mg/mL로 희석한 시료 30 μL에 증류수 90 μL와 FRAP reagent 900μL를 넣어 37℃에서 10분 동안 반응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여 원심분리한 뒤 상징액을 취하여 분광광도계(UV-1800240V, Beckman)를 이용해 593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0.0625, 0.0125, 0.25, 0.5, 1 mg/mL의 농도로 작성한 FeSO4의 검량식에 대입하여 계산하였다.
  • ABTS radical 소거능의 측정은 Re 등(26)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7 mM ABTS(A9941, Sigma-Aldrich)와 140 mM K2S2O8을 5 mL:88 μL로 섞어 어두운 곳에 14~16시간 방치시킨 후, 이를 absolute ethanol과 1:88 비율로 섞어 734 nm에서 대조구의 흡광도 값이 0.
  • Probe는 직경이 3 mm인 compression plate를 이용하였다. Set method는 graph type: force vs time, trigger type auto 5 g, pre-test speed, test speed 및 post-test speed는 2.0 mm/s로 통일하였으며 test distance는 20%로 하였다.
  • 건오디박 쿠키를 잘게 부숴 패트리디쉬(50×12 mm)에 담아 색도를 측정하였다.
  • 건오디박 쿠키에 대한 관능검사는 기호도와 강도 특성 두 가지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기호도 검사는 평가항목으로 색, 향, 맛,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하여 7점 척도(1점 매우 싫다, 7점 매우 좋다)를 사용하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학생 35명을 대상으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고, 강도특성은색, 윤기, 오디박향, 단맛, 오디박맛, 경도, 씹힘성에 대하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대학원생과 학부생 중에서 검사방법 및 관능적 품질특성에 대한 교육과 예비검사를 통해 선발한 15명을 대상으로 7점 척도법(1점 매우 약함, 7점 매우 강함)을 사용하였다.
  • 건오디박 쿠키의 수분함량은 각 시료 1.5 g을 취하여 적외선 수분 측정기(ISCO, US/Retriever 500, Sartorius, Berlin, German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는 3회 반복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 재료 배합비: 건오디박의 첨가량에 따른 쿠키의 재료 배합 비율은 Table 1과 같다. 계란 10 g, 슈가파우더 28 g, 마가린 62 g, 박력분 100 g을 첨가한 것을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건오디박은 각각 4%, 8%, 12% 첨가한 군으로 하였다.
  • 건오디박 쿠키에 대한 관능검사는 기호도와 강도 특성 두 가지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기호도 검사는 평가항목으로 색, 향, 맛,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하여 7점 척도(1점 매우 싫다, 7점 매우 좋다)를 사용하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학생 35명을 대상으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고, 강도특성은색, 윤기, 오디박향, 단맛, 오디박맛, 경도, 씹힘성에 대하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대학원생과 학부생 중에서 검사방법 및 관능적 품질특성에 대한 교육과 예비검사를 통해 선발한 15명을 대상으로 7점 척도법(1점 매우 약함, 7점 매우 강함)을 사용하였다. 시료는 세 자리 난수를 표기한 일회용 접시에 담아 제시하였고, 다음 시료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 따뜻한 물과 함께 제공하였다.
  • 농도별로 희석한 시료용액 50 μL에 1.5×10-4 mM DPPH 용액 150 μL를 가한 후 30분 후에 분광광도계(UV-1800240V, Beckman)를 이용하여 5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라디칼 소거능(%)을 다음의 식으로 계산한 후 각 농도별 라디칼 소거능에 대한 검량선에서 라디칼 소거능이 50%가 되는 농도인 IC50값을 구하였다.
