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잇꽃 종자의 발아에서 제(Hilum)의 형태적 특성과 기능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 of Hilum in Safflower Seed Germination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1 no.1, 2013년, pp.117 - 122  

안석현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작물생명과학과) ,  정남진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작물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은 경실 종자인 잇꽃의 종자구조와 발아특성을 밝히고자 수행하였다. 잇꽃 종자의 외형적 특징은 단단한 종피 표면에 제(hilum)와 주공(micropyle)이 있으며, 제는 종자의 발달과정에서 태좌와 연결되어 있었고, 주공은 암술대와 연결되어 있었던 부분이다. 종자 침종 후 2-3시간 후에 제의 표면이 열렸으며, 발아 시 유아(embryo)가 제를 뚫고 돌출되었다. 잇꽃 종자의 흡습 전에 제와 주공에 파라핀을 처리하여 밀봉한 결과, 제 부위를 밀봉한 처리에서 종자의 발아가 이루어지지 않아 잇꽃 종자의 수분과 산소 교환이 제를 통하여 이루어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잇꽃 종자의 제가 물에 잠기도록 수분을 공급한 발아실험(top of paper method)에서는 $15^{\circ}C$에서 31.3%, $20^{\circ}C$에서 15.7%, 그리고 $25^{\circ}C$에서 6.0%가 발아하였으며, between-paper method에 의한 실험에서는 $15^{\circ}C$에서 45.5%, $20^{\circ}C$에서 30.0%, $25^{\circ}C$ 14.0%로 발아율이 나타났고, 토양에 파종한 종자는 온도에 관계 없이 80% 내외의 발아율을 보여, 잇꽃 종자의 발아에 수분공급 조건과 온도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제(hilum)의 내부 구조를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도관요소를 구성하는 세포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잇꽃 종자의 제(hilum)는 발아과정에서 수분흡수와 가스교환 통로가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with reference to hard seed coat in safflower. Morphologically, seed coat surface has hilum and micropyle which were evident during seed development stage. In the flower of developing seeds, the hilum area is connected with p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잇꽃 종자의 구조와 경피와 관련된 발아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연구과정 중 제가 종자 발아에 밀접한 관련이 있어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제 부위의 형태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잇꽃이란 무엇인가? 잇꽃(safflower, Carthamus tinctorious L.)은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1년생 초본으로 홍람(紅藍)·홍화(紅花)·잇나물이라고 칭하며 원산지는 아프가니스탄의 산악지대 또는 이집트 및 에티오피아가 원산이며, 한나라 시대에 중국에 유입되었고, 우리나라에는 신라시대 이전부터 약용이나 염료 작물로 재배되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Choi, 1992; Choi et al, 2011; RDA, 1990). 줄기의 길이는 약 1m 내외이고, 꽃은 6월 중순경에 피고 넓은 피침형의 가장자리에는 가시가 돋쳐 있다(Ahn and Yuk, 1975; Lee, 1980).
잇꽃은 어디에 사용되고 있는가? 잇꽃은 천연염료, 식용유, 곡식, 한방약제, 화장품 원료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꽃에 함유되어 있는 수용성의 황색색소와 불용성의 적색색소는 식품의 착색염료 등 천연염료 사용되고 있으며, 잇꽃 씨는 혈액, 심장, 자궁, 비뇨기와 관련된 약용으로 사용된다(Choi et al, 2011; Lee et al.
잇꽃 종자은 어떠한 형태를 이루고 있는가? 종자에서 제(hilum)는 배병 또는 태좌에 붙어 있던 흔적으로 제의 색과 모양은 종자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발아공(주공, micropyle)은 화분관이 수정을 위하여 배낭으로 침입하는 통로로써 배주의 한 쪽 끝에 있던 구멍이 종자에 남은 흔적이다(Copeland and McDonald, 2001; Hong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hn, D.G. and C.S. Yuk. 1975. Modern materia medica. Komoon Ltd., Seoul, Korea. 

  2. Bewely, J.D. and M. Black. 1982. Physiology and biochemistry of seeds in relation to germination. Springer-Verlag, New York, 

  3. U.S.A. Bewley, J.D. 1988. Seed dormancy and germination. Champman & Hall, New York, U.S.A. 

  4. Choi, C.H., H.D. Kim, and E.B. IM. 2011. Reviews of research trends on safflower seed (Carthamus tinctorius L.). J. Oriental Medicinal Classics 24:63-90. 

