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윤리적 패션소비에 대한 혜택 및 위험지각이 소비자 태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Roles of Benefit and Risk Perception in Ethical Fashion Consumption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7 no.2, 2013년, pp.159 - 173  

문희강 (배재대학교 가정교육과) ,  추호정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박혜선 (배재대학교 의류패션학과) ,  백은수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mechanism of ethical fashion consumption by examining the effects of benefit and risk perception on ethical fashion consumption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 To test the hypotheses, 300 female consumers between the ages of 20 and 49 were invited as study partici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윤리적 패션소비자의 행동을 예측하고 설명하기 위해 윤리적 패션제품 소비 행동과 태도에 미치는 혜택지각과 위험지각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패션소비자의 윤리적 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혜택지각의 영향력과 윤리적 소비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소비 행동으로 이어지는데 장벽으로 작용하는 위험지각의 역할을 밝히고자 한다.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의 한계로 소비자의 윤리적 행동 자체를 측정해 내는 것은 어려우므로,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으로 행동을 예측할 수 있다고 알려진 행동의도를(Ajzen & Fishbein, 1977) 행동의 대체변수로 도입하여 태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 이와 같이 윤리적 소비 태도가 행동으로 실천되는데 영향을 미치는 장벽에 대한 논의는 이루어져 왔으나, 태도가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행동으로 연결되지 못하는 이유를 실증적으로 밝힌 연구는 거의 이루어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윤리적 소비 태도를 형성하고 소비 행동을 유발하는 긍정적인 영향요인인 추구혜택 지각뿐 아니라, 행동 실행 시 장벽으로 작용하는 위험지각의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미 형성된 윤리적 태도가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위험지각의 조절적 역할을 살펴보고자하며 특히, Jacoby and Kaplan (1972)의 다섯 가지 위험 지각 중, 소비자의 윤리적 태도와 행동 간의 불일치에 미치는 영향이 큰 차원으로 제시되어 온 재무적 위험 지각과 기능적 위험지각의 영향을(Carrigan & Attalla, 2001)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 이와 같은 제3의 변수의 조절적 역할은 종속변수에 미치는 독립변수와 조절변수의 영향력만으로는 설명력이 충분하지 않을 때, 종속변수에 미치는 두 변수 간의 상호작용효과 또한 고려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제안되어 왔다(Baron & Kenny, 1986). 따라서, 윤리적 태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설명력이 충분하지 않게 나타난 분석결과에 따라, 가설 4와 가설 5에서 제안한 제3의 변수인 위험지각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력과 함께 윤리적 태도와 위험지각 간의 상호작용효과 또한 살펴보고자 하였다.
  • 행동의도의 선행변인 중 특히 태도의 역할은 연구대상이나 상황과 무관하게 강력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윤리적 행동의 측정상 문제로 본 연구에서는 행동의도를 행동의 유의한 선행변인으로 보고, 윤리적 태도와 행동의도 간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 지속가능성을 중요하게 부각시키는 환경친화적 제품이나 윤리적 제품의 경우 소비자의 감성적인 측면의 요구와 상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태도가 잘 형성되어 있더라도 그것을 행동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행동에 수반되는 위험에 대한 지각이 윤리적 소비 행동실천에 직접적으로 작용될 수 있음을(Kim, 2003)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윤리적 소비에 대한 소비자와 기업의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비윤리적 생산 및 소비의 대상으로 지목되어온 패션제품에 대한 윤리적 소비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윤리적 패션소비자의 행동을 예측하고 설명하기 위해 윤리적 패션제품 소비 행동과 태도에 미치는 혜택지각과 위험지각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패션소비자의 윤리적 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혜택지각의 영향력과 윤리적 소비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소비 행동으로 이어지는데 장벽으로 작용하는 위험지각의 역할을 밝히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윤리적 패션제품 소비 행동을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하여 이러한 행동이 일어나기 위해 선행되어야하는 태도와, 태도를 형성하기 위한 추구혜택, 그리고 태도와  행동의 연결을 막는 장벽으로써 위험지각을 설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문항들을 측정하였다.
  • 기업 측면에서의 윤리성은 Basil and Weber(2006)이 제시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개념으로 발전되었으며, 기업이 그들의 제품이나 서비스로부터 비롯되는 즉각적인 이윤을 넘어서서 광의의 주주 그룹에게 이익이 되거나 적어도 해가 되지 않는 방식으로 행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 측면의 윤리적 행동보다 소비자 측면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광의적 소비 윤리와 구분되는 개념을 적용하여 소비자 측면의 윤리적 소비로 본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한다.
