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산 및 중국산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의 영양성분 및 유해물질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Nutritional and Harmful Components in Korean and Chinese Mealworms (Tenebrio molito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2, 2013년, pp.249 - 254  

유정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황재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구태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윤은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산 및 중국산 갈색거저리 유충의 일반성분의 함량 분석 결과, 갈색거저리동결건조 분말은 고함량의 단백질(50.32~52.99%)을 포함하고 있었고, 중국산 분말이 약 2.67% 정도 국산에 비해 높은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었다. 갈색거저리의 필수 및 비필수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있었고, 분석된 아미노산의 함량은 국산과 중국산이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비필수아미노산 중 glutamic acid의 함량이 다른 아미노산에 비해 가장 높게 존재하였다. 지방산의 분석 결과, 갈색 거저리 분말은 총 지방산 중 76.80~80.55%의 많은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고 있었다. 불포화지방산 중 linoleic acid는 국산 $20.80{\pm}1.1%$, 중국산 $34.69{\pm}1.9%$로 13.89% 차이, oleic acid는 국산 $51.40{\pm}0.47%$, 중국산 $40.20{\pm}1.5%$로 11.2%의 차이, linolenic acid는 국산 0.5%, 중국산 1.4%로 명확한 함량 차이와 유의성(p<0.05)이 인정되었다. 유해물질인 식중독균(E. coli O157:H7, Salmonella spp.)은 국산과 중국산 분말 모두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며, 중금속 검사 결과에서 수은(Hg)이 국산과 중국산에서 각각 0.03 mg/kg, 0.08 mg/kg으로 검출되었으나 일반식품의 기준치 이하로 확인되었고 그밖의 중금속은 존재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part of a study on insects as food, the nutritional and harmful components in the mealworm (Tenebrio molitor) were analyzed. In addition, due to a recent introduction of live Chinese mealworms in the Korean market, components between Korean and Chinese mealworms were compared. Analysis of gener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갈색거저리의 식품화 연구의 일환으로 국산 및 중국산 갈색거저리의 주요 영양성분 및 유해물질을 비교 분석하여 그 차이점을 확인하였고, 본 연구결과는 식약청에 갈색거저리의 새로운 식품원료로 한시적 인정 요청 시 필수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갈색거저리가 식용으로서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이유는?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mealworm)는 딱정벌레목 거저리과로서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하고 있고 주로 곡류에서 서식하는 야행성 곤충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량으로 사육하고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이 체계적으로 구축되어 있어서 산업화에 용이할 뿐만 아니라 중국, 네덜란드 등 국외에서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곤충이므로 식용으로서의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나(3), 현재까지 갈색거저리에 대한 연구는 형태적 특성 및 항진균 물질에 관련된 연구만이 보고되어 있을 뿐 식용 소재로 이용하기 위한 성분 분석 및 안전성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4,5). 또한 갈색거저리는 2011년부터 건조물뿐만 아니라 생체도 수입이 허가되어 다량의 갈색거저리가 중국으로부터 수입되고 있으므로 원산지 구분 및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기초자료 확보가 시급한 실정이다.
식용곤충으로 이용되는 종류는? 식용곤충(edible insect)이란 식용을 목적으로 하는 곤충을 통칭하며 현재 아프리카, 아시아, 남아메리카 및 호주 등의 많은 지역에서 동물성 단백질, 필수아미노산 및 미량영양소 섭취를 위해 메뚜기, 흰개미, 딱정벌레 등의 다양한 곤충을 식용으로 이용하고 있다(1). 식용으로 이용되는 곤충으로는 나비목(Lepidoptera), 딱정벌레목(Coleoptera), 메뚜기목(Orthoptera), 흰개미목(Isoptera)과 벌목(Hymenoptera) 등이 있다. 나비목 곤충은 앙골라,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의 Pedi, 호주 중북부, 수단, 파푸아뉴기니, 에콰도르, 멕시코, 태국 및 중국 등에서, 딱정벌레목 곤충은 앙골라, 콩고, 파푸아뉴기니, 가나, 필리핀, 태국, 콜롬비아, 멕시코 및 에콰도르 등에서, 메뚜기목 곤충은 말라위, 수단, 태국, 짐바브웨, 필리핀, 파푸아뉴기니, 에콰도르 및 멕시코 등에서, 흰개미목에 속하는 곤충은 앙골라, 카메룬, 케냐, 나이지리아, 잠바브웨, 필리핀 및 콜롬비아에서, 벌목에 속하는 곤충은 필리핀, 중국, 태국, 파푸아뉴기니, 에콰도르 및 멕시코 등에서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다(1).
식용곤충이란? 식용곤충(edible insect)이란 식용을 목적으로 하는 곤충을 통칭하며 현재 아프리카, 아시아, 남아메리카 및 호주 등의 많은 지역에서 동물성 단백질, 필수아미노산 및 미량영양소 섭취를 위해 메뚜기, 흰개미, 딱정벌레 등의 다양한 곤충을 식용으로 이용하고 있다(1). 식용으로 이용되는 곤충으로는 나비목(Lepidoptera), 딱정벌레목(Coleoptera), 메뚜기목(Orthoptera), 흰개미목(Isoptera)과 벌목(Hymenoptera) 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ukkens SGF. 1997. The nutritional value of edible insects. Ecol Food Nutr 36: 287-319. 

