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사결정나무 분석법을 활용한 우울 노인의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Older Adults with Depression Using Data Mining Decision Tree Analysi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3 no.1, 2013년, pp.1 - 10  

박명화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최소라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신아미 (칠곡경북대학교병원) ,  구철회 (청주대학교 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ediction model for the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s with depression using the decision tree method. Methods: A large dataset from the 2008 Korean Elderly Survey was used and data of 14,970 elderly people were analyzed. Target variable was de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15,146명의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2008년도 노인실태조사 자료(MHW, 2009)를 바탕으로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 의사결정나무 분석법을 활용해 우울 노인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최종 분석 대상 14,970명 중 4,423명(2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을 대표할 수 있는 대용량 자료를 바탕으로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 의사결정나무 분석모형을 활용하여 우울 노인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관련 규칙을 도출하여 간호학적 측면에서 데이터마이닝의 지식관리(knowledge management)방법으로서의 유용성을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우울 노인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2008년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한 이차자료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 분석법을 활용해 우울 노인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에서 전국 16개 시·도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2008년도 노인 실태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우울 노인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변인을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 의사결정나무 분석기법을 사용하여 우울 노인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관련 규칙을 도출함으로써 대용량 자료의 지식관리(knowledge management)를 통해 의미있는 지식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데이터마이닝이란 무엇인가? 데이터마이닝이란 특정 패턴 인식 기술이나 통계기법, 수학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의미 있는 새로운 상관관계, 패턴, 추세 등을 발견하는 과정으로 방대한 양의 데이터로부터 함축적이며 잠재적 유용성이 있는 정보를 발견할 수 있다(Fayyad, Piatetsky-Shapiro, Smyth, & Uthurusamy, 1996). 현재 데이터마이닝 기법은 보건의료분야에서 의학연구, 진단, 의료의 질 관리, 병원경영, 고객관리(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RM])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Suhn et al.
삶의 만족도 증진과 만성질환 증상 관리를 병행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 2010) 의사진단 만성질환 수와 우울증 발생이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의사진단 만성질환 수를 1개 보다 많이 보유한 경우에 우울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온 점에 비추어 볼 때 본 연구 대상자들인 노인 집단은 평균적으로 2개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어 이를 통한 심리적 불편감 혹은 우울 위험이 높을 수 있음을 의미하며, 삶의 만족도가 낮고 통증관련 일상생활 어려움이 약간 있거나 전혀 없으며 의사진단 만성질환 수가 1개 보다 많을 경우 우울에 더 의미 있게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우울과 같은 심리적인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삶의 만족도 증진과 만성질환 증상 관리를 병행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의 우울은 무엇에 영향을 받는가? 노인의 우울은 연령(Chou & Chi, 2005; Song, Kim, & Kim, 2010), 결혼상태, 교육, 사회경제적 수준, 인지상태, 신체상태(Chou & Chi), 현재 흡연상태, 운동 단계, 지각된 건강상태(Song et al.), 만성질환 수(An & Tak, 2009; Song et al.), 종교, 일상생활 활동, 주관적 건강상태(An & Tak), 주관적 신체증상(Kang & Chung, 2008; Moon, 2010), 수면 양상, 생활만족도(Moon, 2010), 질병의 수, 영양상태(Kang & Chung) 등의 여러 사회, 물리적 환경뿐 아니라 건강관련 변수들에 의 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선행 연구 대부분은 일부 지역사회 혹은 일부 병원의 노인을 대상으로 일부 변수를 중심으로 단편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노인의 우울상태 와 관련된 통합적이고 다양한 패턴이나 세분화된 특성을 파악하는데 있어 제한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lexopoulos, G. S. (2005). Depression in the elderly. Lancet, 365(9475), 1961-1970. http://dx.doi.org/10.1016/s0140-6736(05)66665-2 

  2. An, J. Y., & Tak, Y. R. (2009). Depressive symptoms and related risk factors in old and oldest-old elderly people with arthrit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1), 72-83. http://dx.doi.org/10.4040/jkan.2009. 39.1.72 

  3. Bae, J. N., & Cho, M. J. (2004).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and its short form among elderly psychiatric patient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57(3), 297-305. http:// dx.doi.org/10.1016/j.jpsychores.2004.01.004 

  4. Bae, W. S., Cho, D. H., Seok, K. H., Kim, B. S., Choi, K. L., Lee, J. E., et al. (2004). Data mining using SAS enterprise miner. Seoul: Kyowoosa. 

  5. Choi, J. H., Kang, H. C., Kim, E. S., Lee, S. K., Han, S. T., & Kim, M. K. (2002). Prediction and excess of data mining using decision tree analysis. Seoul: SPSS Academy. 

