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acillus amyloliquefaciens를 이용하여 콩 종류와 발효온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Chungkookjang Prepared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with Different Soybeans and Fermentation Temperature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9 no.1, 2013년, pp.71 - 77  

이나리 (부산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고태훈 (부산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이상미 (부산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홍창오 (부산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박규민 (장마을) ,  박근태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황대연 (부산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손홍주 (부산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가정에서 제조한 청국장으로부터 순수분리한 Bacillus amyloliquefaciens C2를 이용하여 콩 종류와 발효온도에 따른 청국장의 품질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Protease 활성은 $35^{\circ}C$에서 배양했을 때 황태 청국장에서 854 U/g, 흑태 청국장에서 847 U/g로 가장 높았다. Amylase 활성은 황태 청국장의 경우, $40^{\circ}C$에서 3.87 U/g, 흑태 청국장은 $45^{\cricr}C$에서 4.96 U/g로 가장 높았다. 환원당 함량은 황태 청국장의 경우, $40^{\circ}C$에서 16.11 mg/g, 흑태 청국장은 $45^{\circ}C$에서 19.08 mg/g으로 가장 높았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의 경우, 황태 청국장은 $40^{\circ}C$에서 420 mg%/g, 흑태 청국장은 194 mg%/g로 가장 높았다. pH의 경우, 황태 청국장은 $40^{\circ}C$에서 7.92, 흑태 청국장은 $45^{\circ}C$에서 7.59로 가장 높았다. 황태 및 흑태 청국장의 생균수는 각각 $40^{\circ}C$$35^{\circ}C$에서 9.3 log CFU/g로 가장 높았다. 반면에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은 황태 청국장의 경우, $45^{\circ}C$에서 225 mg%/g, 흑태 청국장은 $40^{\circ}C$에서 80 mg%/g로 가장 낮았다. 황태 청국장은 높은protease 활성, pH 및 아미노태 질소함량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흑태 청국장은 높은 amylase 활성과 환원당 함량 및 낮은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hungkookjang depending on different soybeans and fermentation temperatures using Bacillus amyloliquefaciens C2 isolated from homemade Chungkookjang. The highest protease activity was 854 U/g in yellow soybean Chungkookjang and 847 U/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환원당은 DNS법을 사용하여 정량하였으며, glucose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였다. pH 측정은 pH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청국장 발효균주를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한 시료는 밀양지역 각 가정에서 전통적으로 제조된 청국장 20점, 된장 23점 및 밀양의 논에서 수집한 볏짚 47점이었다. 각 시료는 멸균수를 이용하여 단계별로 희석하였다. 이때, Bacillus 균주만을 선별하기 위해 항온수조를 이용하여 90℃에서 5분 동안 방치했다.
  • 각 희석 시료를 skim milk 배지(3% skim milk, 1% tryptone, 0.5% yeast extract, 0.5% NaCl, 1.8% agar, pH 7.5)에 접종하여 30℃에서 1–2일 동안 배양하였다.
  • Bacillus amyloliquefaniens C2를 Luria-Bertani 배지를 이용하여 30℃에서 200 rpm으로 20시간 동안 배양한 배양액을 starter로 이용하였다. 대두(황태 및 흑태)는 autoclave를 이용하여 121℃에서 30분간 증자하였다. 증자한 대두에 상기 균주 배양액을 1% (w/v) 접종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순수분리된 발효균주를 이용하여 발효 온도(35℃, 40℃, 45℃)를 달리하여 제조한 황태 및 흑태 청국장의 발효 중 이화학성분 및 효소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 장류 제품의 발효와 함께 발생하는 불쾌취는 단백질 분해과정에서 탈아민에 의하여 생성되는 암모니아태 질소가 식품 내에 과량으로 축적될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따라서 장류의 소비기피를 유발하는 물질인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을 측정하였다(Fig. 6). 35℃에서는 황태 및 흑태에서 각각 487 mg%/g, 634 mg%/g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40℃, 45℃와 비교시 2배 이상 차이가 나타났다.
