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삼, 홍삼, 흑삼 분말을 이용한 양갱 제조 및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with White, Red and Black Ginseng Powder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3 no.1, 2013년, pp.78 - 84  

김애정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대체의학과) ,  이선희 (신흥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은경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wders prepared from three different varieties of Korean ginseng (white, red and black) are consumed daily by many Koreans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 These variants exert a variety of physiological effects.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약리효능을 지닌 백삼, 홍삼, 흑삼 분말의 생리활성 성분 중 ginsenoside 함량을 분석하고, 남녀노소 쉽게 상식할 수 있는 고에너지 식품인 양갱을 응용하여 백삼, 홍삼, 흑삼 분말을 이용한 양갱의 이화학적, 관능적 품질 특성을 연구하여 기능성 양갱 제조에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갱이란? 양갱(羊羹)은 우리나라 전통식품인 과편(果片)으로 우리나라 말로 단팥묵이며, 단묵 또는 갱(羹)이라고도 하여 앵두, 모과, 복분자, 오미자, 살구, 유자, 귤, 버찌 등의 과즙에 녹말이나 꿀을 넣고 조려서 묵과 같이 굳혀서 만든 음식이다(최필승 1989). 팥을 이용한 조선시대 단묵의 제조법을 보면 팥을 삶아 으깬 다음 체에 내려 껍질을 제거한 팥물을 불에 올려 당분, 소금, 녹말을 붓고 되직하게 졸이다가, 삶아서 당분 물(또는 꿀)에 재워둔 밤을 넣고 식힌 후 반듯하게 썬다고 하였다(윤숙자 1998).
한천의 주요 구성 성분은? 한천은 칼로리가 낮으며, 체내에서 소화 흡수가 잘 안되고, 연동운동을 활발하게 도와준다. 또한 대부분 식이섬유질로 구성되어 있어 수분 흡수량이 많고, 적당량 섭취하면 쉽게 포만감을 느끼고, 변비에도 효과가 있다(Jeon et al 2005). 양갱은 고에너지 식품으로 최근에는 인삼, 딸기, 유자, 밤, 고구마 등 여러 가지 부재료와 향미를 첨가하여 기능성 있는 양갱이 제조되고 있다(Joo MJ 2007).
팥을 이용한 조선시대 단묵의 제조법은? 양갱(羊羹)은 우리나라 전통식품인 과편(果片)으로 우리나라 말로 단팥묵이며, 단묵 또는 갱(羹)이라고도 하여 앵두, 모과, 복분자, 오미자, 살구, 유자, 귤, 버찌 등의 과즙에 녹말이나 꿀을 넣고 조려서 묵과 같이 굳혀서 만든 음식이다(최필승 1989). 팥을 이용한 조선시대 단묵의 제조법을 보면 팥을 삶아 으깬 다음 체에 내려 껍질을 제거한 팥물을 불에 올려 당분, 소금, 녹말을 붓고 되직하게 졸이다가, 삶아서 당분 물(또는 꿀)에 재워둔 밤을 넣고 식힌 후 반듯하게 썬다고 하였다(윤숙자 1998). 양갱은 색과 향이 다채로와서 잔치음식 또는 후식으로 이용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며, 조선시대 궁중 음식 관련 문헌 ‘진연의궤(進宴儀軌)’, ‘진찬의궤(進饌儀軌)’ 등에 의하면 연회 상차림에 자주 등장하였다(Jeong BM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윤숙자 (1998) 한국의 떡, 한과, 음청류. 지구문화사, 서울. p 252. 

  2. 지근억 (2011) Probiotic bifidobacterium의 인간 건강증진에 대한 입증. 한국식품영양학회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서울. pp 77-89. 

  3. 최필승 (1989) 자랑스런 민족음식, 북한의 요리. 한마당, 서울. p 424. 

  4. 한복려, 정길자, 한복진 (2000) 쉽게 맛있게 아름답게 만드는 한과. 궁중음식연구원, 서울. pp 222-231. 

  5. Choi EM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prepared by different ratio of pumpkin. MS Thesis Yeosu National University, Yeosu. pp 10-35. 