  •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의 한계로 소비자의 윤리적 행동 자체를 측정해 내는 것은 어려우므로,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으로 행동을 예측할 수 있다고 알려진 행동의도를(Ajzen & Fishbein, 1977) 행동의 대체변수로 도입하여 태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 소비자가 윤리적 패션제품 소비를 통해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추구 혜택으로는 혜택이 내부 지향적인지, 외부 지향적인지, 혜택의 수혜가 개인적인 성격인지 이타적인 성격인지에 따라 사회적 기여 혜택, 사회적 이미지 혜택, 개인적 혜택 세 가지로 제안하였다. 실증 연구를 통해 세 유형의 추구 혜택이 소비자들의 윤리적 패션제품에 대한 태도형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패션제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를 통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윤리적 패션제품 소비와 관련된 혜택지각이 윤리적 패션소비 태도 및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윤리적 소비의 추구 혜택차원이나 구매이유로 제시되지 않았던 내부 지향적이면서 이타적인 혜택차원을 제외한 총 세 개의 추구혜택차원으로구분하였다. 외부 지향적이면서 이타적인 차원으로 사회적 기여(altruistic) 혜택을, 외부 지향적이면서 자기중심적인 차원으로 사회적 이미지(social image) 혜택을, 그리고 내부 지향적이면서 자기중심적인 차원으로 개인적(self-oriented) 혜택의 차원을 개념화하여 윤리적 패션소비의 추구 혜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윤리적 소비자들이 그들의 윤리적 구매에 대한 결과로 얻게 되는 혜택을 인식하는 것은 소비자들의 행동 신념과 관련된다.
  • 친환경 기업의 상품을 구매한다는 것이 자기 개념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기분 좋은 행동’으로 인식하나, 환경친화적 상품이 일반 상품보다 가격 대비 성능 면에서 부족할 경우 구매하지 않는 행동양식을 보이는 이와 같은 소비자 집단은 환경의식과 행동 간의 차이를 지니는 대표적인 소비자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친환경 제품은 반드시 기능적으로 성공적이어야 하고 제품의 질과 비용이 서로 상충관계에 있어서는 안됨을 주장하여 윤리적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기능적인 측면이나 비용적인 측면의 문제점 인식이 윤리적 소비와 관련된 위험지각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Ottman(1992)은 또한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제품소비에 관한 연구에서 제품성능에 대한 불신이 소비자들이 환경친화제품을 선택할 때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장벽임을 밝힌 바 있다.
  •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의 한계로 소비자의 윤리적 행동 자체를 측정해 내는 것은 어려우므로,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으로 행동을 예측할 수 있다고 알려진 행동의도를(Ajzen & Fishbein, 1977) 행동의 대체변수로 도입하여 태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패션소비자의 윤리적 소비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을 제안함과 동시에, 윤리적 소비에 대한 긍정적인 신념이나 태도를 실제적인 행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 또한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윤리적 태도와 행동의도에 대한 추구 혜택과 위험지각의 영향을 이해하는 데 있으므로 패션제품에 대해 높은 관여를 보이며 핵심 표적시장으로 볼 수 있는 20~40대 여성 소비자만을 연구대상으로 한정하여 20대 100명, 30대 100명, 40대 100명으로 피험자를 모집하였다. 특히 선행연구에서는 성별이 환경지향적 행동이나 윤리적 행동에 차이를 보이는 유의한 선행변인으로 제안되어 온바 있으므로(Webster, 1975), 본 연구에서는 잠재적인 성차의 영향력을 통제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조사 전문 회사의 소비자 패널을 이용하여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조사에 성실히 응한 300명의 피험자 데이터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c. 개인적 혜택지각은 윤리적 태도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a. 사회적 기여 혜택지각은 윤리적 태도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b. 사회적 이미지 혜택지각은 윤리적 태도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의식적 구매는 무엇인가? 환경의식적 구매는 생산 과정에서 환경을 해치지 않는 방법으로 제작한 의류상품의 구매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폐의류나 폐현수막, 폐지, 소파가죽 등을 이용한 재활용 의류브랜드, 오가닉 코튼제품, 천연 염색제품 등을 구매하는 것이다.
환경의식적 구매의 예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환경의식적 구매는 생산 과정에서 환경을 해치지 않는 방법으로 제작한 의류상품의 구매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폐의류나 폐현수막, 폐지, 소파가죽 등을 이용한 재활용 의류브랜드, 오가닉 코튼제품, 천연 염색제품 등을 구매하는 것이다.
환경친화적 소비는 무엇인가? 최근 국내에서도 이를 반영하여 많은 기업들이 환경친화적 이미지나 사회공헌 이미지를 내세운 그린마케팅, 윤리적 마케팅 활동을 선보이고 있으며(Lee & Park, 2008), 에너지 절감 도모 등의 친환경 상품, 공정거래제품, 자선을 목적으로 하는 제품의 판매가 활발해지고 있다(Hong & Koh, 2009; Koh, 2009). 환경친화적 소비는 그린소비(green consumption), 녹색소비, 웰빙소비 등의 다양한 용어와 혼용되고있으며, 제품의기획, 생산, 포장에서 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재사용 혹은 재활용 원재료와 친환경적 공정을 활용함으로써 소비자는 물론 관련 종사자의 안전과 건강을 고려하고 환경보호에 기여하는 소비로 정의된다(Lee et al., 2002; 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Aiken, L. S., West, S. G., & Reno, R. R.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London: Sage. 

