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로니아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okies Supplemented with Aronia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7, 2016년, pp.1071 - 1076  

이준호 (대구대학교 식품공학과) ,  최지은 (대구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아로니아 분말의 첨가량을 0~4%로 달리하여 쿠키를 제조한 후 물리 화학적 품질, 항산화 활성 및 소비자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쿠키 반죽의 pH는 아로니아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밀도는 미미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첨가군 사이에 유의적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고(P>0.05), 수분함량은 유의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쿠키의 퍼짐성은 아로니아 분말이 첨가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P<0.05) 첨가농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손실률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한편 명도(L*)와 황색도(b*)는 아로니아 분말 첨가량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적색도(a*)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쿠키의 경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P<0.05), 상위단계별 첨가군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P>0.05).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DPPH와 ABTS에 대한 radical 소거능은 아로니아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며 증가하였다(P<0.05). 아로니아 분말의 첨가 수준, 반죽의 밀도와 수분함량, 쿠키의 적색도(a*)는 색과 씹힘성 기호도와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지만 반죽의 pH, 쿠키의 손실률과 경도는 색과 씹힘성 기호도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1 또는 P<0.05). 소비자 기호도 검사 결과 2% 첨가군이 다른 시료에 비해 대부분 평가항목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어(P<0.05), 쿠키의 관능적 품질과 건강 기능성 효과 등을 고려할 때 쿠키 제조 시 밀가루에 대한 아로니아 분말의 대체량은 2%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easibility of incorporating aronia powder (AP) as a value-added food ingredient into convenient food products was investigated using cookie as a model system. AP was incorporated into cookies at amounts of 0, 1, 2, 3, and 4% (w/w) based on total weight of wheat flour. The pH level of cookie d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아로니아 분말의 첨가량을 0~4%로 달리하여 쿠키를 제조한 후 물리・화학적 품질, 항산화 활성 및 소비자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쿠키 반죽의 pH는 아로니아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
  • 아로니아 쿠키의 재료 배합비는 여러 차례의 사전 예비실험을 거친 후 기초품질을 기준으로 결정하였으며, 박력분(200 g)에 대한 아로니아 분말의 대체량이 0%인 것을 대조군 그리고 1, 2, 3, 4%인 것을 첨가군으로 각각 설정하였다. 버터 90 g을 중탕시킨 후 이를 mixing bowl에 넣고 믹서기(5K5SS, KitchenAid Inc.
  • 각 시료를 세 자리 난수표기하여 구분한 접시에 쿠키를 나열하여 제공하였으며, 7점 척도법(1=매우 싫음, 7=매우 좋음)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preference)가 다른 평가항목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전체적인 기호도를 먼저 평가한 후 개별 평가항목인 색(color), 향미 (flavor), 맛(taste) 및 씹힘성(chewiness)에 대한 기호도는 다른 세션에 따로 측정하였으며, 시료 간 잔향 또는 잔미의 방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시료 사이에 물을 이용하여 입안을 헹군 후 검사를 시행하도록 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에 사용된 아로니아 분말(Smartfruit, Gyeonggi, Korea), 박력분(CJ Cheiljedang Corp., Yangsan, Korea), 백설탕(CJ Cheiljedang Corp., Incheon, Korea), 무가염 버터(Seoul Dairy Co-op., Seoul, Korea), 소금(Sajohaepyo Corp., Seoul, Korea) 및 달걀은 시중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 소비자 기호도 검사는 무작위로 선발된 20대 성인 50명(남 24명, 여 26명; 20~28세)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각 시료를 세 자리 난수표기하여 구분한 접시에 쿠키를 나열하여 제공하였으며, 7점 척도법(1=매우 싫음, 7=매우 좋음)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데이터처리

  • 실험 결과는 SAS ver. 9.1(24)을 이용하여 분산분석(ANOVA) 하였고, 5% 수준에서 유의성이 있는 시료 간 평균값 비교는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 분석하였다. 물리・화학적 품질 특성과 소비자 기호도의 상관관계는 Pearson 상관계수를 통해 분석하였다.
  • 1(24)을 이용하여 분산분석(ANOVA) 하였고, 5% 수준에서 유의성이 있는 시료 간 평균값 비교는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 분석하였다. 물리・화학적 품질 특성과 소비자 기호도의 상관관계는 Pearson 상관계수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론/모형

