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막걸리와 막걸리 침전물이 간 독성 및 혈청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kgeolli and Makgeolli precipitate on Hepatotoxicity and Serum Lipid Content in Rat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3 no.2 = no.154, 2013년, pp.282 - 289  

김보경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민숙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전명정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상현 (신라대학교 제약공학과) ,  김미향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막걸리 원액의 간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에탄올을 대조군으로 하여 막걸리를 투여한 실험동물의 간 지표 효소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고, 다음으로 실험동물에 사염화탄소로 간 손상을 일으킨 후 알코올 이외의 성분에 의한 막걸리 효능을 검토하기 위해 알코올 성분을 제거하고 얻은 침전물을 투여하여 혈청 중의 효소활성 및 지질농도분석을 통하여 간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기간 중의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라 할 수 있는 실험 동물의 체중 증가량은 에탄올 투여군은 대조군 및 막걸리 투여군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한편 장기 무게에서는 간 조직의 중량이 에탄올 투여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나 막걸리 투여에 의한 감소는 보이지 않았다. 혈청 AST 및 ALT의 경우 막걸리 투여에 의해 오히려 그 활성이 감소하였으나, 에탄올 투여에 의해 그 활성이 증가하여 알코올 자체가 간 조직의 병변에 영향을 준 것으로 추측된다.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은 에탄올 투여군에서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이 증가하였고, 막걸리 투여군인 MG3군은 동량의 에탄올 투여군에 비해서 콜레스테롤 함량이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나, 막걸리 중의 알코올 이외의 성분에 의해 콜레스테롤 증가를 감소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혈청 중 HDL-cholesterol 함량은 막걸리 투여로 인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막걸리가 혈중 HDL-chloesterol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염화탄소에 의해 유도된 간 독성에 막걸리 침전물이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정상군의 AST 및 ALT활성에 비해 사염화탄소에 의하여 간 독성이 유발된 $CCl_4$군의 혈중 AST 활성이 증가되었고, 생막걸리 침전물을 투여한 경우, AST 및 ALT 활성이 정상군의 수준까지 회복되지는 못하였으나, 사염화탄소 투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사염화탄소 투여에 의해 증가한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은 생막걸리 침전물 투여에 의해 정상군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나, 가열막걸리의 침전물을 투여한 경우 정상군 수준으로 회복되지 못하였다. HDL-cholesterol은 생막걸리 침전물 투여에 의해 사염화탄소 투여군 보다 증가하였다. 중성지질의 경우 사염화탄소 투여에 의해 증가되었으나 생막걸리 침전물 투여로 인해 감소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사염화탄소 투여로 상승된 혈청 지질은 막걸리 침전물을 투여한 경우 저하되었으며, 특히 가열막걸리보다 생막걸리 침전물을 투여했을 때 지질대사 개선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kgeolli and Makgeolli precipitate on hepatotoxity and the serum lipid content in rats. First,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Makgeolli and ethanol on the progress of alcoholic fatty liver. The effect of Makgeolli precipitate on carbon tetrachl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의 실험 결과, 막걸리는 같은 농도의 에탄올을 단독 처리한 경우 보다 혈중 간 지표 효소 활성 및 지질 함량에 있어서 간 독성에 영향을 적게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막걸리가 사염화탄소 투여에 의해 간이 손상되었을 때 그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알코올을 제거한 침전물을 이용하여 혈중 효소 및 지질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가설 설정

  • 2)Values in a column not sharing a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 (p<0.05).
  • 2)Values in a row not sharing a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술, 스트레스, 흡연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간 관련 질병은? 이러한 순기능과 달리 술은 전세계적으로 사망률과 유병률, 사회적 위해에 대한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적절한 음주는 허혈성 심장질환과 허혈성 발작 및 담석증의 위험을 줄이지만 과도한 음주의 경우 간 질환의 원인이 되고 있다[9, 43]. 특히, 과음, 일상생활에서 오는 스트레스, 흡연 등으로 간기능이 손상되거나 만성간염, 간 경변 및 간암 등의 간질환이 발생하는 경우가 증가함에 따라 사회적으로 지대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10, 39, 44, 48]. 또한 알코올 섭취는 체내의 지방대사에 영향을 미치며[11, 18], 과량 섭취 시에는 간세포의 직접적인 독성효과로 간세포의 여러 가지 효소활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38].
술의 순기능은? 술은 현대사회에 있어서 기호식품으로 자리매김 하였으며 집단의 사회적 교류의 상징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가진다. 이러한 순기능과 달리 술은 전세계적으로 사망률과 유병률, 사회적 위해에 대한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적절한 음주는 허혈성 심장질환과 허혈성 발작 및 담석증의 위험을 줄이지만 과도한 음주의 경우 간 질환의 원인이 되고 있다[9, 43].
술의 역기능은? 술은 현대사회에 있어서 기호식품으로 자리매김 하였으며 집단의 사회적 교류의 상징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가진다. 이러한 순기능과 달리 술은 전세계적으로 사망률과 유병률, 사회적 위해에 대한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적절한 음주는 허혈성 심장질환과 허혈성 발작 및 담석증의 위험을 줄이지만 과도한 음주의 경우 간 질환의 원인이 되고 있다[9, 43]. 특히, 과음, 일상생활에서 오는 스트레스, 흡연 등으로 간기능이 손상되거나 만성간염, 간 경변 및 간암 등의 간질환이 발생하는 경우가 증가함에 따라 사회적으로 지대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10, 39, 44, 4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Adeneye, A. A. and Benebo, A. S. 2007. Oral metformin-ascorbic acid co-administration ameliorates alcohol-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Nig Q J Hosp Med 17, 155-159. 