  2. Ajzen, I., & Fishbein, M. (1977). Attitude-behavior relations: A theoretical analysis and review of empirical research. Psychological Bulletin, 84(5), 888-918. 

  3.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4. Basil, D. Z., & Weber, D. (2006). Values motivation and concern for appearances: The effect of personality traits on responses to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Nonprofit and Voluntary Sector Marketing, 11 (1), 61-72. 

  5. Belk, R. W., Devinney, T., & Eckhardt, G. (2005). Consumer ethics across cultures. Consumption Markets and Culture, 8(3), 275-289. 

  6. Berglund, C. (2006). The assessment of households' recycling costs: The role of personal motives. Ecological Economics, 56(4), 560-569. 

  7. Carrigan, M., & Attalla, A. (2001). The myth of the ethical consumer: Do ethics matter in purchase behaviour?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18(7), 560-577. 

  8. Caruana, R. (2007). A sociological perspective of consumption morality. Journal of Consumer Behaviour, 6(5), 287-304. 

  9. Chen, C. (2001). Design for the environment: A quality-based model for green product development. Management Science, 47(2), 250-263. 

  10. Cherrier, H. (2007). Ethical consumption practices: Co-production of self-expression and social recognition. Journal of Consumer Behaviour, 6(5), 321-335. 

  11. Connell, K. Y. H. (2010). Internal and external barriers to ecoconscious apparel acquisi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34(3), 279-286. 

  12. Crane, A. (2001). Unpacking the ethical product. Journal of Business Ethics, 30(4), 361-373. 

  13. Creyer, E., & Ross, W. (1997). The influence of firm behavior on purchase intention: Do consumers really care about business ethics?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14(6), 421-432. 

  14. Fornell, C., & Lar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15. Gupta, S., & Ogden, D. T. (2009). To buy or not to buy? A social dilemma perspective on green buying.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26(6), 376-391. 

  16. Hair, Jr. J. F., Black, W. C., Babin, B. J., & Anderson, R. E. (2009). Multivariate data analysis (7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17. Hong, H. S., & Koh, A. R. (2009). The effects of benefits pursued to clothing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apparel for consumer's well-being-Eco-friendly and health-functional appare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11), 1839-1852. 

  18. Hunt, N., & Dorfman, B. (2009, January 28). How green is my wallet? Organic food growth slows. Reuters. Retrieved February 20, 2009, from http://www.reuters.com 

  19. Hustvedt, G., & Dickson, M. A. (2009). Consumer likelihood of purchasing organic cotton apparel: Influence of attitudes and self-identity.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13(1), 49-65. 

  20. Irwin, J. R., & Baron, J. (2001). Response mode effects and moral value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84(2), 177-197. 

  21. Jacoby, J., & Kaplan, L. B. (1972). The components of perceived risk. Proceedings of the Third Annual Conference of the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US, 382-393. 

  22. Joergens, C. (2006). Ethical fashion: myth or future trend?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10(3), 360-371. 

  23. Jung, H. J. (2009). Buying behavior of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according to eco-friendly attitud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24. Jung, Y. J., Park, O. L., & Ha, J. K. (2006). The effect of the clothing benefits sought on the enviromental awareness and environment-friendly consum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8(6), 639?646. 