  • 퍼짐성 지수는 AACC Method 10-50D의 방법(21)으로 계산하였고, 손실률(%)은 굽기 전과 후의 쿠키 중량비로 각각 3회 반복 측정한 후 평균값을 비교하였다. 경도는 구운 쿠키를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방랭시킨 후 Advanced Universal Testing System(LPXPlus, Lloyd Instrument Lt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토시아닌은 현재까지 어떤 종류가 보고되었는가? 18세기 동유럽에서 주로 재배되던 아로니아(Aronia melanocarpa)는 장미과에 속하는 베리류로 블랙 초크베리(black chokeberry) 또는 아로니아 베리(aronia berry) 등으로도 불리며(1), 다른 베리류에 비해 토양 적응성이 뛰어나 국내에서도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2). 천연 염색제나 착색제로 주목받고 있는 아로니아는 짙은 적색을 띠는 품종으로 안토시아닌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데(3), 이 안토시아닌은 cyanidin과 결합한 배당체로 존재하며 현재까지 3-O-arabioside, 3-O-galactoside, 3-O-glucoside, 3-O-xyloside 등 4개의 종류가 보고된 바 있다(4). 그밖에 polyphenol, flavonoids, chlorogenic acids 등도 풍부하여(5) 항산화 효과(4,6) 이외에도 동맥경화, 심혈관계 질환, 암, 당뇨 등에 뛰어난 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7-9), 신맛과 떫은맛이 강하여 생과로 식용하기에 제한적인 측면이 있어 향후 다양한 가공식품에 적용할 수 있도록 그 활용성에 대한 연구가 한층 요구되고 있다(10).
기능성 소재를 첨가한 쿠키를 위한 성공적으로 이용된 소재는 무엇이 있는가? 제과・제빵 분야에서 소비자의 다양한 니즈가 증가하면서 기능성 소재를 첨가한 쿠키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12). 그중에서 오디 분말(13), 산수유 분말(14), 블루베리 분말(15), 아사이베리 분말(16), 크랜베리 분말(17) 등의 베리류 소재가 성공적으로 이용된 바 있다.
아로니아는 무엇인가? 18세기 동유럽에서 주로 재배되던 아로니아(Aronia melanocarpa)는 장미과에 속하는 베리류로 블랙 초크베리(black chokeberry) 또는 아로니아 베리(aronia berry) 등으로도 불리며(1), 다른 베리류에 비해 토양 적응성이 뛰어나 국내에서도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2). 천연 염색제나 착색제로 주목받고 있는 아로니아는 짙은 적색을 띠는 품종으로 안토시아닌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데(3), 이 안토시아닌은 cyanidin과 결합한 배당체로 존재하며 현재까지 3-O-arabioside, 3-O-galactoside, 3-O-glucoside, 3-O-xyloside 등 4개의 종류가 보고된 바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Wu X, Gu L, Prior RL, McKay S. 2004. Characterization of anthocyanins and proanthocyanidins in some cultivars of Ribes, Aronia, and Sambucus and their antioxidant capacity. J Agric Food Chem 52: 7846-7856. 

  2. Sueiro L, Yousef GG, Seigler D, De Mejia EG, Grace MH, Lila MA. 2006. Chemopreventive potential of flavonoid extracts from plantation-bred and wild Aronia melanocarpa (black chokeberry) fruits. J Food Sci 71: C480-C488. 

  3. Bridle P, Timberlake CF. 1997. Anthocyanins as natural food colours-selected aspects. Food Chem 58: 103-109. 

  4. Oszmianski J, Wojdylo A. 2005. Aronia melanocarpa phenolic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Eur Food Res Technol 221: 809-813. 

  5. Taheri R, Connolly BA, Brand MH, Bolling BW. 2013. Underutilized chokeberry (Aronia melanocarpa, Aronia arbutifolia, Aronia prunifolia) accessions are rich sources of anthocyanins, flavonoids, hydroxycinnamic acids, and proanthocyanidins. J Agric Food Chem 61: 8581-8588. 

  6. Jakobek L, Seruga M, Krivak P. 2011. The influence of interactions among phenolic compounds on the antiradical activity of chokeberries (Aronia melanocarpa). Int J Food Sci Nutr 62: 345-352. 