  2. Anita, K. C. and James, R. T. 1989. Interaction of hypoxia and carbon tetrachloride toxicity in hepatocyte monolayers. Exp Mol Pathol 50, 183-192. 

  3. Choi, Y. S., Chung, K. H and Cho, S. H. 1987. Effects of alcohol consumption and fat content in diet on growth hepatic function and biochemical indices of blood in rat. Korean J Nutr 20, 432-441. 

  4. Chung, J. H. 1967. Studies on the identification of organic acids and sugars in the fermented mash of the takju made from different raw materials. J Korean Agr Chem Soc 8, 39-43. 

  5. Cunnane, S. C., Manku, M. S. and Horrobin, D. F. 1985. Effects of ethanol on liver triglycerides and fatty acids in the Syrian Golden hamster. Ann Nutr Metab 29, 246-252. 

  6. Cohen, J. A. and Kaplan, M. M. 1979. The SGOT/SGPT ratio- an indicator of alcoholic liver disease. Dig Dis Sci 24, 835-838. 

  7. Dinman, B. D., Hamdin, E. A., Fox, C. F. and Frajola, W. J. 1963. $CCl_4$ toxicity. III. Hepatostructural and enzyme change. Arch Environ Health 7, 630-646. 

  8. Faremi, T. Y., Suru, S. M., Fafunso, M. A. and Obioha, U. E. 2008. Hepatoprotective potentials of Phyllanthusamarus against ethanol-induced oxidative stress in rats. Food Chem Toxicol 46, 2658-2664. 

  9. Fedirko, V., Tramacere, I., Bagnardi V., Rota, M. Scotti, L., Islami, F., Negri, E., Straif, K., Romieu, I., La Vecchia, C., Boffetta, P. and Jenab, M. 2011. Alcohol drinking and colorectal cancer risk: an overall and dose-response meta-analysis of published studies. Annals Oncology 22, 1958-1972. 

  10. Figueroa, P. B. and Klitz, A. P. 1962. Alterations of alcohol dehydrogenase and other enzyme following oral alcohol intoxication. Am J Clin Nutr 11, 235-239. 

  11. Glueck, C. J., Hogg, E., Allen, C. and Gartside, P. S. 1980. Effects of alcohol ingestion on lipids and lipoprotein in normal man. Am. J Clin Nutr 33, 2287-2293. 

  12. Gopumadhavan, S., Rafiq, M., Azeemuddin, M. and Mitra, S. K. 2008. Ameliorative effect of Partysmart in rat model of alcoholic liver disease. Indian J Exp Biol 46, 132-137. 

  13. Ha, T. Y., Cho, I. J. and Lee, H. Y. 2001. Effect of Cassia tora ethanol extracts i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liver injury in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789-794. 

  14. Han, E. H., Lee, T. S., Noh, B. S. and Lee, D. S. 1997. Quality characteristic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55-562. 

  15. Han, E. H., Lee, T. S., Noh, B. S. and Lee, D. S. 1996.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63-570. 

  16. Horvath, T. E., Javor, K. T. and Klinger, W. 1987. Effects allopurinol, (+)-cyanidanol-3 and dihydroquinoline-type antioxidants on rat hepatic microsomal cytochrome p-450 and monooxygenases. Int J Clin Pharmacol Ther Toxicol 25, 201-203. 

  17. Jin, Y. X., Yoo, Y. S., Han, E. K., Kang, I. J., and Chung, C. K. 2008. Artemisia capillaris and Paecilomyces japonica stimulate lipid metabolism and reduce hepatotoxicity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548-554. 

  18. Junqueira, V. B. C., Simiz, K., Videla, L. A. and Barros, S. B. 1996. Dose dependent study of the effects of acute lindamce administration on rat liver superoxide anion production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and lipid peroxidation. Toxicology 41, 193-204. 

  19. Kim, E. K. 2008. (A) study on the association of risky drinking with type of alcoholic beverage preference: compared with alcohol use disorder and high risk drinking for acute problems. M.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of Yonsei University, Korea. 

  20. Kim, J., Nam, K. S. and Noh, S. K. 2012. Cherry silverberry (Elaeagnus multiflora) wine mitigates the development of alcoholic fatty liver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57-64. 

  21. Kim, J. J. 2010. Preventive effects of Daekumeumja on fatty degeneration of liver and immunosuppression induced by alcohol. Ph.D. dissertation, Daegu Hanny University 

  22. Kim, J. S. 2009. Analysis on demand for alcoholic drinks and alcoholic tax effect. M.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Korea. 

