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사결정나무 분석법을 이용한 우울 노인 중 자살 고위험군 규명
Identification of High-risk Groups of Suicide from the Depressed Elderly using Decision Tree Analysis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30 no.2, 2019년, pp.130 - 140  

홍세훈 (차의과학대학교 간호대학) ,  이동원 (한성대학교 경영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levels of suicidal ideation and identify subgroups of high suicidal risk among the depressed elderly in Korea. Method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design was adopted on secondary data from the 6th (1st year)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자살생각은 자살시도나 자살사망과는 구분되지만 대부분의 자살에서 생각이 선행하고, 특히 노인에서는 자살시도 전 오랜 시간 동안 자살 생각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고려하였을 때, 자살 생각을 연구하는 것은 중요하다[7,8]. 따라서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 부에서 시행하는 국민건강영양조사(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자료로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 의사결정나무 분석기법(decision tree analysis)을 적용하여 우울 노인 중 자살 생각을 가진 자살 고위험군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데이터마이닝 분석은 대상 집단에 대한 구체적이고 정확한 분류와 예측 및 정책 개발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며, 특히 의사결정나무 분석법은 방대한 자료 속에서 변인 간 발생할 수 있는 상호작용의 영향을 고려하여 종속변인을 가장 잘 설명하는 예측모형을 산출하기 때문에 결정 요인 탐색뿐만 아니라 위험집단 및 예측모형 도출에 유용하고, 집단별 특성에 따라 소집단으로 분류하고 그 규칙을 나무 구조로 만들어 이해하기 쉽고 예측이 쉬워 보건의료 관련 자료의 분석에 유용하다[10,14].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우울 노인을 대상으로 자살생각의 정도를 파악하고 자살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이차자료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전국 규모의 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 의사결정나무 분석법을 활용해 선행연구에서 우울 노인의 자살과 관련된 변수로 제시된 변수 들의 복합적 상호작용을 반영한 우울 노인 중 자살 고위험군의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자살예방과 감소를 위한 간호프로토콜 개발과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우울 노인 중 자살생각 경험자는 28.
  • 본 연구는 전국단위의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우울 노인의 자살생각 실태를 파악하고, 의사결정나무 분석법을 활용하여 우울 노인 중 자살 고위험군의 특성을 규명한 연구로서, 향후 노인 자살 예방 및 감소 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향과 근거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따라서 주관적 경제상태 혹은 실제적 소득수준이 직접적으로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소득계층 간의 정신건강 수준, 위기관리 능력 및 지지체계의 차이와 우울,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등의 매개요인을 통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므로, 단면적인 경제수준과 자살생각에 대한 연구를 넘어 그 경로에 대한 연구와 이를 바탕으로 한 근거기반 중재가 필요하다[11]고 하였 는데, 이는 본 연구를 지지한다고 볼 수 있겠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울 노인의 특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변수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우울 노인의 자살생각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선행연구에서 몇 가지 변수들의 횡적 관계만을 나타낸 결과와 차별화되는 시사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리고 단일요인이 동일한 수준으로 우울 노인의 자살위험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요인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고위험군의 특성별 중재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결정나무 분석법을 활용해 우울 노인중 자살 고위험군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한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데이터마이닝 분석은 대상 집단에 대한 구체적이고 정확한 분류와 예측 및 정책 개발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며, 특히 의사결정나무 분석법은 방대한 자료 속에서 변인 간 발생할 수 있는 상호작용의 영향을 고려하여 종속변인을 가장 잘 설명하는 예측모형을 산출하기 때문에 결정 요인 탐색뿐만 아니라 위험집단 및 예측모형 도출에 유용하고, 집단별 특성에 따라 소집단으로 분류하고 그 규칙을 나무 구조로 만들어 이해하기 쉽고 예측이 쉬워 보건의료 관련 자료의 분석에 유용하다[10,14]. 즉, 본 연구는 전국 규모의 우울 노인을 대상으로 기존 연구의 분석적 한계를 보완하여 자살 위험이 높은 집단의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한국 우울 노인의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 및 중재를 위한 구체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따라서 가장 먼저 나타나는 요인이 보다 중요한 선정기준이 됨으로써 실제 임상에서의 의사결정에 보다 구체적인 결정방법을 제시한다. 의사결정나무의 각 노드가 갖는 최소 케이스의 수를 의미하는 노드 크기는 전체 데이터의 2%에 해당하는 5로 정하였다. x2 통계량은 Pearson 계수를 이용하였고, 통계적 유의 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른 국가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준인 자살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부는 어떤 노력을 하였는가? 이러한 자살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부, 지방자체단체 그리고 민간단체에서 자살예방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고 2013년부터 노인 자살률이 감소추세를 보이고는 있으나 여전히 다른 국가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1]. 이에 정부는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확산’을 국정과제에 포함시켰고, 2017년에는 지자체, 해외 사례 및 전문가, 현장실무자 의견을 반영하여 관계 부처가 합동으로 대책을 마련하여 자살예방 국가 행동계획을 수립하였다. 2018년 4월 보건복지부와 중앙자살예방센터가 발간한 ‘2018 자살예방백서’에서는 노인 대상 자살 예방 정책이 더욱 강화되어야 하며, 보다 근본적인 해결 방안을 마련하고 근거에 기반을 둔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전사회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3].
2017년 기준 전체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몇 % 인가? 우리나라 중앙자살예방센터의 2017년 국내외 자살현황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자살률은 2003년부터 지금까지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가입 국가 중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60대 이상의 연령에서 가장 높은 자살률을 보이고 OECD 평균 자살률보다 2~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 특히, 우리나라는 2017년 기준 전체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14.2%로 집계되어 예상보다 1년 빠르게 고령사회에 진입했고, 세계에서 가장 급속한 속도로 고령화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면서 노인 자살률이 더욱 증가될 위험이 있다[2].
의사결정나무 분석법의 장점은? 따라서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 부에서 시행하는 국민건강영양조사(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자료로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 의사결정나무 분석기법(decision tree analysis)을 적용하여 우울 노인 중 자살 생각을 가진 자살 고위험군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데이터마이닝 분석은 대상 집단에 대한 구체적이고 정확한 분류와 예측 및 정책 개발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며, 특히 의사결정나무 분석법은 방대한 자료 속에서 변인 간 발생할 수 있는 상호작용의 영향을 고려하여 종속변인을 가장 잘 설명하는 예측모형을 산출하기 때문에 결정 요인 탐색뿐만 아니라 위험집단 및 예측모형 도출에 유용하고, 집단별 특성에 따라 소집단으로 분류하고 그 규칙을 나무 구조로 만들어 이해하기 쉽고 예측이 쉬워 보건의료 관련 자료의 분석에 유용하다[10,14]. 즉, 본 연구는 전국 규모의 우울 노인을 대상으로 기존 연구의 분석적 한계를 보완하여 자살 위험이 높은 집단의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한국 우울 노인의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 및 중재를 위한 구체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orea Suicide Prevention Center Research Evaluation Team.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uicide status - Focusing on 2017 OECD health data and 2016 cause of death statistics. KSPC Research Brief. Seoul: Korea Suicide Prevention Center (KSPC); 2017 December. Report No.: 2017-4. Available from: http://www.spckorea.or.kr/new/sub03/sub11.php?Kind1330&Code&page1&Nextlist&Category&Year&Month&Day&il1&choose_Monthyes 

