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밤 분말을 첨가한 양갱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Yanggaeng made by Chestnut Powder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2 no.8 = no.83, 2016년, pp.182 - 191  

지옥화 (공주교육대학교 실과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밤을 건조하여 분쇄한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양갱의 물리적인 특성과 항산화 활성,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제품 특성을 분석하였다. 밤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양갱의 수분 함량은 35.10%이었으나, 밤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39.24~45.24%로 점차 증가하였다. 밤 양갱의 색도측정에서 명도(L)와 황색도(b)는 밤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한 반면, 적색도(a)는 증가하였다. 총 페놀 화합물 및 항산화 활성은 밤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총 페놀함량과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기계적인 조직감은 밤 분말을 첨가할수록 경도, 부착성, 응집성, 씹힘성은 증가하였으나, 탄력성과 끈적임성은 감소하였다. 밤 분말을 첨가한 양갱의 전체적인 기호도는 맛, 색, 향, 씹힘성, 부드러운 정도, 전체적인 기호도는 밤 분말 10%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양갱에서 밤 분말 첨가는 10~15%가 가장 적당할 것으로 사료되며, 기능성 가공 식품의 제품 개발 및 연구에 밤의 활용도를 높여 가공식품의 시장에 도입하면 밤 생산 및 밤을 이용한 상품개발에 바람직하며, 밤을 대량 생산하는 공주 지역 발전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prepared with different ratios of chestnut powder: 0%, 5%, 10%, 15%, and 20%.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ontrol yanggaeng was higher than that of any other chestnut powder added groups. In terms of color, The light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공주는 고품질 밤을 대량 생산하는 지역으로 주로 생밤의 형태로 판매되고 있으며, 일부 밤 묵, 밤 막걸리, 밤 차 등 간단한 가공식품에 이용되어 앞으로 밤 소비와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한 새로운 가공식품의 개발과 상품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밤 분말 양갱 제품의 상품성 증대 및 기능성 제품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 밤 소비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는 밤을 이용한 전통음식의 발달로 밤을 어떻게 활용하였는가? 한국은 중국, 터키, 이태리와 함께 주요 밤 생산국으로서 세계 최고의 품질을 자랑한다. 예로부터 한국은 밤을 이용한 전통음식이 발달하여 생밤, 황률, 밤고물, 밤속껍질 등의 형태로 하여 밤을 밥, 죽, 미음, 떡, 밤초, 율란, 밤단자, 떡소, 다식 등의 식품에 다양하게 이용하였다(Lee HS et al., 2016;Son et al.
양갱에 밤 분말을 10∼15% 첨가하였을 때가 최적의 비율이라고 판단되는 근거는 무엇인가? 밤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양갱의 수분 함량은 35.10%이었고, 밤 분말의 첨가에 따라 39.24∼45.24%로 점차 증가하였다. 색도는 L값은 밤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으며 a값은 밤 분말을 15% 첨가한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b값은 밤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페놀 화합물 및 항산화 활성에선 총 페놀은 밤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페놀함량도 증가하였으며, DPPH radical 소거능은 밤 분말 20% 첨가군은 64.68%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기계적인 조직감은 밤 분말을 첨가할수록 경도, 부착성, 응집성, 씹힘성은 증가하였으나, 탄력성과 끈적임성은 감소하였다. 밤 분말을 첨가한 양갱의 전체적이 기호도는 맛, 색, 향, 씹힘성, 부드러운 정도, 전체적인 기호도는 밤 분말 10%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밤의 영양성분은 어떠한가? 밤은 탄수화물뿐만 아니라, 베타카로틴(β-carotene)과 비타민 C 등의 항산화 비타민 및 무기질 함량이 높으며, 발린(valine), 루신(leucine), 이소루신(isoleucine),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등 필수아미노산 함량도 높으며, 총 식이섬유 함량이 2.0∼4.7%로 높아 식이섬유의 우수한 급원이 되며(Kimet al., 2005; Seo et al., 2009), 밤의 내피와 과육에는 쿠마린(coumarin), 갈릭산(gallic acid), 카테킨(catechin) 등의 항산화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Barreira et al., 2008; 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rreira, J. C. M., Ferreira, I. C. F. R., Oliveira, M. B. P. P., & Pereira, J. A. (2008).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chestnut flower, leaf, skins and fruit. Food Chem, 107, 1106-1113. 

  2. Chae, H. S., & Jung, S. S. (2013).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with Codonopsis lanceolata skin extracts. Korean J Food & Nutr, 26(4), 990-995. 

  3. Choi, E. J., Kim, S. I., & Kim, S. H.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by the addition of green tea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3), 415-422. 

  4. Choi, J. Y., & Lee, J. H. (2015).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yanggaeng incorporated with orange peel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3), 470-474. 

  5. Choi, S. H.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added with acaiberry (Euterpe oleracea Mart.) powder. The Korean J of Culinary Research, 21(6), 133-146. 