  7. Hellstrom JK, Shikov AN, Makarova MN, Pihlanto AM, Pozharitskaya ON, Ryhanen EL, Kivijarvi P, Makarov VG, Mattila PH. 2010. Blood pressure-lowering properties of chokeberry (Aronia mitchurinii, var. Viking). J Funct Foods 2: 163-169. 

  8. Jakobek L, Drenjancevic M, Jukic V, Seruga M. 2012. Phenolic acids, flavonols, anthocyanins and antiradical activity of "Nero", "Viking", "Galicianka" and wild chokeberries. Sci Hortic 147: 56-63. 

  9. Girones-Vilaplana A, Valentao P, Andrade PB, Ferreres F, Moreno DA, Garcia-Viguera C. 2012. Phytochemical profile of a blend of black chokeberry and lemon juice with cholinesterase inhibitory effect and antioxidant potential. Food Chem 134: 2090-2096. 

  10. Hwang ES, Nhuan DT. 2014. Antioxidant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water extracts of aronia (Aronia melancocarpa) with different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303-308. 

  11. Choi HY. 2009.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ine needle cook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414-1421. 

  12. Ko YJ, Joo N.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and optimization of iced cooked with addition of Jinuni bean (Rhynchosia volubilis). Korean J Food Cook Sci 21: 514-527. 

  13. Park GS, Lee JA, Shin YJ.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 made with oddi powder. J East Asian Soc Diet Life 18: 1014-1021. 

  14. Ko HC.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gar snap-cookie with added Cornus fructus.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 957-962. 

  15. Ji JR, Yoo S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varied concentrations of blueberry powder.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 433-438. 

  16. Choi YS, Kim SK, Mo EK.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acaiberry (Euterpe oleracea Mart.) powder added. Korean J Food Preserv 21: 661-667. 

  17. Choi JE, Lee JH. 2015. Quality and antioxidant attributes of cookies supplemented with cranberry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7: 132-135. 

  18. Schlesinger JS. 1970. Fertilizing wheat for protein. Cereal Sci Today 15: 370-374. 

  19. Ryu J, Jung J, Lee S, Ko S. 2012.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gar and gelatin gel with uniform hardness. Food Eng Prog 16: 14-19. 

  20. Choi E, Kang TY, Cho HY, Im MH, Shim SM, Ko S. 2013. Effect of roll-in fat type on danish pastry quality properties. Food Eng Prog 17: 233-237. 

  21. AACC. 2000.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Method 10-50D. 

  2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120. 

  23.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24. SAS. 2005. SAS User's Guide. Ver. 9.1. SAS Institute, Cary, NC, USA. 

  25. Yoon HS, Kim JW, Kim SH, Kim YG, Eom HJ.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Aronia powder (Aronia melanocarp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273-280. 

  26. Hwang ES, Lee YJ.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yanggaeng with aronia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220-1226. 

  27. Park EJ.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aronia (Aronia melanocarpa) powder. J East Asian Soc Diet Life 24: 646-653. 

  28. Koh KB, Noh WS. 1997. Effect of sugar particle size and level on cookie spread. J East Asian Soc Diet Life 7: 159-165. 

  29. Shin JH, Lee SJ, Choi DJ, Kwen OC.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added concentrations of garlic juice. Korean J Food Cook Sci 23: 609-614. 

  30. Choi HY, Oh SY, Lee YS. 2009.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erilla leaves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cookies. Korean J Food Cook Sci 25: 521-530. 

  31. Joo SY, Choi HY. 2012.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chestnut inner shell. Korean J Food Nutr 25: 224-232. 

  32. Kim YJ, Jung IK, Kwak E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of cookies added with Pleurotus eryngii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183-189. 

  33. Song JH, Lee JH. 2014. The qualit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cookies containing Codonopsis lanceolata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51-55. 

  34. Jung KJ, Lee SJ.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prepared with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Suringer)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453-1459. 

  35. Jeong EJ, Kim KP, Bang B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containing Platycodon grandiflorum powder. Korean J Food Nutr 26: 759-765. 

  36. Song JH, Lim JA, Lee JH. 2014. Qualit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cookies supplemented with cinnamon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1457-1461. 

  37. Kim MJ, Choi JE, Lee JH.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jujube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21: 146-150. 

  38. Park BH, Cho HS, Park SY. 2005. A study on the antioxidant effe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made with Lycii fructus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1: 94-1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