  2. Statistics Korea. 2017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Internet]. Seoul: Author; c2017 [cited 2018 August 27].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370326 

  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Suicide Prevention Center. 2018 suicide prevention white book.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Suicide Prevention Center (KSPC); 2018 April. Report No.:11-1352000-001635-10. Available from: http://www.spckorea.or.kr/new/sub03/sub11.php?Kind1330&Code&page1&Nextlist&Category&Year&Month&Day&il1&choose_Monthyes 

  4. Chang SH, Suh EY, Choi HJ. Risk factors on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attempt among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Based on 2014 community health survey.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17;12(2):111-121. https://doi.org/10.7587/kjrehn.2017.111 

  5. Conwell Y, Van Orden K, Caine ED. Suicide in older adults. Psych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2011;34(2):451-468. https://doi.org/10.1016/j.psc.2011.02.002 

  6. Lapierre S, Erlangsen A, Waern M, De Leo D, Oyama H, Scocco P,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elderly suicide prevention programs. The Journal of Crisis Intervention and Suicide Prevention. 2011;32(2):88-98. https://doi.org/10.1027/0227-5910/a000076 

  7. O'Connell H, Chin AV, Cunningham C, Lawlor BA. Recent developments: Suicide in older people. British Medical Journal. 2004;329:895-899. https://doi.org/10.1136/bmj.329.7471.895 

  8. Oh KS, Han KH, Park JE, Sohn JH, Cho MJ. Association of pain with suicidality in depressed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iatric Psychiatry. 2014;18(2):45-50. 

