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사결정나무 분석기법을 이용한 농촌거주 노인의 우울예측모형 구축
A Predictive Model of Depression in Rural Elders-Decision Tree Analysi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3 no.3, 2013년, pp.442 - 451  

김성은 (우석대학교 간호학과) ,  김선아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descriptive study was done to develop a predictive model of depression in rural elders that will guide prevention and reduction of depression in elder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 was done using face-to-face private interviews. Participants included in the final a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대부분의 예측모형 구축 연구는 다중회귀 분석이나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같은 통계기법을 이용하여 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포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방대한 자료를 분석 하여 요인들 간의 특정 경로를 확인하는 모형화과정인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 의사결정나무분석기법을 적용하여 농촌거주 노인의 우울예측요인을 규명하고 우울에 이르는 경로를 도출하여 모형화함으로써 농촌지역만의 특성화된 노인우울의 예방과 조기발견 및 개입을 위한 간호 프로토콜 개발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경상북도와 강원도 30개 지역 농촌에 거주하는 노인 461명을 대상으로 우울실태를 파악하고 우울예측모형을 구축하여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높은 예측요인을 밝히고 우울 위험이 낮은 대상자군과 높은 대상자군을 분류하여 제시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통해 4개의 경로를 도출하여 모형화하였다.
  • 본 연구는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예측하는 모형을 구축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농촌에 거주하는 노인의 우울예측요인을 규명하고 최적의 예측모형을 구축하고 평가함으로써 우울예방과 감소를 위한 간호프로토콜 개발과 간호중재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해 운동능력, 자아존중감, 농사참여, 사회활동참여, 인지기능, 성별이 농촌거주 노인의 예측요인으로 파악되었고, 4개의 주요 경로를 규명하였으므로 간호실무 현장에서 경로별로 특징적인 집단에 대해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상황생성이론수준의 이론개발을 유도하였으므로 간호프로토콜 개발의 이론적 근거로 활용하여 우울을 사전에 예방하는데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 총 500부의 설문을 실시하여 모두 수거하였으며, 누락된 문항이 많은 39부를 제외한 총 461부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투입된 연구 보조원은 간호학 전공 대학생 중 5명을 선발하여 연구의 목적과 설문지의 문항과 내용 등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시키고, 자료 수집 시 일반적인 유의사항에 대한 교육을 마친 후 자료 수집에 참여하도록 하여 자료 수집절차 상의 오차를 최소화시키고, 자료 수집자 간 신뢰도를 높이고자 노력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우울 예측모형을 구축함으로써 농촌지역의 특성화된 노인우울의 예방과 조기발견 및 개입을 위한 간호 프로토콜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는 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고자 함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우울과 관련하여 가장 빈번하게 제시되며 상관관계가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자아존중감(Kim & Sohn)을 심리사회적 요인으로 포함시켜 우울예측모형을 구축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울증을 겪는 노인들의 어려움은? 우울증을 경험하고 있는 노인들은 부정적 사고, 에너지의 상실, 욕구상실, 집중력 장애, 수면장애 등으로 인하여 심각한 일상생활 활동에 장애를 겪게 되어 삶의 질이 저하되고, 자살과도 밀접한 관련성이 있어 심각한 사회문제를 초래하며, 그에 따르는 의료경제비용도 증가하게 된다(Shin, Jung, Jo, & Kang, 2009). 이러한 우울증은 정신약물의 발달로 적절한 항 우울제 등 약물치료와 다양한 정신 치료를 통해 효과적으로 치료될 수 있는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잘못 진단하거나 진단되지 않은 채 방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ICF 모델에서 건강상태를 구성하는 요인을 어떻게 나누는가? 본 연구는 WHO (2001)가 건강과 건강관련 상태를 표현하기 위해 개발한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ICF]) 모델을 개념적 기틀의 기반으로 하였다. ICF 모델은 건강상태를 구성하는 요인을 실질적인 기능의 상태를 측정하고 평가 하는 ‘기능과 장애’와 기능에 영향을 주는 ‘배경요인’의 두 부문으로 나누고, 이 두 부문이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함으로써 건강상태를 구성하게 된다고 설명한다. 각 부문은 다시 두 차원으로 구분되는데, 기능과 장애는 ‘신체기능과 구조’와 ‘활동과 참여’로, 배경요인은 ‘환경요인’과 ‘개인요인’으로 나누어져 있다.
농촌지역의 노인이 도시 지역 노인들에 비해 나은 점은? 또한, 노인복지여가시설도 부족하고 여성노인, 독거노인이 많아 우울과 관련된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높은 실정이다. 그러나 농촌거주 노인들은 같은 지역에 거주하는 이웃들과 오랜 기간 더불어 살아가기 때문에 사회적 지지체계가 도시지역 노인에 비해 단단하며, 도시지역 노인에 비해 비교적 뚜렷한 은퇴의 시기가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계속적으로 경제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강점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이에 농촌지역의 노인이 도시지역 노인보다 우울이 적게 나타났다는 보고도 있었다(St John, Blandford, & Strain,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ihara, Y., Minai, J., Aoyama, A., & Shimanouchi, S. (2011). Depressive symptoms and past lifestyle among Japanese elderly people.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47(2), 186-193. http://dx.doi.org/10.1007/s10597-010-9317-1 