  5. Choi, S.Y., J.C. Kim, and K.J. Kim. 2005. Effect of cultivation methods and harvesting time on yield and quality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ous L.) seeds. Korean J. Crop Sci. 50: 187-190. 

  6. Choi, Y.J. 1992. Perfume.medicinal taste.spice.encyclopedic of plants. Osung, Ltd., Seoul, Korea. 

  7. Copeland, L.O. and M.B. Mcdonald. 2001. Principles of seed science and technology. Champman & Hall, New York, U.S.A. 

  8. Grootjen, C.J. and F. Bouman. 1988. Seed structure in cannaceae: Taxonomic and ecological implications. Ann. Bot. 61:363-371. 

  9. Hong, B.H., K.H. Kang, B.H. Choi, J.G. Kim, S.H .Kim, and T.G. Min. 2009. New seed science. Hyangmoon Ltd., Seoul, Korea. 

  10. Hyde, E.O.C. 1954. The function of the hilum in some papilionaceae in relation to the ripening of the seed and the permeability of the testa. Ann. Bot. 18:241-256. 

  11. International Seed Testing Association (ISTA). 2005. International rules for seed testing edition 2005. ISTA, Bassersdorf, SH-Switzerland. 

  12. Jang, S.J. 2009. Determin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s in germinated safflower seeds. MS Thesis, Chonbuk Natl. Univ., Jeonju, Korea. 

  13. Johnston, A.M., D.L. Tanaka, P.R. Miller, S.A. Brandt, D.C. Nielson, G.P. Lafond, and N.R. Riveland. 2002. Oilseed crops for semiarid cropping systems in the northern great plains. Agron. J. 94:231-240. 

  14. Kyle, J.H. 1955. A study of the relationship of the micropyle opening to hard seeds in the Great Northern bean. MS Thesis, Univ. of Idaho, Moscow, U.S.A. 

  15. Lee, C.B. 1980. Picture book of Korean plants. Baekyang Ltd., Seoul, Korea. 

  16. Lee, K.S., Y.H. Kim, and N.J. Chung. 2008. Determination and isolation of antioxidative serotonin derivatives, N-(p-Coumaroyl) serotonin and N-feruoylserotonin from safflower seeds. Korean J. Crop Sci. 53:171-178. 

  17. Maekawa, S. and W.J. Carpenter. 1991. Verbena seed hilum morphology contributes to irregular germination. Hort. Sci. 26:129-132. 

  18. Noh, W.S. and J.S. Park. 1992. Lipid composition of Korean safflower seeds. J. Korean Agric. Chem. Soc. 35:110-114. 

  1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1990. Color atlas. Native plants of Korea (herbaceous plant). RDA, Suwon, Korea. 

  20. Ryu, J.H., J.W. Seo, and C.S. Kang. 2005. The effect of some stress on the germination and the growth of seedling in safflower (Carthamus tinctorious L.). Bul. Agricultural College, Chonbuk Natl. Univ. 36:49-64. 

  21. Shimomura, Y., T. Tamura, and M. Suzuki. 1990. Less body fat accumulation in rats fed a safflower oil diet than in rats fed a beef tallow diet. J. Nutr. 120:1291-1296. 

  22. Stobart, K., M. Mancha, M. Lenman, A. Dahlqvist, and S. Stymne. 1997. Triacylglycerols are synthesised and utilized by transacylation reactions in microsomal preparations of developing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s. Planta 203:58-66. 

  23. Takeuchi, H., T. Matsuo, K. Tokuyama, Y. Shimomura, and M. Suzuki. 1995. Diet-induced thermogenesis is lower in rats fed a lard diet than in those fed a high oleic acid safflower oil diet, a safflower oil diet or a linseed oil diet. J. Nut. 125:920. 

  24. Zhou, Q. H., V. Klekner, and N. Kosaric. 1992. Production of sophorose lipids by Torulopsis bombicola from safflower oil and glucose. J. Amer. Oil Chemists' Soc. 69:89-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