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전복과 다시마 추출물을 첨가한 김치의 발효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Fermented with Abalone or Sea Tangle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3, 2013년, pp.450 - 456  

임정호 (한국식품연구원) ,  박성순 (한국식품연구원) ,  정진웅 (한국식품연구원) ,  박기재 (한국식품연구원) ,  서경호 (장윤정 올레(주)) ,  성정민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복 및 다시마 추출물 첨가 김치의 아미노산 함량 및 발효특성에 관해 살펴보았다. 전복와 다시다는 추출물 형태로 첨가하였으며 젖산균, pH, 산도, 염도, 환원당, 유리당, 유기산, 유리 아미노산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젖산균은 결과 초기 4.4~5.3 log CFU/g 수준이었으며 저장 7일째 6.8~7.1 log CFU/g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그 이후에는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환원당과 유리당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젖산균 증식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산 중 citric acid, malic acid 및 succinic acid는 발효 동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lactic acid와 acetci acid는 증가하였다. 아미노산 분석 결과 타우린은 전복 첨가 김치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 함량은 다시마 첨가 김치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다. 관능평가 결과 또한 다시마 첨가 김치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전복 첨가 김치는 대조구와 비슷한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abalone-kimchi or sea tangle-kimchi during 28 days of storage at $4^{\circ}C$. Abalone and sea tangle were added as extracts compared to a control. We analyzed lactic acid bacteria, pH, acidity, salinity, reducing sugars, free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시마와 전복 추출액은 감칠맛 성분을 가진 천연조미료의 역할과 동시에 건강 기능성 소재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기호 및 상품성을 높이고 영양 및 기능성이 향상된 김치를 개발하고자 다시마, 전복을 김치 제조 시 첨가한 후 발효 기간에 따른 제품의 이화학적 특성, 품질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숙성 중 생성되는 아미노산 함량과 관능 특성을 분석하여 상품적 가치를 검토하였다.
  • 본 연구는 전복 및 다시마 추출물 첨가 김치의 아미노산 함량 및 발효특성에 관해 살펴보았다. 전복와 다시다는 추출물 형태로 첨가하였으며 젖산균, pH, 산도, 염도, 환원당, 유리당, 유기산, 유리 아미노산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시마란 무엇인가? 다시마(Laminaria japonica)는 갈조류에 속하는 다시마 과로 2~3년생인 해조이다(9). 한국인이 즐겨 먹는 해조류로 알긴산, 푸코이단과 같은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지질저하 효과(10-12)가 있고, 섬유소의 함량이 높아 지방의 흡수를 방해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해조 다당류인 alginate의 생리학적 효과는? 더불어 맛을 내는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아 식품의 조미기능을 돕고 있으며, 다른 해조류에 비해 두께감이 어느 정도 있어 식품에 첨가하였을 때 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13). 해조 다당류인 alginate가 존재하여 혈청 중의 total cholesterol 및 triglyceride의 함량을 감소시켜 고지혈증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피하지방의 축척과 비만을 해소시키며, 체내의 유해한 금속을 체외로 배설시키는 작용을 한다(14).
전복 및 다시마를 첨가한 김치의 발효과정 중 pH 변화를 관찰한 결과, 미첨가 대조군 대비 pH 차이는? 40 수준으로 시료들 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김치 발효과정 중 pH 감소 현상은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생성되는 여러 유기산들의 증가에 의한 것이며 숙성 후기에 pH의 변화가 느린 것은 김치 즙액의 유리 아미노산과 무기이온들의 완충작용에 의한 것이라고 보고하고 있다(21). Ku 등(22)은 김치의 pH가 4 이하로 떨어지면 바람직하지 못한 냄새가 생성된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Ku KH, Sunwoo KY, Park WS. 2005. Effects of ingredients on the its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267-276. 

  2. Jeong JW, Kim OS, Sung JM. 2011. Quality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made with different types of dried red pepper (Capsicum annum L.). J Food Sci Nutr 16: 74-82. 

  3. Sung JM, Lim JH, Kim SI, Jeong JW. 2009. Effect of mashed red pepper admixed with various freezing point depression agent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Korean J Food Preserv 16: 861-868. 

  4. Hwang IG, Kim HY, Hwang Y, Jeong HS, Lee JS, Kim HY, Yoo SM. 2012.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added with the fresh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167-174. 

  5. Min SG, Kim JH, Kim Cho S, Sin HS, Hong GH, Oh DG, Kim KN. 2003. Manufactures of functional kimchi using Bifidobacterium strain producing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as start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11-114. 

  6. Han JS, Lee SH, Lee KI, Park KY. 1995. Standardizations of traditional special kimchi in Kyungsang provinc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5: 27-38. 

  7. Yoon SS. 1992. A historical study of Korean traditional kimchi. Korean J Dietary Culture 6: 467-477. 

  8. Park SY, Lim HK, Park S, Cho M. 2012. Quality and preference changes red sea cucumber (Stichopus japonicus) Kimchi during storage period. J Appl Biol Chem 55: 135-140. 