  • 쿠키의 직경은 쿠키 6개를 가로로 정렬해 그 길이를 측정한 후 각각의 쿠키를 90o로 회전시켜 다시 측정해 얻은 수치를 각각 6으로 나누어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두께는 6개의 쿠키를 세로로 쌓아올려 높이를 측정한 후 해체해 쌓아올린 순서를 바꾸어 다시 쌓아올려 높이를 측정해 얻은 수치를 각각 6으로 나누어 평균값을 얻었다. 손실률과 팽창률은 쿠키의 굽기 전과 구운 후의 중량을 측정하여 그 차이에 대한 비율로 산출하였고 5회 반복 측정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당 함량이 높은 쿠키에 항당뇨 및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오디박을 첨가하여 건강에 좋은 쿠키를 제조한 후, 이화학적 특성, 항산화성 및 관능특성을 분석하였다.
  • 반응이 끝난 후 2% trichloroacetic acid(TCA) 용액과 1% TBA 용액을 잘 섞은 후 100oC에서 20분간 반응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여 원심분리한 뒤 상징액을 취하여 분광광도계(UV-1800240V, Beckman)를 이용하여 53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라디칼 소거능(%)을 다음의 식으로 계산한 후 각 농도별 라디칼 소거능에 대한 검량선에서 라디칼 소거능이 50%가 되는 농도인 IC50을 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당 함량이 높은 쿠키에 항당뇨 및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오디박(4%, 8%, 12%)을 첨가하여 건강에 좋은 쿠키를 제조한 후 이화학적, 항산화 특성 및 관능특성을 분석하였다. 건오디박 쿠키 반죽의 밀도는 건오디박 12% 첨가군이 가장 낮았으며, 건오디박 쿠키의 퍼짐성은 건오디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 색도는 색차계(digital color measuring/difference calculation meter, ND-1001 DP, Nippon Denshoku Co. Ltd., Tokyo, Japan)를 사용하여 Hunter L값(명도, lightness), a 값(적색도, redness), b값(황색도, yellowness) 및 ΔE값(색차지수)을 4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 두께는 6개의 쿠키를 세로로 쌓아올려 높이를 측정한 후 해체해 쌓아올린 순서를 바꾸어 다시 쌓아올려 높이를 측정해 얻은 수치를 각각 6으로 나누어 평균값을 얻었다. 손실률과 팽창률은 쿠키의 굽기 전과 구운 후의 중량을 측정하여 그 차이에 대한 비율로 산출하였고 5회 반복 측정하였다.
  • 5 g을 취하여 적외선 수분 측정기(ISCO, US/Retriever 500, Sartorius, Berlin, German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는 3회 반복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 기호도 검사는 평가항목으로 색, 향, 맛,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하여 7점 척도(1점 매우 싫다, 7점 매우 좋다)를 사용하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학생 35명을 대상으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고, 강도특성은색, 윤기, 오디박향, 단맛, 오디박맛, 경도, 씹힘성에 대하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대학원생과 학부생 중에서 검사방법 및 관능적 품질특성에 대한 교육과 예비검사를 통해 선발한 15명을 대상으로 7점 척도법(1점 매우 약함, 7점 매우 강함)을 사용하였다. 시료는 세 자리 난수를 표기한 일회용 접시에 담아 제시하였고, 다음 시료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 따뜻한 물과 함께 제공하였다.
  • 쿠키의 조직감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texture analyser(TA/XT2, Stable Micro System Ltd., London, England)를 사용하여 probe(Φ3 mm, cylinder type)를 연속 2회 압착하였을 때 얻어지는 힘-시간 곡선으로부터 경도, 부착성, 부서짐성, 응집성, 점착성, 씹힘성을 측정하였으며, 총 5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 쿠키의 퍼짐성 지수는 쿠키의 직경(mm)과 쿠키 6개의 높이(mm)를 각각 측정한 후 AACC Method(22)를 이용하였다. 쿠키의 직경은 쿠키 6개를 가로로 정렬해 그 길이를 측정한 후 각각의 쿠키를 90o로 회전시켜 다시 측정해 얻은 수치를 각각 6으로 나누어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두께는 6개의 쿠키를 세로로 쌓아올려 높이를 측정한 후 해체해 쌓아올린 순서를 바꾸어 다시 쌓아올려 높이를 측정해 얻은 수치를 각각 6으로 나누어 평균값을 얻었다.

