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윤리소비신념이 친환경 인조피혁 의류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지각된 소비자 효율 및 의류환경지식의 매개효과
Impacts of Ethical Consumption Beliefs on Attitudes toward Eco-Friendly Faux Leather Apparel Products and Mediating Roles of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and Apparel Environmental Knowledge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7 no.2, 2013년, pp.125 - 137  

정혜정 (중앙대학교 가정교육과) ,  오경화 (중앙대학교 가정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ceptual constructs of ethical consumption beliefs and their impacts on the consumer attitudes toward eco-friendly faux leather apparel goods. The mediating roles of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and apparel environmental knowledge were examined in this research. A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문제 2. ECB가 eco-FLA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힌다.
  • 그러나 아직은 낮은 품질과 저가소재라는 등의 인조피혁에 대한 소비자들의 부정적 인식(Choung, 2011) 으로 인해, 친환경 인조피혁 소재를 개발하여 의류제품에 적용한 친환경 인조피혁 의류제품(Eco-friendly faux leather apparel; 이하 eco-FLA)이 출시될 경우, 판매자 관점에서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문제를 고려한 eco-FLA에 대하여 실제 소비자들이 어떠한 반응을 보이며 구매할 의도가 있는지 등의 소비자 태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태도는 어떤 대상에 대해 일관성 있게 호의적 혹은 비호의적,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반응을 나타내려는 학습된 선유경향으로 태도를 통해 소비자 행동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매우 중요한 변인이다(Lim et al.
  • 의류소재 생산 측면에서도 패션아이템으로서 환경에 무해하고 생태계 보존과 동물보호를 위해 천연피혁을 대체할 친환경 인조피혁 소재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는 국내 원단산업을 고부가가치산업으로 상향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친환경 인조피혁 의류제품이 개발되어 출시될 경우를 대비하여 소비자들의 호의적인 태도를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구매 및 사용의 확산을 유도할 수 있는 영향변인들에 대한 조사가 요구되며 이에 본 연구는 친환경 인조 피혁 의류제품 태도에 미치는 중요 영향변인으로 윤리 소비신념에 주목하였다. 그러나, 소비자들의 일반적인 윤리 소비신념이 높다 하더라도, 아직 상용화되지 않은 특정 제품군인 친환경 인조피혁 의류제품을 구매 혹은 사용하려는 긍정적 태도를 갖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기존의 탐색적, 정성적 연구 중심으로 이루어진 ethical consumption beliefs에 대하여 실증적, 정량적으로 조사하고 ethical consumption beliefs와 함께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와 environmental knowledge of apparel과 같은 소비자사회 심리적 요인들이 ecofriendly faux leather apparel product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기존 연구를 심화하였다는데 학문적 의의를 둘 수 있다. 또한 아직까지 eco-friendly faux leather apparel product가 상용화되지 않은 시점에서 소비자 태도 및 구매의도를 파악하여 시장성을 확인하고, 친환경 인조피혁 제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전략을 실행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실무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몇 가지 한계점 및 후속연구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ethical consumption beliefs의 개념적 구조와 일반적 경향을 분석하고 ethical consumption beliefs의 하위차원이 eco-friendly faux leather apparel product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두 변인들의 관계에서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와 environmental knowledge of apparel의 매개적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한 결과에 대한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류소비자들의 친환경 제품 구매행동에 미칠 수 있는 사회심리적 영향변인으로서 인간, 환경, 동물복지 등의 다양한 범위를 포함하는 다차원적 윤리소비신념(Ethical consumption beliefs;이하 ECB라고 함)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다차원적 ECB가 지각된 소비자 효율과 의류환경지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최종적으로 친환경 인조피혁 의류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기존의 탐색적, 정성적 연구 중심으로 이루어진 ethical consumption beliefs에 대하여 실증적, 정량적으로 조사하고 ethical consumption beliefs와 함께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와 environmental knowledge of apparel과 같은 소비자사회 심리적 요인들이 ecofriendly faux leather apparel product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기존 연구를 심화하였다는데 학문적 의의를 둘 수 있다. 또한 아직까지 eco-friendly faux leather apparel product가 상용화되지 않은 시점에서 소비자 태도 및 구매의도를 파악하여 시장성을 확인하고, 친환경 인조피혁 제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전략을 실행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실무적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의류소비자들의 ECB(Ethical consumption belief; 윤리소비신념)가 eco-FLA(Eco-friendly faux leather apparel products; 친환경 인조피혁 의류제품) 구매 시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ECB와 eco-FLA 태도 간 관계에서 PCE(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지각된 소비자 효율)와 EKA(Environmental knowledge of apparel: 의류환경지식)와 같은 사회적, 환경문제 관련 변인이 매개적 역할을 갖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 2010). 이에 eco-FLA가 실제로 시장에 판매될 경우를 대비하여, 소비자들의 제품에 대한 관심, 호의도, 구매와 사용, 추천의사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친환경 의류소재 및 제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앞으로도 시장성이 있는 점을 고려해볼 때, eco-FLA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소비자들의 사회심리적 요인에 대한 조사가 요구된다.