  9. Lee JE, Lyu JY. Suicide among the elderly in Korea: A meta-analysis. Korea Gerontology. 2017;37(3):601-616. 

  10. Lee DW, Moon SH, Lee HJ, Lee SD. Data mining analysis of factors to predict the suicidal risk of the elderly. Korean Policy Studies Review. 2016;25(1):297-329. 

  11. Kim MH, Kim HS. A review on the risk factors for suicidal ideation among the Korean elderly (2000-2010). Kore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11;48(1):23-34. 

  12. Son ES, Moon SK. Factors affecting the suicide ideation and attempted suicide of the elderly at risk for depression - Focused on Chungcheongnam-do -. Crisisonomy. 2013;9(11):133-153. 

  13. Minayo MC, Cavalcante FG. Suicide attempts among the elderly: A review of the literature (2002/2013). Ciencia & Saude Coletiva. 2015;20(6):1751-1762. https://doi.org/10.1590/1413-81232015206.10962014 

  14. Bae WS, Cho DH, Seok KH, Kim BS, Choi KL, Lee JE, et al. Data mining using SAS enterprise miner. Seoul: Kyowoosa; 2008. 326 p. 

  15. Delmater R, Hancock M. Data mining explained: A manager's guide to customer-centric business intelligence. Boston, MA: Digital Press; 2001. 392 p. 

  16. Kim BJ.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ed risk factors of elderly's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6;14(11):27-35. https://doi.org/10.14400/JDC.2016.14.11.27 

  17. Handley TE, Hiles SA, Inder KJ, Kay-Lambkin FJ, Kelly BJ, Lewin TJ, et al. Predictors of suicidal ideation in older people: A decision tree analysis.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14;22(11):1325-1335. https://doi.org/10.1016/j.jagp.2013.05.009 

  18. Kim HC, Sohn YM.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suicide and suicidal type. The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2006;12(2):1-19. 

  19. Kim GS, Kim BN, So YS. A study on effects of daily stress factors on the suicidal ideation - Focused on the elderly people in Jeonju city -.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2012;26(1):285-315. 

  20. Lee HK, Chang CG. The relation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ntal health, and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elderly. Kore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12;38(1):69-79. 

  21. Yoon MS, Kim SH, Chae WS. The effects of alcohol use, mental health factors on seniors' ideation of suicide. Journal of the Korean Alcohol Science. 2010;11(1):27-44. 

  22. Oh CS. The effects of the elderly's subjective health perceptions and quality of life on their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2;6(2):179-191. 

  23. Koo CY, Kim JS, Yu JO.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elders' suicidal ideation: Focused on comparison of gender differen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4;25(1):24-32. https://doi.org/10.12799/jkachn.2014.25.1.24 

  24. Kim KT, Choi SS, Park MJ, Park SH, Ko SH, Park HS. The effect of family structures and psycho-social factors on suicidal ideation of senior citizen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11;52:205-228. 

  25. Kim KH, Kim JS, Lee BS, Lee EK, Ahn YM, Choi MH. A study ab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suicidal thought in Korean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0;19(4):391-399. 

  26. Chung Y, Cho YH. Gender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after controlling for related factors among korean young-old and old-old Elderly.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2014;39(3):176-186. https://doi.org/10.5393/JAMCH.2014.39.3.176 

  27. Kim JI. Level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EQ-5D)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vulnerable elders receiving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in some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Academic Community Health Nursing. 2013;24(1):99-109.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1.99 

  28. VanItallie TB. Subsyndromal depression in the elderly: Underdiagnosed and undertreated. Metabolism. 2005;54(Suppl 1):39-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