  • 분석된 염기서열을 NCBI GenBank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유사균주와 상동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염기서열을 Clustal X program을 이용하여 정렬한 후, MEGA 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리균주의 계통분류학적 위치를 결정하였다.
  • 4 M trichloroacetic acid (TCA) 용액 1 ml를 가하여 30분간 방치하여 반응을 중지시켰다. 반응 중지액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취하여 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28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Shon et al., 2001). 효소 1 unit는 0.
  • 발효온도 및 콩 종류에 따른 청국장의 pH를 측정하였다(Fig. 7). 황태 청국장은 발효 초기 6.
  • 발효온도 및 콩의 종류에 따른 청국장의 구수한 맛 성분인 아미노산과 polypeptide 등을 생성하는 protease 활성을 측정하였다(Fig. 2). 황태 청국장은 35℃에서 배양했을 경우, 42시간에 854 U/g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가정에서 제조한 청국장으로부터 protease 활성이 우수하고 점성 콜로니를 형성하는 Bacillus amyloliquefaciens C2를 분리 및 동정하였다. 이 균주를 이용하여 청국장을 제조한 결과 황태 청국장은 amylase 활성, 환원당, 아미노태 질소 함량, pH 및 생균수 등이 40℃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발효 최적 조건은 발효온도 40℃, 발효 시간 48시간이었다(Table 1).
  • 본 연구에서는 가정에서 제조한 청국장으로부터 순수분리한 Bacillus amyloliquefaciens C2를 이용하여 콩 종류와 발효온도에 따른 청국장의 품질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Protease 활성은 35℃에서 배양했을 때 황태 청국장에서 854 U/g, 흑태 청국장에서 847 U/g로 가장 높았다.
  • 분리균주는 16S rRNA gene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동정하였다. 16S rRNA gene을 증폭하는데 사용된 primer는 E.
  • Clear zone의 크기가 크고, 명확하고, 성장속도가 빠른 colony만을 1차 선별하여 순수분리하였다. 순수분리 된 각 균주를 skim milk 액체배지에서 배양하면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protease 활성을 측정하여 높은 protease 활성을 보인 균주를 공시균주로 선택하였다.
  • Skim milk 배지상에서 clear zone의 크기가 크고, 성장속도가 빠른 26균주를 선정하였다(자료 미제시). 이들의 protease 활성을 측정하여 protease 생성능과 점질물 생성능이 우수한 C2를 최종 선정하여 분류학적 위치를 조사하였다.
  • 증자한 대두에 상기 균주 배양액을 1% (w/v) 접종했다. 접종 후, 35℃, 40℃, 45℃에서 48시간 동안 발효시켜 청국장을 제조하였다. 청국장과 증류수를 1:6 (w/v)의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 및 원심분리(10,000×g, 15분)한 후, 상등액을 회수하여 효소활성 및 이화학적 특성 분석에 사용하였다.
  • 청국장의 기능성을 강화하고 발효를 촉진시킬 수 있는 균주를 분리할 목적으로 가정에서 제조한 청국장, 된장 및 볏짚을 수거하여 균주 분리를 수행하였다. 청국장 발효과정 중에서 단백질의 분해속도가 가장 중요한 발효 인자로 보고되어 있기 때문에 protease의 활성을 중심으로 균주 분리를 실시하였다. Skim milk 배지상에서 clear zone의 크기가 크고, 성장속도가 빠른 26균주를 선정하였다(자료 미제시).
  • 청국장 발효에 따른 각 변수의 해석은 얻어진 결과 중 가장 높은 활성을 기준으로 비교하였으며, 또한 배양시간 경과에 따른 활성의 변화 패턴도 비교하였다.
  • 청국장 발효에서는 단백질 뿐만 아니라 전분의 분해도 중요한 인자인 것으로 알려져 있어 청국장 발효 중 amylase 활성을 측정하였다(Fig. 3). 황태 청국장은 40℃에서 배양했을 때 6시간에 3.
  • 청국장과 증류수를 1:6 (w/v)의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 및 원심분리(10,000×g, 15분)한 후, 상등액을 회수하여 효소활성 및 이화학적 특성 분석에 사용하였다.
  • 청국장의 기능성을 강화하고 발효를 촉진시킬 수 있는 균주를 분리할 목적으로 가정에서 제조한 청국장, 된장 및 볏짚을 수거하여 균주 분리를 수행하였다. 청국장 발효과정 중에서 단백질의 분해속도가 가장 중요한 발효 인자로 보고되어 있기 때문에 protease의 활성을 중심으로 균주 분리를 실시하였다.
  • 청국장의 미생물 생육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생균수를 측정 하였다(Fig. 8). 황태 청국장은 35℃에서 발효 12시간까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가 감소하였고, 40℃와 45℃에서는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꾸준히 증가하였다.
  • 청국장 발효과정 중, 콩의 전분은 Bacillus 등이 분비하는 효소의 작용으로 가수분해되어 청국장 단맛 성분의 주체인 당류가 생성된다. 콩에 있는 전분이 glucose로 전환되는 양을 조사하기 위하여 발효시간에 따른 환원당의 양을 측정하였다(Fig. 4). 황태 청국장은 40℃에서 배양했을 경우, 16.

