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들의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가치관이 친환경적 태도 및 구매의도간의 구조적 영향 관계 - 소비자 신뢰의 조절효과 -
Structural Influence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ally-friendly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based on the College Students' Values towards Organic Produces -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 Confidence -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3 no.2 = no.85, 2017년, pp.45 - 55  

김종석 (경성대학교 호텔관광외식경영학과) ,  이종호 (경성대학교 호텔관광외식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친환경농산물의 생산은 생태계 보호와 자연환경을 보존하여 인간이 살아 갈 수 있는 자연환경의 지속적 유지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이와 같은 사회적 분위기에서 미래의 주역이 될 대학생들의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가치관과 환경적 태도는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친환경 소비가치관, 친환경적 태도, 구매의도간의 인과관계를 검정함에 친환경농산물의 신뢰의 조절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부산지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2016년 10월 15일부터 30일까지 설문지를 나누어 배포하고, 그중 261부를 SPSS(V 23.0)와 AMOS(V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확인적 요인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과 두 모형사이의 자유도를 고려한 Chi-square를 비교하여 구매횟수의 조절효과성을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들의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가치관은 친환경적 태도와의 인과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고, 소비자 신뢰는 친환경적 태도와 구매의도사이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정부나 지방단체에서는 미래의 주역이 될 대학생들의 친환경농산물에 대한가치관과 친환경적 태도 및 구매의도와의 인과관계가 확인되었기 때문에, 미래의 친환경농산물 정책을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undamental objective of cultivating organic farm produces is to preserve the natural environment and protect eco system so as to maintain the environment where people can live. In the current social atmosphere, the value and attitude of the college students to the environment are significant 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친환경농산물 가치관이 친환경적 태도와 구매의도와의 인과관계 검정에서 소비자 신뢰의 조절효과를 검정하는데 연구의 주목적을 두고 있다. 대학생들의 친환경농산물의 가치관의 하위요인(상징적 가치관, 개인적 가치관, 정책적 가치관)들이 친환경적 태도 및 구매 의도와의 인과관계에서 모든 요인들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 그리고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일반인들과 주부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미래 소비자가 될 대학생들의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환경가치관, 환경적 태도, 구매의도간의 인과관계 및 소비자 신뢰의 조절효과를 검정하여 정부 및 친환경 농산물 생산자들에게 미래의 고객이 될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가치관을 인지하여 친환경농산물 정책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1: 대학생들의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가치관은 친환경적 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대학생들의 친환경적 태도는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대학생들의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가치관은 친환경적 태도와의 영향관계에서 소비자 신뢰는 조절효과를 할 것이다.
  • H4: 대학생들의 친환경적 태도는 구매의도와의 관계에서 소비자 신뢰는 조절효과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친환경 농산물을 구입할 때, 소비자들의 신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정부가 한 일은 무엇인가? 소비자들이 친환경 농산물을 구입할 때, 농산물에 대한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접근하지 못함으로써 신뢰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Kim 등). 따라서 소비자들의 신뢰를 확신시키기 위하여 정부에서는 친환경농산물 품질인정제도 등을 실시하여 소비자들이 안전한 친환경농산물을 구입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인정마크는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친환경적 태도를 정의하면? 친환경적 태도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Park과 Yoo(2007)는 건강동기가 높고 환경에 관심이 높은 소비자일수록 식품을 선택할 때 친환경적 식품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며, 이들은 친환경식품 구매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Hong, Lee와 Kwak(2004)은 친환경적 태도를 환경문제를 방지하고, 환경보호를 위해 지속적으로 가지고 있는 신념과 감정, 또는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심리적 성향으로 정의하고, 친환경 행동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도로 측정하였다. Huh와 Kim(2010)은 친환경농산물의 구매지출과 관련해서는 소비자의 지식이 소비자의 태도보다 더 중요한 변수로 확임됨에 따라 친환경농산물의 구매를 높이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에게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정확하고 올바른 정보를 많이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친환경농산물의 필요성이 생산자뿐 아니라 소비자에게도 매우 중요한 이유는? 따라서 친환경농법으로 생산된 친환경농산물이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친환경농산물은 농약이나 화학비료의 사용을 최대한 줄고 자연친화적인 농법을 사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을 줄이고, 소비자들의 건강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친환경농산물의 필요성은 생산자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도 매우 중요하다(Huh & Kim, 2010). 친환경농업에 의한 친환경농산물은 일반적으로 생산된 농산물과 수입농산물과는 차별화 된 농산물로서 지속가능한 농업정책이다(Hwang & Lee,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jzen, I., & Fishbein, M. (1980). Understanding attitude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Englewood Cliffs, New York, Prentice-Hall. 

  2. Bamberg, S., & Moser, G. (2007), Twenty years after hines, hungerford, and tomera: A new meta-analysis of psychosocial determinants of pro-environmental behavior.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7, 14-25. 

  3. Engel, J. F., Blackwell, R. D., & Miniard, P. W. (2001). Consumer behavior chicago. The Dryden Press, 120-142. 

  4. Foster, B. D., & Cadogan, J. W. (2000), Relationship selling and customer loyalty: An empirical investigation. Marketing Intelligence & Planning, 18(4), 185-199. 