대상 데이터

  • , LTD, Tokyo, Japan)로 용매를 휘발하여 추출물만 얻었다.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및 FRAP(ferric-reducing antioxidant potential)은 추출물 200 mg 당 1 mL methanol을 첨가하여 200 mg/mL 농도의 추출물 용액을 제조하여 시료 용액으로 사용하였다. Hydroxyl radical 소거능은 추출물 200 mg당 1 mL PBS buffer(pH 7.
  • , Dongducheon, Korea)하였다. 박력분은 씨제이 제일제당(주)(Yangsan, Korea), 계란은 (주)계성(Samcheok, Korea), 슈가파우더는 (주)신광식품(Jinhae, Korea), 마가린은 (주)롯데삼강(Cheonan, Korea)에서 제조 시판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 본 실험에 사용한 오디(Morus alba. L)는 2011년 6월 21일 경상북도 상주에서 수확한 익수뽕 품종으로 외관상 흠이 없고 크기가 일정한 생과를 흐르는 물로 세척한 후 사용하였다. 오디박은 오디농축액 제조 시 얻은 압착박을 회수하여 초저온냉동기(ultra low temperature freezer, Ilshinbiobase, Dongducheon, Korea)로 급속동결한 후 동결건조(freeze dryer, Ilshin Lab Co, Ltd.

데이터처리

  • 실험 결과는 3회 반복 측정하여 그 평균값으로 나타내었으며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Ver. 20, SPSS Inc., Chicago, IL, USA) software package 프로그램 중에서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여 유의성이 있는 경우에 Duncan의 다중범위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으로 시료간의 유의차를 검증하였다(p<0.05).

이론/모형

  • FRAP 측정은 Benzie와 Strain(27)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Acetate buffer(pH 3.
  • Total flavonoid 함량은 Davis법을 변환한 방법(25)에 의해 측정하였다. 시료 1.
  • pH는 AOAC method(23)를 적용하여 시료 2.5 g을 47.5 mL의 증류수와 함께 넣고 균질화 하였다. 3,000×g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징액을 취하여 pH meter(SP-701, Suntex, Taipei, Taiwan)로 측정하였다.
  • 산도는 AOAC method(23)를 적용하여 시료 2.5 g을 취하여 47.5 mL의 증류수를 첨가한 뒤 3,000×g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징액 3.5 mL를 취하여 0.1 N NaOH를 이용해 pH 8.3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0.1 N NaOH 양(mL)을 acetic acid 함량(%)으로 환산하여 총산 함량을 표시하였다.
  • 20 mg/mL로 희석한 시료 400 μL에 90% diethylene glycol 4 mL와 1 N NaOH 40 μL를 넣어 잘 교반한 후 37oC에서 1시간 반응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여 원심분리한 뒤 상징액을 취하여 분광광도계(UV-1800 240 V, Beckman)를 이용하여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표준곡선은 naringin(SigmaAldrich)을 사용하였다.
  • 쿠키의 퍼짐성 지수는 쿠키의 직경(mm)과 쿠키 6개의 높이(mm)를 각각 측정한 후 AACC Method(22)를 이용하였다. 쿠키의 직경은 쿠키 6개를 가로로 정렬해 그 길이를 측정한 후 각각의 쿠키를 90o로 회전시켜 다시 측정해 얻은 수치를 각각 6으로 나누어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 페놀성 물질이 phosphomolybdic acid와 반응하여 청색을 나타내는 현상을 이용한 방법으로 Folin-Denis법(24)에 의해 측정하였다. 시료 1.
  •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시료 5 g에 증류수 45 mL를 균질화한 후 3,000×g에서 20분간 원심분리 하여 상징액을 취하여 당도계(N-1E Brix 0~32%, Atago, Tokyo,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환원당은 시료 5 g에 증류수 45 mL를 균질화한 후 dinitrosalicylic acid(DNS)에 의한 비색법으로 분광광도계(UV-1800 240V, Beckman, Fullerton, CA, USA)를 사용하여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곡선은 glucose(Sigma-Aldrich, S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디란? 오디(Morus alba, mulberry)는 뽕나무과(Moraceae) 뽕나무속(Morous)에 속하는 낙엽 활엽교목의 열매로 5월부터 6월에 걸쳐 과실의 색이 검은색 또는 자홍색을 나타낼 때 채취하여 식용하거나 건조한 후 한약재로 사용하고 있다(13). 오디는 다량의 glucose, fructose 및 다양한 유기산을 함유하고 있으며(14), 또한 flavonoids, stilbenes, prenylflavonoids, coumarin 및 deoxynojirimycin 등이 있어(15) 혈당강하작용(16), 노화 억제(17), 항산화작용(18,19)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디에 함유된 물질은? 오디(Morus alba, mulberry)는 뽕나무과(Moraceae) 뽕나무속(Morous)에 속하는 낙엽 활엽교목의 열매로 5월부터 6월에 걸쳐 과실의 색이 검은색 또는 자홍색을 나타낼 때 채취하여 식용하거나 건조한 후 한약재로 사용하고 있다(13). 오디는 다량의 glucose, fructose 및 다양한 유기산을 함유하고 있으며(14), 또한 flavonoids, stilbenes, prenylflavonoids, coumarin 및 deoxynojirimycin 등이 있어(15) 혈당강하작용(16), 노화 억제(17), 항산화작용(18,19)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디는 수분이 많아 물러지거나 부패되기 쉬워 건조 및 착즙을 한 제품으로 나오고 있다.
오디를 건조 및 착즙을 한 제품 생산 과정에서 경제적으로 큰 손실이 발생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오디는 수분이 많아 물러지거나 부패되기 쉬워 건조 및 착즙을 한 제품으로 나오고 있다. 이때 많은 양의 착즙박이 부산물로 나오고 있으나 현재 산업적으로 이용되지 못하고 폐기처분되고 있어서 경제적으로 큰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상용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오디박에는 오디즙에 못지않게 영양성분과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다고 보고된 바 있다(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Shin IY, Kim HI, Kim CS, Whang K. 1999. Characteristics of sugar cookies with replacement of sucrose with sugar alcohols. (I)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sugar alcohol cook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850-857. 