  6. Han, E. J., & Kim, J. M.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ginger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3), 360-366. 

  7. Han, J. M., & Chung, H. J.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added with blueberry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20(2), 265-271. 

  8. Hwang, E. S., & Lee, Y. J.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yanggaeng with aronia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8), 1220-1226. 

  9. Joo, D. S., & Cho, S. Y. (1998). Conditions for the processing of seamustard yangkeng. J East Coastal Research, 9(1), 19-32. 

  10. Kim, J. H., Park, J. H., Park, S. D., Kim, J. K., Kang, W. W., & Moon, K. D. (2002). Effect of addition of various mesh sifted powders from safflower seed on quality characteristic of yanggeng. Korean J Food Preserv, 9, 309-314. 

  11. Kim, M. H., & Chae, H. S. (2011). A study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supplemented with Codonopsis lanceolata Traut (Benth et Hook).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2), 28-234. 

  12. Kim, S. J., Kim, M. H., Kim, J., Kim, H. J., Kim, S. H., Lee, S. H., Park, Y. S., Park, B. K., Kim, B. S., Kim, S. K., Choi, C. S., Ryu, G. H., & Jung, J. Y. (2009). Effect of chestnut on lipid metabolism and antithrombotic capacity in rats. J Food Hyg Saf, 24(1), 69-77. 

  13. Kim, S. S.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yanggeng made by Crataegi fructus extracts. The Korean J of Culinary Research, 21(1), 225-234. 

  14. Kim, Y. D., Choi, O. J., Kim, K. J., Kim, K. M., Hur, C. K., & Cho, I. K. (2005). Component analysis of different parts of chestnut. Korean J Food Preserv, 12(2), 156-160. 

  15. Kwon, S. Y., Chung, C. H., & Park, K. B.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yanggaeng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loquat fruits puree. The Korean J. of Culinary Research, 21(2), 75-84. 

  16. Lee, H. J., Chung, M. J., Cho, J. Y., Ham, S. S., & Choe, M. (2008). Antioxidative and macrophage phagocytic activities and functional component analysis of selected Korean chestnut (Castanea crenata S. et Z.)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9), 1095-1100. 

  17. Lee, H. S., Jang, Y. J., & Kim, S. H. (2016). The study on development of processed foods with chestnut. J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 31(2), 194-203. 

  18. Lee, H. S., Kim, E. J., & Kim, S. H. (2011). Chestnut extract induces apoptosis in AGS human gastric cancer cells. Nutr Res Pract, 5(3), 185-191. 

  19. Lee, J. O., Kim, K. H., & Yook, H. 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aged garlic. J East Asian Soc Dietaty Life, 19, 71-77. 

  20. Lee, S. H. (2013).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added with turmeric powder. Korean J Food & Nutr, 26(3), 447-452. 

  21. Lee, S. M., & Choi, Y. J.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by the addition of purple sweet potato.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5), 769-775. 

  22. Na, Y. J., & Lee, J. H. (2014).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yanggaeng with Cynanchi wilfordii radix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12), 1954-1958. 

  23. Park, C. H., Kim, K. H., & Yook, H. S. (2014). Free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combined with grape juice. Korean J Food & Nutr, 27(4), 596-602. 

  24. Park, C. S., Kim, W. S., Ahn, C. Y., & Lee, M. H. (1999). Chestnut, Persimmon, Date, Walnut. Naewyoi Press, Seoul, Korea, pp 75-94. 

  25. Park, E. Y., Kang, S. G., Jeong, C. H., Choi, S. D., & Shim, K. H.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added with paprika powder. J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3(4), 37-43. 

  26. Park, M. S., Park, D. Y., Son, K. H., & Koh, B. K. (2009) A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raji (Platydodon grandiflorum) yanggeng using by different pre-treatment methods and amounts adding levels of doraji.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1), 78-88. 

  27. Pyo, S. J., & Joo, N. M. (2011). Optimization of yanggaeng processing prepared with mulberry juice. Korean J Food Culture, 26(3), 283-294. 

  28. Seo, D. J,. Chung, M. J., Kim, D. J., You, J. K., & Choe, M. (2009). Nutritional constituent analysis of Korean chestnu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2), 166-176. 

  29. Seo, H. M., & Lee, J. H. (2013).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yanggaeng incorporated with black sesame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1), 143-147. 

  30. Swain, T., & Hillis, W. E. (1959). The phenolic constituents of Prunus domestica. I.-The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ournal of the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 10, 63-68. 

  31. Son, J. W., Shin, S. M., Oh, M. Y., Kim, Y. S., Kim, D. H., Park, K. M., Song, T. H., Ahn, C. K., Yom, Y. H., Lee, S. M., Jung, K. H., & Cho, K. O. (2012). Korean Foods. Powerbook, Seoul, Korea, pp 36-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