  9. Ahn MJ. 1985. Effects on the fermentation of soy sauce by the addition of the Laminaria longissima. MS Thesis. Korea University, Korea. 

  10. Tsuji E, Tsuji K, Suzuki S. 1975. Effect of polysaccharides on cholesterol metabolism effect of various polysaccharides on serum and liver cholesterol levels in cholesterol-fet rats. Eiyogaku Zashi 33: 273-281. 

  11. Kimura T, Tsuji K. 1993. Effects of the primary structure of alginate on fecal excretion of sodium in rats. Nippon Nogeikagaku Kaishi 67: 1177-1183. 

  12. Tsai AC, Elias J, Kelley JJ, Lin RC, Robson JR. 1976. Influence of certain dietary fibers on serum and tissue cholesterol levels in rats. J Nutr 106: 118-123. 

  13. Ku HS, Noh JS, Yun YR, Kim HJ, Kwon MJ, Cheigh HS, Song YO. 2007. Weight reduction and lipid lowering effects of sea tangle added Korean cabbage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140-1147. 

  14. Kang HJ. 1994. Effects of sodium alginate and cellulose on lipoprotein composition and lipid metabolism in rats.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 

  15. Kim SJ, Seo HL, Lee HM, Yeom JU, Kim GH, Jang ES, Baeg YH, Jeon BH. 2003. The effect of exercise and taurine supplementation on body weight, blood glucose, insulin and cholesterol level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Exerc Nutr 7: 257-263. 

  16. Kim HL, Kang SG, Kim IC, Kim SJ, KIm DW, Ma SJ, Gao T, Li H, Kim MJ, Lee TH, Ham KS. 2006. In vitro anti-hypertensive, antioxidant and anticoagul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Haliotis discus hanna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835-840. 

  17. AOAC. 199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644. 

  18.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19. Sung JM, Lim JH, Park KJ, Jeong JW. 2008. Effects of semi-dried red pepper with a different seed ratio on the quality of kimchi . Korean J Food Preserv 15: 427-436. 

  20. Waters AccQ-Tag Amino Acid Analysis System. 1993. Operator's manual. Manual number 154-02TP REV O June. Milford, MA, USA. 

  21. Kang SS, Kim JM, Byun MW. 1998. Preservation of Kimchi by ionizing radiation. Kor J Food Hygiene 3: 225-232. 

  22. Ku KH, Kang KO, Kim WJ. 1988. Some quality changes during fermentation of Kimch.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476-482. 

  23. Lee YH, Yang IW. 1970. Studies on the packaing and preservation of kimchi. J Korean Agric Chem Soc 13: 207-218. 

  24. Park SH, Lee JH. 2005. The correlati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sour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103-109. 

  25. Bang BH, Seo JS, Jeong EJ. 2008. A method for maintaining good Kimchi quality during fermentation. Korea J Food & Nutr 21: 51-55. 

  26. Cheigh HS, Park KY. 1994. Bi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nutritional aspects of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 products). Crit Rev Food Sci Nutr 34: 175-203. 

  27. Yim SB, Kim MS, Kim EK, Chang YH, Jeong YH. 2011. Microbial properties of taurine supplement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at low temperatur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257-262. 

  28. Lee HS, Ko YT, Lim SJ. 1984. Effects of protein sources on Kimchi fermentation and on the stability of ascorbic acid. Korean J Nutr 17: 101-107. 

  29. Kim YW, Kung JK, Cho YJ, Lee SJ, Kim SH, Park KY, Kang SA. 2009. Quality changes in brined Baechu cabbage using different types of polyethylene film, and salt content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6: 605-611. 

  30. Sung JM, Choi HY. 2009. Effects of Alaska pollack addi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Korean salted cabbage). Korean J Food Preserv 16: 772-781. 

  31. Ryu BM, Jeon YS, Song YS, Moon GS. 1996.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anchovy added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5: 460-469. 

  32. Park DC, Kim EM, Kim EJ, Kim YM, Kim SB. 2003. The contents of organic acids,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in kimchi prepared with salted-fermented fish products and their alternativ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769-776. 

  33. Yoo MJ, Kim HR, Chung HJ. 2001.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in low-temperature and long-term ferment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Dietary Culture 16: 431-441. 

  34. Park IK, Kim SH, Kim SD. 1996. Effects of organic acids addition during salting on the fermentation of Kimchi.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6: 195-204. 

  35. Choi MJ, Seo JN. 2006. The effect of dietary taurine supplementation on plasma and liver lipid concentrations in ra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 121-127. 

  36. Kim ES, Kim JS, Moon HK. 1999. Taurine contents in commercial milks, meats and seafo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6-21. 

  37. Bae TJ, Choi OS. 2001. Changes of free amino acid compositions and sensory properties on Kochujang added sea tangle powder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 Nutr 14: 245-254. 

  38. Yang SH, Choi MR, Kim JK, Chung YG. 1992. Characteristics of the taste in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 J Korean Soc Food Nutr 21: 443-448. 

  39. Cho Y, Rhee HS. 1978. A study on flavorous taste components in kimchis on free amino acids. Korean J Food Sci Technol 11: 26-31.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