  23. Kim, K. H. and Han, H. K. 1998. The effect of mushroom extracts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otoxidity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326-332. 

  24. Kim, S. J. 1997. Preparation of some medicinal herb liquors and their effects on the liver of rats. M.S. Thesis, Hallym Univ., Korea 

  25. Kim, S. M., Yoon, C. H. and Cho, W. K.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ed with takju (Korean turbid rice wine) lees. Korean J Food Culture 22, 359-364. 

  26. Koh, J. B. and Jung, B. M. 1992. Effects of dietary protein levels on the serum lipids and enzyme activities of ethanol- administered rats. Korean J Nutr 25, 578-585. 

  27. Kudo, T., Tamagawa, T. and Shibata, S. 2009. Effect of chronic ethanol exposure on the liver of Clock-mutant mice. http://www.jcircadianrhythms.com/content/7/1/4. 

  28. Lee, H. J., Yoon, C. K and Lee, S. I. 1993. Effect of dietary protein in the changes of lipoprotein fractions in carbon tetrachloride- treated rats. J Korean Soc Food Nutr 22, 127-131. 

  29. Lee, H. S., Hong, K. H., Kim, J. Y., Kim, D. H., Yoon C. H. and Kim, S. M. 2009. Blood pressure lowering effect of Korean turbid rice wine (Takju) lees extracts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SHR). Korean J Food Culture 24, 338-343. 

  30. Lee, H. S., Hong, K. H., Yoon, K. H., Kim, J. M. and Kim, S. M. 2009. Effect of Korean turbid rice wine (takju) less extract on blood glucose level in db/db mouse.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109-113. 

  31. Lee, J. S., Lee, T. S., Park, S. O. and Noh, B. S. 1996. Quality characteristic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different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330-336. 

  32. Lee, S. H. and Joo, J. S. 1985. Nutrition influence of takju (Korean rice wine) on human body. J Korean Rae Univ 22, 17-32. 

  33. Lieber, C. S. and DeCari, L. M. 1970. Quantitative relationship between amount of dietary fat and severity of alcoholic fatty liver. J Clin Nutr 23, 474-480. 

  34. Lieber, C. S. and DeCarli, L. M. 1974. An experimental model of alcohol feeding and liver injury in the baboon. J Med Prim 3, 153-163. 

  35. Masevich, T. G. and Ermolaeva, L. G. 2000. Chronic hepatitis: indicators of disease activity. Ter Arkh 72, 17-18. 

  36. Maynard, E. H., Bitterns, S. and James, R. G. 1971. Effect of 3-methylchloanthrene induction on the CCl4-induced changes in rat hepatic microsomal enzyme system. Biochem Pharmacol 21, 745-750. 

  37. Mezey, E. 1980. Alcoholic liver disease roles of alcohol and malnutrition. Am J Clin Nutr 33, 2709-2718. 

  38. Moody, C. S. and Hassan, H. M. 1982. Mutagenicity of oxygen free radicals. Proc Natl Acsd Sci 79, 2855-2859. 

  39. Muriel, P., Garciapima, T., Perezalvarez, V. and Mourelle, M. 1992. Silymarin protects against paracetamol-induced lipid peroxidation and liver damage. J App Toxicol 12, 439-442. 

  40.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consensus development conference statement lowering blood cholesterol to prevent heart disease. 1985. JAMA 253, 2080-2086. 

  41. PariL, S. A. 2008. Effect of grape (Vitisvinifera L.) leaf extracton alcohol induced oxidative stress in rats. Food Chem Toxicol 46, 1627-1634. 

  42. Recknigel, R. O. 1967. Carbon tetrachloride hepatotoxicity. Pharmacol Rev 19, 145-149 

  43. Rehm, J., Mathers, C., Popova, S., Thavorncharoensap, M., Teerawattananon, Y. and Patra, J. 2009. Global burden of disease and injury and economic cost attributable to alcohol use and alcohol-use disorders. Lancet 373, 2223-2233. 

  44. Reynolds, J. E. F. 1989. Marthindale (The Extra Pharmacopoeis). 29th eds., pp. 1613-1629, The Pharmaceutical press, London. 

  45. Shin, K. R., Kim, B. C., Yang, J. Y. and Kim, Y. D. 1999. Characterization of yakju prepared with yeasts from fruits (volatile components in yakju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i Food Sci Nutr 28, 794-800. 

  46. Shin, K. R., Kim, B. C., Yang, J. Y. and Kim, Y. D. 1999. Characterization of yakju prepared with yeasts from fruits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ju during fermantation). J Korean Soi Food Sci Nutr 28, 801-804. 

  47. Thomas, B. D. and Mariani, M. E. 1989. Comparison of metabolic effects of carbon tetrachloride and 1,2-dichloroethane added in vitro to slice of rat liver. Toxicol In Vitro 3, 159-168. 

  48. Wang, J. and Wendel, A. Studies on the hepatotoxicity of galactosamine endotoxin or galatosamine TNF in the perused mouse liver. Biochem Pharmacol 39, 267-27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