  • 이에 기존의 윤리소비 및 친환경 소비자 행동연구에서 중요 영향변인으로 제시되었던 지각된 소비자효율 (Huh, 2011)과 의류환경지식(Kim & Damhorst, 1998)에 대해서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 의류소재 생산 측면에서도 패션아이템으로서 환경에 무해하고 생태계 보존과 동물보호를 위해 천연피혁을 대체할 친환경 인조피혁 제품 개발이 요구되며, 이는 국내 원단산업을 고부가가치산업으로 상향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ethical consumption beliefs의 개념적 구조와 일반적 경향을 분석하고 ethical consumption beliefs의 하위차원이 eco-friendly faux leather apparel product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두 변인들의 관계에서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와 environmental knowledge of apparel의 매개적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2010)에 의하면, 정보나 지식에 기반하여 형성된 소비자들의 신념은 대상에 대한 좋고 나쁨, 선호도, 사용 및 구매의도를 보여주는 태도와 관련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윤리소비에 대한 소비자신념이 eco-FLA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 최근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 양적 연구도 이루어졌으나 대부분 윤리소비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과 결과변인으로서 조사된 단차원적인 윤리소비행동의 연구들(Huh, 2011; Kim, 2010)이 대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류소비자들의 친환경 제품 구매행동에 미칠 수 있는 사회심리적 영향변인으로서 인간, 환경, 동물복지 등의 다양한 범위를 포함하는 다차원적 윤리소비신념(Ethical consumption beliefs;이하 ECB라고 함)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다차원적 ECB가 지각된 소비자 효율과 의류환경지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최종적으로 친환경 인조피혁 의류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앞서 고찰한 선행연구를 종합해 보았을 때, 소비자들이 일반적인 범위의 ECB를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PCE가 높고 EKA가 더 많을수록 특정 제품군인 eco-FLA 태도가 더 긍정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ECB와 eco-FLA 태도의 인과관계에서 PCE와 EKA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 그러나 기존 연구들에서는 개인주의적 친환경 제품 구매행동 위주의 연구가 대부분이며 좀 더 넓은 의미의 친환경 제품에 대한 연구는 다소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포괄적 의미의 친환경 소재 및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과 태도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Kim and Damhorst(1998)는 의류소비자들의 환경에 대한 우려가 환경을 고려한 의류제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EKA의 매개역할을 제시하였다. 즉, 일반적인 환경의식이 특정 제품인 의류에 대한 환경지식을 매개하여 친환경 의류제품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제안하였다. 그들의 연구에서는 EKA의 매개적 역할에 대한 가설은 기각되었으나, EKA가 환경을 고려한 의류제품 소비에 중요한 영향변인임을 밝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친환경 제품은 어떠한 의미들을 포함하는가? 기존의 친환경 제품은 개인의 건강을 위한 친환경 식자재, 아토피 방지를 위한 오가닉 의류제품 위주로 개발되어 왔으나 최근에 와서 소비자들이 사회적 책임을 중요하게 생각함에 따라 친환경 소재에 대한 개념이 확대되었다. 즉 친환경 제품은 자신과 가족의 건강에 해가 되지 않는 유기농 면과 같은 자기중심적 혹은 개인주의적 의미와 함께, 환경과 생태계 보호를 위한 폐기시 수질 및 토양오염을 일으키지 않는 자연순환형 친환경 소재와 동물보호를 위해 천연 가죽제품의 대체상품사용과 같은 타인 중심적 혹은 이타주의적 의미까지 포함하게 되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에서는 개인주의적 친환경 제품 구매행동 위주의 연구가 대부분이며 좀 더 넓은 의미의 친환경 제품에 대한 연구는 다소 미흡하다.
의류환경지식은 무엇인가? 지각된 소비자 효율은 한 개인의 노력이 사회문제해결에 차이를 줄 수 있다고 인식하는 정도(Ellen et al., 1991)를 말하며, 의류환경지식은 의류제품의 생산과 소비, 처분 및 폐기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 관련 문제에 대하여 개인이 갖고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Kim & Damhorst, 1998).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친환경 의류산업의 성장과 기업의 친환경 관련 상품 및 프로모션 전략 실행에 도움을 줄 것이다.
현재 국내 의류산업 내 미래시장으로서 친환경 섬유소재가 주목받고 있는 배경은 무엇인가? 기술의 발달로 인해 발생한 환경오염문제에 대하여 기업과 소비자들의 관심과 문제해결을 위한 노력이 증대되고 있으며 의류산업 역시 친환경 소재 및 제품 개발과 사용이 확산되고 있다. 이처럼 현재 국내 의류산업 내 미래시장으로서 긍정적 가능성을 기대하고 있는 섬유소재로 친환경 섬유소재가 주목 받고 있다(Han & Jeong,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hn, Y. M. (2003). Manufacture of soluble micro-fiber and low melting polymer for interior synthetic leather.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2(4), 529?537. 