  2. Park BH, Cho HS, Park SY. 2005. A study on the antioxidative effe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made with Lycii fructu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94-102. 

  3. Lee MH, Oh M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brown rice flour. Korean J Food Culture 21: 685-694. 

  4. Jung YJ, Seo HS, Myung JE, Shin JM, Lee EJ, Hwang IK. 2007.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based on Goami 2 with sesames (white and black) and perilla see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785-792. 

  5. Han JS, Kim JA, Han GP, Kim DS, Kozukue N, Lee KR. 2004. Quality characteristic of functional cookies with added potato peel. Korean J Food Cookery Sci 20: 607-613. 

  6. Lim EJ.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added Enteromorpha intenstinalis. Korean J Food & Nutr 21: 300-305. 

  7. Jin SY, Joo NM, Han YS. 2006. Optimization of iced cookies with the addition of pine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164-172. 

  8. Paik JE, Bae HJ, Joo NM, Lee SJ, Jung HA, Ahn EM. 2010.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added Boehmeria nivea. Korean J Food & Nutr 23: 446-452. 

  9. Jang KH, Kwak EJ, Kang WW. 2010. Effect of rice bran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 Korean J Food Preserv 17: 631-636. 

  10. Yang SM, Kim SH, Shin JH, Kang MJ, Sung N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asparagus powder. J Agric Life Sci 44: 67-74. 

  11. Lee HJ, Kim SS, Han CK, Oh HH, Kim HJ, Lee SW, Choi YS, Choi EY, Kim MK, Kim WM. 2011. Antioxidative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almond cookies prepared with Job's tears (Coixlachryma-jobi L.) Chugukjang. Korean J Food Cookery Sci 27: 43-54. 

  12. Bang BH, Kim KP, Kim MJ, Jeong EJ.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Chungkukjang powder. Koreand J Food & Nutr 24: 210-216. 

  13. Kim EO, Lee YJ, Leem HH, Seo IH, Yu MH, Kang DH, Choi SW. 2010. Comparison of nutritional and functional constituent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lberrys from seven different Morus alba L.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467-1475. 