  5. Grossman, R. P. (1999). Relational versus discrete exchange: The role of trust and commitment in determining customer satisfaction.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9(2), 47-58. 

  6. Gwon, E. H., Park, D. C., & Kim, I. S. (2015). A study on the effects of purchasing decision factors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on the users' satisfaction, repurchase, and intention for recommend action.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38(3), 109-133. 

  7. Hong, S. H., Lee, K. H., & Kwak, I. S. (2004). The effects of urban housewives' environmental knowledge and family resource management attitude on family resource management behavior.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2(9), 67-83. 

  8. House, L., Lusk, J., Bruce, T. W., Moore, M., Calli, C., Morrow, B., & Yee, W. (2004). Objective and subjective knowledge: Impacts on consumer demand for genetically modified food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Union. Ag Bio Forum, 7, 113-123. 

  9. Huh, E. J., & Kim, J. W. (2010). Consumer knowledge and attitude to spending 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19(5), 883-896. 

  10. Hwang, C. J., & Lee, S. Y. (2010). An analysis on the purchasing behaviors and influence factors of the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The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Administration Studies , 24(1), 123-145. 

  11. Kim, D. S. (2013). Eco-agricultural products, RFID traceability system, TAM(ease, usefulness), reliability, behavior intention.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9(1), 103-120. 

  12. Kim, M. S., Kim, D. H., Lee, G. H., & Youn, M. K. (2013). Effects of selection criteria for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on purchase intention.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11(12), 71-81. 

  13. Kim, S. H., Jeong, D. W., & Kim, G. H. (2012).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image, awareness, public confidence of certificate mark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nd purchase intension.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15(6), 359-383. 

  14. Kwon, E. H. (2016). The influence that consumer values on eco-friendly farm products exercise consumer consciousness and eco-friendly behavioral intention. Hotel Culinary Catering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Catholic Kwan Dong University. 

  15. Laroche, M., Bergeron, J., & Barbaro-Forleo, G. (2001). Targeting consumers who are willing to pay more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18(6), 503-520. 

  16. Lee, J. H. (2004). The effect of purchasing factors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on consumer attitude and purchasing intention.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2(4), 204-221. 

  17. Lee, Y. J. (2016). The influence of environment value and knowledge on consumer purchase intention for organic foods.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The Graduate, School of Gachon University. 

  18. Lee, Y. J., & Yeo, W. S. (2014). The effect of environmental awareness and consumption value by purchase intention of environment-friendly food materials.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8(6), 181-199. 

  19. Lim, H. J., Lee, Y. B., & Kim, Y. D. (2013). Impact of reason for purchasing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on intent to re-purchase.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26(6), 2633-2654. 

  20. Mayer, R. C., Davis, J. H., & Schoorman, F. D. (1995), An integrative model of organizational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0, 709-734. 

  21. Morgan, R. M., & Hunt, S. D. (1994). The commitment-trust theory of relationship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58(3), 20-38. 

  22. Netemeyer, R., Ryn, M. V., &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 179-211. 

  23. Netemeyer, R. G., Maxham III, J. G. & Pullig, C. (2005), Conflicts in the work-family interface: Links to job stress, customer service employee performance, and customer purchase intent. Journal of Marketing, 69(2), 130-143. 

  24. Noh, J. K. (200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personality, attitude, and environmentally concerned consumption behavior. Journal of Consumption Culture, 8(2), 89-106. 

  25. Parasuraman, A., & Grewal, D. (2000). The impact of technology on the quality-value-loyalty chain: A research agenda. Journal of Academy Marketing Science, 4(2): 102-110. 

  26. Park, S. J., & You, S. Y. (2007). A study of the effect of health motivation and environmental concern on choosing organic food. Journal of Consumption Culture, 10(4), 107-126. 

  27. Park, Y. S. (2016). Study on recognition and purchase action OF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Management Dongguk University. 

  28. Rahman, I., Reynolds, D., & Svaren, S. (2012). How green are north american hotels? An xploration of low-cost adoption pract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31(3), 720-727. 

  29. Rashid, N. R. N. A. (2009). Awareness of eco-label in malaysia's green marketing initia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and Management, 4(8), 132. 

  30. Ryu, E. S., & Suh, S. W. (2015). The effects of green practices, eco-friendly attitudes and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on purchase intention toward green restaurants. Inter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9(11), 87-100. 

  31. Schwepker, C. H. Jr., & Cornwell, B. (1991), An examination of ecologically concerned consumers and their intention to purchase ecologically packaged products. Journal of Public Policy and Marketing, 10(2), 77-101. 

  32. Suh, Y. J., Lim, E. J., & Kim, H. J. (2015). A study on the effect of consumer lifestyle(VALS) on eco-friendly consumption attitudes, behavior intentions and behavior. Journal of Consumption Culture, 46(1), 29-51. 

  33. Thompson, S. C., & Brtin, M. A. (1994). Economic and anthropocentric attitude toward the environ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4(2):149-157. 

  34. Woodruff, R. B. (1997). Customer value: The next source for competitive edge. Journal of Academy Marketing Science, 25(2),139-153. 

  35. Yoo, K. J., & Yoon, H. H. (2014). The influence of values on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of consumers towards organic food. Korean Journal of Hotel Administration, 23(2), 47-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