  2. Pemberton RW. 1988. The use of the Thai giant waterbug, Lethocerus indicus (Hemiptera: Belostomatidae), as human food in California. The Pan-Pacific Entomologist 64: 81-82. 

  3. Yoo SO, Choi YC, Song HS. 2011. Breed and utilization of mealworm (Tenebrio molitor).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Suwon, Korea. p 14-168. 

  4. Lee HW, Jeong MJ, Mun MJ. 1999.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perposition ommatidium in the mealworm beetle, Tenebrio molitor. Korean J Entomol 29: 85-93. 

  5. Chung SJ, Lee YH, Chung JH, Lee BR, Han DM. 1995. Antifungal effect and activity spectrum of crude antifungal proteins from hemolymph of larvae of Tenebrio molitor in Korea. Korean J Micology 23: 232-237. 

  6. Cho CH, Cha WS, Kim JS. 1989. Effect of temperature, time and pH on the extraction of protein in a chrysalis of silk worm. Korean J Biotechnol Bioeng 4: 65-68. 

  7. Cha JY, Kim YS, Ahn HY, Eom KE, Park BK, Jun BS, Cho YS. 2009. Biological activity of fermented silkworm powder. J Life Sci 19: 1468-1477. 

  8. Yu TJ, Lee KY, Lee SK. 1978.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cocoon pupas for food materials. Korean J Nutr 11: 39-43. 

  9. Lee JH, Kim TS, Choi BD, Kim KY, Lee KH. 1987. Lipid oxidation and browning during storage of dried grasshopper. J Korean Soc Food Nutr 16: 294-299. 

  10. Kim TS, Lee JH, Choi BD, Ryu HS. 1987. Nutritional value of dried paddy grasshopper, Oxya chinensis formosana. J Korean Soc Food Nutr 16: 98-104. 

  11. Lee JH, Kim TS, Choi BD, Kim GE, Lee KH. 1987. Effects of containing pigments of dried grasshopper on the lipid deterioration. J Korean Soc Food Nutr 16: 300-305. 

  12. Shon MG, Kim MC, Goo WE, Shin HS, Kim HK, Kim JM, Oh JM, Lee SY, Ha JU, Park NK, Lee JK, Choi KH, Ahn JH. 2012. Safety assessment guideline of new food base material. KFDA, Osong, Korea. p 1-58. 

  13.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17, 37, 770. 

  14. Folch J, Lees M, Stanley GHS.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e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 

  15. Morrison WR, Smith LM. 1964. Preparation of fatty acid methyl esters and dimethylacetals from lipids with boron fluoride-methanol. J Liquid Research 5: 600-608. 

  16.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2011. Food composition table. 8th ed. KFDA, Osong, Korea. p 3-116. 

  17. Lee JH., Kim NK, Lee DY, Lee CH. 1999. Protective effect of selected amino acids and food extracts on ethanol toxcity determent in rate liv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802-808. 

  18. Yin M, Ikenima K, Arteel GE, Seabra V, Bradford BU, Kono H, Rusyn I, Thurman RG. 1998. Glycine accelerates recovery from alcohol-induced liver injury. J Pharacol Exp Ther 286: 1014-1019. 

  19. Cho S, Kang G, Seong P, Park B, Jung S, Kang S, Kim Y, Kim J, Kim D. 2011. Meat quality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Hanwoo and imported New Zealand beef.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1: 935-943. 

  20. Koo NS, Wang SG, Park JM. 2002. Change of fatty acid content in egg yolk oil of various chicken eggs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184-188. 

  21. Wang SK, Koo NS. 2001. Comparison of composition and content of fatty acid in egg yolk oil among general and functional egg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4-19. 

  22. Perez-Jimenez F, Lopez-Miranda J, Mata P. 2002. Protective effect of dietary monounsaturated fat on arteriosclerosis: beyond cholesterol. Atherosclerosis 163: 385-398. 

  23. Yang LF, Siriamornpun S, Li D. 2006. Poly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of edible insects in Thailand. J Food Lipids 13: 277-285. 

  24. Zamora R, Alba V, Hidalgo FJ. 2001. Use of high-resolution 13C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for the screening of virgin olive oils. J Am Oli Chem Soc 78: 89-94. 

  25. Nam HY, Lee KT. 2007. Analysis of characterization in commercial extra virgin olive oi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866-873. 

  26. Lee KS, Shin JA, Lee KT. 2011. Preparation of conjugated linolenic acid from urea fractionated perilla seed oil hydrolysa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734-1742. 

  27. Lim SY, Rhee SH, Yi SY, Park KY. 1997. Growth inhibitory effect and changes in membrane phospholipid fatty acid composition on MG-63 and AZ-521 human cancer cells by linoleic acid.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662-668. 

  28. Siegel I, Liu TL, Yaghoubzadeh E, Keskey TS, Gleicher N. 1987. Cytotoxic effects of free fatty acids on ascites tumor cells. J Natl Cancer Inst 78: 271-277. 

  29.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2006. Report of the 38th session. 

  30. Kim AK, Cho SJ, Kwak JE, Kum JY, Kim IY, Kim JH, Chae YZ. 2012. Heavy metal contents and safety evaluation of commercial salts in Seoul.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29-135. 

  31. Kim SD, Jung SO, Kim BS, Yun ES, Chang MS, Park YA, Lee YC, Chae YZ, Kim MY. 2010. The content of heavy metals in herbal pills used as general processed food and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 intak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038-104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