  2. Ajzen, I., & Fishbein, M. (1980).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s. Englewood Cliffs: Prentice Hall. 

  3. Arcury, T. A., & Johnson, T. P. (1987). Public environmental knowledge: A statewide survey.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18(4), 31-37. 

  4.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5. Berger, I. E., & Corbin, R. M. (1992).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and faith in others as moderators of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s. Journal of Public Policy & Marketing, 11(2), 79-89. 

  6. Butler, S. M., & Francis, S. (1997).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attitudes on apparel purchasing behaviour.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5(2), 76-85. 

  7. Carrigan, M., & Attalla, A. (2001). The myth of the ethical consumer: Do ethics matter in purchase behaviour?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18(7), 560-577. 

  8. Carrigan, M., Szmigin, I., & Wright, J. (2004). Shopping for a better world? An interpretive study of the potential for ethical consumption within the older market.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21(6), 401-417. 

  9. Chae, J. M. (2012). The effect of relationship benefit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mediating role of interac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50(2), 98-107. 

  10. Choung, S. Y. (2011). A study on a hybrid fur brand plann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1. Cowe, R., & Williams, S. (2000). Who are the ethical consumers? Caseplace.org. Retrieved September 27, 2011, from http://caseplace.org/d.asp?d5170 

  12. Ellen, P. S., Wiener, J. L., & Cobb-Walgren, C. (1991). The role of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in motivating environmentally conscious behaviors. Journal of Public Policy & Marketing, 10(2), 102-117. 

  13. Ethical Consumer. (2003). Why buy ethically?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behind ethical purchasing. Ethical Consumer Research Association Ltd. Retrieved February 14, 2012, from http://www.ethicalconsumer.org/linkclick.aspx?fileticket20E2V6AnK5k%3D&tabid1510 

  14. Ethical Consumerism. (n.d.). Wikipedia. Retrieved September 27, 2011, from http://en.wikipedia.org/wiki/Ethical_consumerism 

  15. Frick, J., Kaiser, F. G., & Wilson, M. (2004). Environmental knowledge and conservation behavior: Exploring prevalence and structure in a representative sampl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7(8), 1597-1613. 

  16. Han, S. H., & Jeong, M. A. (2009).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Japanese housewives, considering purchasing behaviors and awareness of eco-friendly materials in fashion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9(8), 110-122. 