  6. Chou, K. L., & Chi, I. (2005).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depression in Chinese oldest-old.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1), 41-50. http://dx.doi.org/10.1002/gps.1246 

  7. Fayyad, U. M., Piatetsky-Shapiro, G., Smyth, P., & Uthurusamy, R. (1996). Advances in knowledge discovery and data mining. Cambridge, MA: MIT Press. 

  8. Furman, E. F. (2006). Undernutrition in older adults across the continuum of care: Nutritional assessment, barriers, and intervention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32(1), 22-27. 

  9. Health Insurance Policy Research Institut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poration. (2011). The press release. Retrieved May 2, 2012, from http:// www.nhic.or.kr/portal/site/main/menuitem.31f14893bf4f6c38b3114 8b4062310a0/ 

  10. Huh, J., Jeong, K. S., Huh, S. H., & Choi, H. K. (2003). Clementine 7 manual. Seoul: Data Solution. 

  11. Huh, M. H., & Lee, Y. G. (2008). Data mining modeling and case (2nd ed.). Seoul: Hannarae. 

  12. Jeon, Y. J. (2003). A study on variable selection methods in the efficacy test of drugs - comparison of statistical and data mining metho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3. Jeong, H. K. (2004). Development of model for preventing informally discharged cancer patients using medical records in an university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14. Kang, J. S., & Chung, Y. S. (2008). The influences of physical health, cognitive symptom and nutritional status o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dwelling in a big c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3), 378-387. 

  15. Kim, D. B., & Sohn, E. S. (2005). A meta-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to depression i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5(4), 167-187. 

  16. Koivumaa-Honkanen, H., Kaprio, J., Honkanen, R., Viinamaki, H., & Koskenvuo, M. (2004).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in a 15-year follow- up of healthy adults.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39(12), 994-999. http://dx.doi.org/10.1007/s00127-004-0833-6 

  17. Lee, S. H., & Oh, K. O. (2008). Disability,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in older adults with osteoarthritis. Chungnam Journal of Nursing Academy, 11, 13-21. 

  18. Maas, M. L., & Delaney, C. (2004). Nursing process outcome linkage research: Issues, current status, and health policy implications. Medical Care, 42(2 Suppl), II40-II48. http://dx.doi.org/10.1097/01.mlr.000010 9291.44014.cb 

  19. Mecocci, P., Cherubini, A., Mariani, E., Ruggiero, C., & Senin, U. (2004). Depression in the elderly: New concepts and therapeutic approaches. Aging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16(3), 176-189. 

  20. Mills, T. L. (2001). Comorbid depressive symptomatology: Isolating the effects of chronic medical conditions on self-reported depressive symptoms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Social Science and Medicine, 53(5), 569-578. http://dx.doi.org/10.1016/S0277-9536(00)00 361-0 

  2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9). 2008 National survey on the elderly. Retrieved May 1, 2012, from http://stat.mw.go.kr/front/statData/publicationView. jsp?menuId41&bbsSeq7&nttSeq12031&searchKey &searchWord&nPage3 

  22. Moon, M. J. (2010).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elderly people living at h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4), 542-550. http:// dx.doi.org/10.4040/jkan.2010.40.4.542 

  23. Park, Y. H., & Suh, E. E. (2007). The risk of malnutrition, depression, and the perceived health status of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6), 941-948. 

  24. Rajkumar, A. P., Thangadurai, P., Senthilkumar, P., Gayathri, K., Prince, M., & Jacob, K. S. (2009). Nature, prevalenc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in a rural south Indian community.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1(2), 372-378. http://dx.doi.org/10.1017/ s1 041610209008527 

  25. Sok, S. R., & Kim, K. B. (2007). Effects of muscle electric stimulation on chronic knee pa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living satisfaction for korean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3), 305-312. 

  26. Song, M. S., Kim, S. K., & Kim, N. C. (2010).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mong rural elder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2(1), 21-28. 

  27. Statistics Korea. (2012). Population projection for Korea: 2010-2060. Daejeon: Statistics Korea. 

  28. Suhn, M. O., Chae, Y. M., Lee, H. J., Lee, S. H., Kang, S. H., & Ho, S. H. (2000). An application of datamining approach to CQI using the discharge summary.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2, 289-299. 

  29. Yesavage, J. A., Brink, T. L., Rose, T. L., Lum, O., Huang, V., Adey, M., et al. (198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7(1), 37-49. http://dx.doi.org/10.1016/0022-3956(82)90033-4 

  30. Yim, E. S., & Lee, K. J. (2003). Effect of physical ability,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in low income elders living at hom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5(1), 38-49. 

  31. Yoon, S. J., Lee, Y. H., Son, T. Y., Oh, H. J., Han, G. S., & Kim, K. H. (2002). Factors associated with dementia and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persons living in the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1(3), 59-7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