  2. Cho, M. J., Bae, J. N., Suh, G. H., Hahm, B. J., Kim, J. K., Lee, D. W., et al. (1999). Valid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 (GDS)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8(1), 48-63. 

  3. Choi, H. J. (2006).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using the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in the communit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2), 119-129. 

  4. Delmater, R., & Hancock, M. (2001). Data mining explained: A manager's guide to customer-centric business intelligence. Boston, MA: Digital Press. 

  5. Folstein, M. F., Bassett, S. S., Anthony, J. C., Romanoski, A. J., & Nestadt, G. R. (1991). Dementia: Case ascertainment in a community survey. Journal of Gerontology, 46(4), M132-M138. 

  6. Jeon, H. S., & Kahng, S. K. (2009). Predictors of depression trajectory among the elderly: Using the Korean welfare panel dat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4), 1611-1628. 

  7. Kang, D. K. (2009).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16(3), 557-586. 

  8. Kim, B. K. (2003). Correlational study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among elderly people. Unpublished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9. Kim, D. B., & Sohn, E. S. (2005). A meta-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to depression i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5(4), 167-187. 

  10. Kim, K. B., & Sok, S. R. (2009).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of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2), 197-206. 

  11. Kim, O. S., Yang, S. J., Kim, J. H., Kim, N. Y., & Jeon, H. O. (2007). Leisure activities,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in femal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9(3), 436-446. 

  12. Kim, Y. J. (2009).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s on the decrease of depression of the rural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6, 77-104. 

  13. Kim, Y. S., Yoo, M. S., & Park, J. H. (2009).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with low incom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4), 1313-1325. 

  14. Lee, D. Y., Lee, K. U., Lee, J. H., Kim, K. W., Jhoo, J. H., Youn, J. C., et al. (2002). A normative study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in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1(3), 508-525. 

  15. Lee, H. S. (2008). Health status and utilization of long-term care facility in the urban and rural age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2), 260-269. 

  16. Lee, Y. H. (2003). The impact of familial risk factors on the psycho-social effects of elder abuse.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11, 35-57. 

  17. Lee, Y. H., Lee, K. J., Han, G. S., Yoon, S. J., Lee, Y. K., Kim, C. H., et al. (2002). The development of physical functioning scale for community-dwelling older persons.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5(4), 359-374.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2008 living profiles and welfare service needs of older persons in Korea survey. Seoul: Author. 

  19. Moon, M. J. (2010).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elderly people living at h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4), 542-550. http://dx.doi.org/10.4040/jkan.2010.40.4.542 

  20. Nam, K. M., & Park, H. J. (2010). The influence of participation in religious and social activities of the elderly on their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depression and death anxiet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9, 405-427. 

  21. Rho, B. I., & Mo, S. H. (2007). The effect of levels and dimensions of social support on geriatric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7(1), 53-69. 

  22.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3. Sheikh, J. I., & Yesavage, J. (1986).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In T. L. Brink (Ed.),Clinical gerontology: A Guide to assessment and intervention (pp. 165-173). New York, NY: Routledge. 

  24. Shin, K. R., Jung, D., Jo, I., & Kang, Y. (2009). Depression among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in Korea: A prediction model of depression.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23(1), 50-57. http://dx.doi.org/10.1016/j.apnu.2008.03.001 

  25. Shmueli, G., Patel, N. R., & Bruce, P. C. (2006). Data Mining for business intelligence: Concept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in microsoft office excel with XLMiner. Hoboken, NJ: John Wiley and Sons. 

  26. Song, M. S., Kim, S. K., & Kim, N. C. (2011).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elderly women' depression and physical fitness. The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3(1), 37-43. 

  27. St John, P. D., Blandford, A. A., & Strain, L. A. (2009). Does a rural residence predict the development of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adults? Canadian Journal of Rural Medicine, 14(4), 150-156. 

  28. Statistics Korea. (2011). 2010 agriculture, forestry & fishery census report. Daejeon: Author. 

  29. Suh, G. H., Kim, J. K., Yeon, B. K., Park, S. K., Yoo, K. Y., Yang, B. K., et al. (2000).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ementia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9(5), 809-824. 

  30.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1).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Retrieved August 16, 2010, from http://www.who.int/classifications/icf/e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