대상 데이터

  • 청국장 발효균주를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한 시료는 밀양지역 각 가정에서 전통적으로 제조된 청국장 20점, 된장 23점 및 밀양의 논에서 수집한 볏짚 47점이었다. 각 시료는 멸균수를 이용하여 단계별로 희석하였다.

데이터처리

  • coli 16S rRNA gene의 보존염기순서에 근거하여 합성된 27F (5′-AGAGTTTGATCMTGGCTCAG-3′) primer와 1492R (5′-TACGGYTACCTTGTTACGACTT-3′) primer였다. 분석된 염기서열을 NCBI GenBank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유사균주와 상동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염기서열을 Clustal X program을 이용하여 정렬한 후, MEGA 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리균주의 계통분류학적 위치를 결정하였다.

이론/모형

  • 1. Phylogenetic tree constructed using 16S rRNA gene sequences, available in the GenBank database, employing the Neighbour-joining method. The bar indicates a Jukes-Cantor distance of 0.
  • 4 M TCA 1 ml를 첨가하여 30분간 방치하여 반응을 중지시켰다(Oh and Eom, 2008). 반응 중지액을 원심분리하여 회수한 상등액을 dinitrosalicylic acid (DNS)법으로 maltose의 양을 측정하였다(Miller, 1959). 이 때 표준곡선은 maltose를 이용하여 작성하였다.
  • 생균수는 청국장 1 g을 멸균수 9 ml에 첨가하여 계단희석한 후, 표준평판법에 의하여 배양하여 계수하였다.
  • 아미노태 질소 함량(AOAC, 1990)은 formol 적정법을 사용하여 정량하였고,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AOAC, 1990)은 indophenol blue법을 사용하여 정량하였으며, NH4Cl을 표준물질로 사용하였다. 환원당은 DNS법을 사용하여 정량하였으며, glucose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였다.
  • Cl을 표준물질로 사용하였다. 환원당은 DNS법을 사용하여 정량하였으며, glucose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였다. pH 측정은 pH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국장 발효는 어떤 요인에 영향을 받는가? 청국장 발효는 대두의 종류, 사용균주, 발효온도, 습도 등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Kim et al., 2006).
콩은 어떤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가? 청국장의 맛과 품질을 좌우하는 콩은 오랫동안 쌀 다음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필수아미노산과 필수지방산의 함량이 높아 단백질과 지방의 공급원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isoflavone, saponin, phytic acid, oligosaccharides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기능성 물질들을 함유하고 있다(Eom et al., 2009; Yoo, 2012).
청국장 발효는 일반적으로 어떤 온도에서 이뤄집니까? , 2006). 일반적으로 청국장은 40–42℃에서 발효시킨다고 알려져 있지만, 발효온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청국장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p. 145.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 Eom, S.M., Jung, B.Y., and Oh, H.I. 2009.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Cheonggukjang prepared with germinated soybeans during fermentation. J. Appl. Biol. Chem. 52, 133-141. 

  3. Hwang, J.H. 2010. The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prepared by starter culture of Bacillus spp. with fibrinolytic activity. J. Kor. Soc. Food Sci. Nutr. 39, 1832-1838. 

  4. Jeong, J.B., Choi, S.K., Jeong, D.Y., Kim, Y.S., and Kim, Y.S. 2012. Effects of germination time of soybean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fermented with an isolated bacterial strain. Kor. J. Food Sci. Technol. 4, 69-75. 

  5. Kim, M.H., Han, S.Y., Ko, J.M., and Kim, Y.S. 2012a.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proteins in Cheonggukjang (fermented unsalted soybean paste) prepared with various soybean cultivars. Food Sci. Biotechnol. 21, 9-18. 

  6. Kim, K.M., Kim, H.R., Yoo, S.M., Kim, J.S., and Choe, J.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unggugjang prepared by Bacillus subtilis NRLSI IV with different inoculum levels and fermentation temperatures. Kor. J. Food Cookery Sci. 22, 291-298. 

  7. Kim, A.R., Lee, J.J., Cha, S.S., Chang, H.C., and Lee, M.Y. 2012b. Effect of soybeans, Chungkukjang, and Doenjang on blood glucose and sereum lipid profile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J. Kor. Soc. Food Sci. Nutr. 41, 621-629. 

  8. Lee, H.J., Kim, S.I., Park, J.G., Park, J.N., Han, I.J., Song, B.S., Kim, J.H., Byun, M.W., and Lee, J.W. 2008. Effect of Choi-cha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sensory quality of Chungkookjang (Korean fermented soybean). Korean J. Food Preserv. 15, 144-149. 

  9. Lee, J.J., Lee, D.S., and Kim, H.B. 1999. Fermentation patterns of Chungkookjang and Kanjang by Bacillus licheniformis B1. Kor. J. Microbiol. 35, 296-301. 

  10. Lee, H.J. and Shu, J.S. 1981. Effect of Bacillus strains on the Chungkookjang processing (?). Changes of the components and enzymes activities during Chungkookjang koji preparation. Kor. J. Nutr. 14, 87-104. 

  11.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9. 

  12. Moon, H.K., Lee, S.W., Moon, J.N., Kim, D.H., Yoon, W.J., and Kim, G.Y.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various beans in distributio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215-221. 

  13. Oh, H.I. and Eom, S.M. 2008. Changes in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ies of Cheonggukjang prepared with germinated soybeans during fermentation. Kor. J. Food Sci. Technol. 40, 56-62. 

  14. Shon, M.Y., Kwon, S.H., Sung, C.K., Lee, S.W., and Park, S.K. 2001. Isolation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Bacillus megaterium SMY-212 for preparation of black bean Chungkugjang. J. Life Sci. 11, 304-310. 

  15. Yoo, J.S. 2012. Pretreatment of soybean and development of fermentation conditions of Chungkukjang for high contents isoflavone production. Food Eng. Prog. 13, 355-361. 

  16. Yoo, S.M. and Chang, C.M. 1999. Study on the processing adaptability of soybean cultivars for Korean traditional Chonggugjang preparation. J. Kor. Soc. Agric. Chem. Biotechnol. 42, 91-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