  6. Hyun JS, Kim MA (2005) The effect of addition of level of red ginseng powder on yackwa quality and dining storage. Korean J Food Culture 20: 353-359. 

  7. Jeon SW, Hong CO, Kim DS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stability of yanggaengs added with natural coloring ingredients. J Research Institute of Eng Technol 12: 19-34. 

  8. Jeong BM (2004) Nutritional components of yanggaeng prepared by different ratio pumpkin. Korea J Food Cookery Sci 20: 614-618. 

  9. Joo MJ (2007)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lack bean yanggaeng preparation. MS Thesis Youngin University, Youngin. pp 10-12. 

  10. Kim AJ, Han MR, Joung KH, Kang SJ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dasik addition of white, red, and black ginseng powder. Korean J Food & Nutr 22: 63-68. 

  11. Kim AJ, Han MR, Lee SJ (2012) Antioxidative capac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using fermented red ginseng for the elderly. Korean J Food & Nutr 25: 83-89. 

  12. Kim EK, Lee JH, Cho SH, Shen GN, Jin LG, Myung CS, Oh HJ, Kim DH, Yun JD, Roh SS, Park YJ, Seo YB, Song GY (2008) Preparation of black Panax ginseng by new methods and its antitumor activity. Kor J Herbology 23: 85-92. 

  13. Kim JH, Park JH, Park SD, Kim JK, Kang WW, Moon KD (2002) Effect of addition of various mesh sifted powders from safflower seed on quality characteristic of yanggaeng. Korean J Food Preserv 9: 309-314. 

  14. Kim KY, Shin JK, Lee SW, Yoon SR, Chung HS, Jeong YJ, Choi MS, Lee CM, Moon KD, Kwon JH (2007) Quality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red ginseng prepared with different steaming time and drying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494-499. 

  15. Kim SI, Ko SH, Lee YJ, Choi HY, Han YS (2008) Antioxidant activity of yogurt supplemented with red ginseng extract.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358-366. 

  16. Ko SK, Lee KH, Hong JK, Kang SA, Sohn UD, Im BO, Han ST, Yang BW, Chung SH, Lee BY (2005) The change of ginsenoside composition in ginseng extract by the vinegar process. Food Sci Biotechnol 14: 509-513. 

  17. Ku SK, Choi HY (2009)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d ginseng sweet jelly.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219-226. 

  18. Lee SW, Choi HG, Park JH, Kim CK (1999)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dry alcohol containing red ginseng extract. J Ginseng Res 24: 23-28. 

  19. Min SH, Park OJ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9-13. 

  20. Nakahama N (1994) Rheological properties of mixed gels. Korean J Food Cookery Sci 10: 433-459. 

  21. Nam KY (1996) Contemporary Korean ginseng (chemical constituents and pharmacological activity). Korean Ginseng & Tobacco Research Institute, Daejeon. pp 1-54. 

  22. Nam KY, Lee NR, Moon BD, Song GY, Shin HS, Choi JE (2012) Changes of ginsenosides and color from black ginsengs prepared by steaming-drying cycle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0: 27-35. 

  23. Park CK, Jeon BS, Yang JW (2003) The chemical components of Korean ginseng. Food Industry and Nutrition 8: 10-23. 

  24. Park CK, Keak YS, Hwang MS, Kim SC, Do JH (2007) Trends and prospect of ginseng products in market health functional food. Food Sci and Industry 40: 30-45. 

  25. Park MS (2009) A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raji (Platydodon grandiflorum) yanggaeng by different pre-treatment methods and adding levels of doraji. M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pp 20-45. 

  26. Park SH, Cho EJ (1995) Instrument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ixed with kidney bean sediment. Korean J Dietary Culture 10: 247-253. 

  27. Pyun YR, Yu JH, Jeon IS (1978) Studies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Yanggaeng. Korean J Food Sci Technol 10: 344-349. 

  28. Rho SS, Park JH (2008) The effect of ginseng radix preparata extract on anti-thrombotic activity. J East West Medicine 2: 47-61. 

  29. Yun GY, Kim MA (2006) The effect of red ginseng powder on quality of Dasik. Korean J Food Culture 21: 325-32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