  14. Lee HW, Shin DH, Lee WC. 1998. Morph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lberry (Morus) fruit with varietes. Korean J Seric Sci 40: 1-7. 

  15. Choi SW. 2005. Development of high quality functional foods using mulberry (Morus spp.) fruit. Final report of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Korea. 

  16. Kim HB, Lee YW, Lee WJ, Moon JY. 2001. Physiological effect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ulberry fruit wine with Chongilppong. Korean J Seric Sci 43: 16-20. 

  17. Kim YM, Yun JE, Lee CK, Lee HH, Min KR. 2002. Oxyresveratrol and hydroxystilbene compounds. J Biol Chem 277: 16340-16344. 

  18. Tsuda T, Watanabe M, Ohshima K, Norinobu S, Choi SW, Kawakishi S, Osawa T. 1994.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anthocyanin pigments cyanidin 3-O- ${\beta}$ -D-glucoside and cyanidin. J Agric Food Chem 42: 2407-2410. 

  19. Shin YW, Lee SK, Kwon YJ, Rhee SJ, Choi SW. 2005.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henolic compounds from mulberry (Morus spp.) cake. J Food Sci Nutr 10: 326-332. 

  20. Kwon YJ, Rhee SJ, Chu JW, Choi SW. 2005. Comparison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xtracts of mulberry juice and cake prepared from mulberry (Morus spp.) fruit. J Food Sci Nutr 10: 111-117. 

  21. Kwon EH, Jang HS, Kim SW, Choi SW, Rhee SJ, Cho SH. 2007. Effects of mulberry juice and cake powders on blood glucose and lipid lowering and erythrocytic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Nutr 40: 199-210. 

  22. AACC. 2000.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10th ed. American Association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Method 10-50D. 

  23.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rington, VA, USA. 

  24. Singleton VL, Rossi JL.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ult 16: 144-158. 

  25. Chae SK, Kang GS, Ma SJ, Bang KW, Oh MW, Oh SH. 2002. Standard food analysis. Jigumoonwhasa, Seoul, Korea. p 381-382. 

  26.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27. Benzie I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0: 70-76. 

  28. Cho HS, Park BH, Kim KH, Kim HA. 2006. Antioxidative effe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 made with sea tangle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1: 541-549. 

  29. Lee MH, Oh M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 with brown rice flour. Korean J Food Culture 21: 685-694. 

  30. Koh WB, Noh WS. 1997. Effect of sugar particle size and level on cookie spread. J East Asian Dietary Life 7: 159-165. 

  31. Shim EA, Kwon YM, Lee J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containing yacon (Smallanthus sonchifoli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7: 82-88. 

  32. Kim GS, Park G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lot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398-404. 

  33. Choi HY. 2009.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ine needle cook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414-1421. 

  34. Lee GW, Choi MJ, Jung BM.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cookie made with Capsosiphon fulvescen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381- 

  35. Park GS, Lee JA, Shin YJ.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 made with oddi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1014-1021. 

  36. Kim KH, Yun MH, Jo JE, Yook H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flowering cherry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frui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920-925. 

  37. Shin JH, Lee SJ, Choi DJ, Kwen OC.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added concentrations of garlic jui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604-614. 

  38. Ji SR, Yoo S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 with varied concentrations of blueberry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433-438. 

  39. Park ID. 2012. Effects of sweet pumpkin powder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Korean J Food Culture 27: 89-94. 

  40. Chabot JF. 1979. Preparation of food science sample for SEM. SEM 3: 279-286. 

  41. Lee JY, Moon SO, Kwon YJ, Rhee SJ, Park HR, Choi SW. 2004.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anthocyanins and flavonoids in mulberry (Morus sp.) cultivars. Food Sci Biotechnol 13: 176-184. 

  42. Wang MF, Yi J, Rangarajan M, Yu S, LaVoie EJ, Huang TC, Ho CT. 1998. Antioxidative phenolic compounds from sage (Salivia officinalis). J Agric Food Chem 46: 4869-4873. 

  43. Kim YJ, Jung IK, Kwak E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okies added with Pleurotus eryngii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183-1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