  25. Kim, B. M., & Lee, J. M. (1997). The research on the disposal of unused cloths-Focusing on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5(2), 19?32. 

  26. Kim, H. J. (2003). A critical review on pro-environmental behavior issues. Journal of Geography Education, 47, 79-98. 

  27. Koh, A. R. (2009). Ethical consumer behavior in Korea: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Fashion Information and Technology, 6, 54?62. 

  28. Kollmus, A., & Agyeman, J. (2002). Mind the gap: Why do people act environmentally and what are the barriers to pro-environmental behavior?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8(3), 239?260. 

  29. Laroche, M., Mcdougall, G. H. G., Bergeron, J., & Yang Z. (2004). Exploring how intangibility affects perceived risk. Journal of Service Research, 6(4), 373?389. 

  30. Lee, J. E., Kim, I., & Park, S. K. (2002). A study on the consumer behavior on environmentally beneficial clothing. Journal of Fashion Business, 6(2), 77?92. 

  31. Lee, J. S., Yang, L. N., & Choi, N. Y. (2007). An analysis of environmentally conscious consumers' features and their awareness of green fashion products-Focusing on female residents of Seoul (Comparison between 1999 and 2007)-.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9 (4), 401-408. 

  32. Lee, K. (2008). Opportunities for green marketing: Young consumers. Marketing Intelligence & Planning, 26(6), 573-586. 

  33. Lee, S. H. (2003). A study on environment-friendly family resource management behavior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knowledge, and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1(1), 91?102. 

  34. Lee, S. H., & Noh, Y. N. (2007). Empirical study on variables affecting consumer ethics related to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1), 141-150. 

  35. Lee, S. H., & Park, J. E. (2008). Relationship between ethics level, its antecedents and perceived performance in fashion industries.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13(4) 109-126. 

  36. Leonard-Barton, D. (1981) Voluntary simplicity lifestyles and energy conserva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8(3), 243-252. 

  37. Marsh, H. W., & Hau, K. T. (1996). Assessing goodness of fit: Is parsimony always desirable? Journal or Experimental Education, 64(4), 364-390. 

  38. Moisander, J., & Pesonen, S. (2002). Narratives of sustainable ways of living: Constructing the self and the other as a green consumer. Management Decision, 40(4), 329-342. 

  39. Ottman, J. A. (1992). Industry's response to green consumerism. Journal of Business Strategy, 13(4), 3-7. 

  40. Park, H. H., & Oh, S. D. (2005). The influence of materialism and environment consciousness on recycling attitude and behavior of clothing.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3(10), 167-177. 

  41. Pellegrini, G., & Farinello, F. (2009). Organic consumers and new lifestyles: An Italian country survey on consumption patterns. British Food Journal, 111(9), 948-974. 

  42. Pickett-Baker, J., & Ozaki, R. (2008). Pro-environmental products: Marketing influence on consumer purchase decision.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25(5), 281-293. 

  43. Shaw, D., Grehan, E., Shiu, E., Hassan, L., & Thomson, J. (2005). An exploration of the values in ethical consumer decision making. Journal of Consumer Behaviour, 4(3), 185-200. 

  44. Szmigin, I., & Carrigan, M. (2006). Exploring the dimensions of ethical consumption. European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7, 608-613. 

  45. Tanner, C., & Kast, S. W. (2003). Promoting sustainable consump- tion: Determinants of green purchases by Swiss consumers. Psychology & Marketing, 20(10), 883-902. 

  46. Throne-Holst, H., & Stø, E. (2008). Who should be precautionary? Governance of nanotechnology in the risk society. Technology Analysis & Strategic Management, 20(1), 99-112. 

  47. Torjusen, H., Lieblein, G., Wandel, M., & Francis, C. A. (2001). Foodsystem orientation and quality perception among consumers and producers of organic food in Hedmark County, Norway.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2(3), 207-216. 

  48. Tracy, A. P., & Oskamp, S. (1984). Relationship among ecologically responsible behaviors. Journal of Environmental Systems, 13(2), 115-126. 

  49. Webster, Jr. F. E. (1975).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ly conscious consume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3), 188-196. 

  50. Yi, Y. J. (1994). Testing main effects in interactive multiple regression. Korean Management Review, 23(4), 183-2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