  17. Hong, B. S., Lee, E. J., & Chu, Y. J. (2010). The effect of environmental values of fashion consumers on purchas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2(4), 431-438. 

  18. Hong, Y. G., & Song, I. S. (2008). A study of cases of ethical consumption in the analysis of purchasing motive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e products. Consumption Culture Study, 11(3), 23-42. 

  19. Hong, Y. G., & Song, I. S. (2010). A case study of ethical consumer in Korea. Consumption Culture Study, 13(2), 1-25. 

  20. Huh, E. (2011). The determinants of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n the ethical products.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2(2), 89-111. 

  21. James, L. R., Mulaik, S. A., & Brett, J. M. (2006). A tale of two methods.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9(2), 233-244. 

  22. Jung, J. W. (2011). In-depth study on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related to cloth consumption. Consumption Culture Study, 14(1), 49-73. 

  23. Kim, H. S., & Damhorst, M. L. (1998). Environmental concern and apparel consumption.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6(3), 126-133. 

  24. Kim, J. (2009). A qualitative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consumers'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5. Kim, K. H. (2010).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consciousness for environmental problems and ethical consumption behaviors according to lifestyles. The Korean Civic Ethics Review, 23(2), 305-322. 

  26. Koh, A. R. (2009). Ethical consumer behavior in Korea: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Fashion Information and Technology, 6, 54-62. 

  27. Koh, A. R., & Noh, J. (2009). Ethical fashion consumer behavior in Korea-Factors influencing ethical fashion consump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12), 1956?1964. 

  28. Lee, J. H., Choi, Y. J., & Yang, S. U. (2009). Effects of online community participation on real-life engagement: A mediation analysi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Studies, 17(4), 45-66. 

  29. Lee, Y., Kim, S., Shin, J., Youn, C., Lee, S., Jang, S., Jung, S., & Choi, Y. (2009). Fashion industry ethics. Paju: Kyomunsa. 

  30. Lee, J., Noh, J., & Kim, I. (2000). A study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environmentally concerned consumption behavior. Korean Management Review, 29(2), 171-195. 

  31. Lim, J., Kim, J., Hong, S., & Lee, Y. (2010). Consumer behavior (3rd ed.). Seoul: Kyungmoonsa. 

  32. Noh, J. K. (1995). 녹색소비자의 특성분석을 위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reen consumer]. Journal of Korean Marketing Association, 10(2), 77-102. 

  33. Nunnally, J. C. (1978).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Mc-Graw Hill. 

  34. Obermiller, C. (1995). The baby is sick/the baby is well: A test of environmental communication appeals. Journal of Advertising, 24(2), 55-69. 

  35. Papaoikonomou, E., Valverde, M., & Ryan, G. (2012). Articulating the meanings of collective experiences of ethical consumption. Journal of Business Ethics, 110(1), 15-32. 

  36. Park, M. H., & Kang, L. J. (2009). Study on the concept and practice of ethical consumpti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8(5), 1047-1062. 

  37. Roberts, J. A. (1996). Green consumers in the 1990s: Profile and implications for advertising.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36(3), 217-231. 

  38. Song, H. (2008). A study on the consumers' purchasing attitude and reliability about environmental friendly and functional fabric materi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39. Strong, C. (1996). Features contributing to the growth of ethical consumerism-A preliminary investigation-. Marketing Intelligence & Planning, 14(5), 5-13. 

  40. Szmigin, I., & Carrigan, M. (2006). Exploring the dimensions of ethical consumption. European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7, 608-613. 

  41. Szmigin, I., Carrigan, M., & McEachern, M. G. (2009). The conscious consumer: Taking a flexible approach to ethical behaviour.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33(2), 224-231. 

  42. Tilikidou, I. (2007). The effects of knowledge and attitudes upon Greeks' pro-environmental purchasing behaviou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14 (3), 121-134. 

  43. Witkowski, T. H., & Reddy, S. (2010). Antecedents of ethical consumption activities in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Australasian Marketing Journal, 18(1), 8-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