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IMSS 결과에 기초한 과학의 정의적 성취 특성 및 과학 교사의 인식 분석
An Analysis of the Properties of Affective Achievement in Science Based on TIMSS and Science Teachers' Perception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3 no.1, 2013년, pp.46 - 62  

김미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조지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TIMSS 2007 결과 과학 영역의 학업 성취는 높지만 정의적 성취가 서로 다른 국가들을 선정하여 정의적 특성과 관련된 학생 설문 문항을 분석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과학 교사 대상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과학 교수 학습의 특성과 정의적 성취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학생 설문 분석 결과, 과학에 대한 자신감, 즐거움, 가치 인식 수준이 높은 학생의 비율은 홍콩, 싱가포르, 잉글랜드는 높고 우리나라, 대만, 일본은 그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실제 과학 수업의 교수 학습 특성을 보면 우리나라는 실험과 연구 활동이나 실생활 맥락에서의 과학 수업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과학 교사 대상 설문 결과에서 과학에 대한 자신감이 낮은 이유로 과학 내용이 어렵고 흥미롭지 않은 점과 과학 학습을 위한 절대적 시간의 부족을, 과학에 대한 흥미가 낮은 이유로 과학 내용이 어렵고 미래 자신의 진학이나 진로와 관련이 없다고 생각하는 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과학 교과의 가치 인식이 낮은 이유로 진로를 위해 과학을 잘 할 필요가 없어서나 과학이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여기는 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nations with high academic achievement but disparate affective achievement in scien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TIMSS 2007 were selected and students' responses in the main survey for affective properties from those nations were analyzed. In addition, Korean science teachers' 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과학 수업에서 정의적 성취 향상을 위한 교수 학습방안을 실행하는데 있어 저해가 되는 요인들에 대한교사의 의견을 조사하여 에 제시하였다.
  • 다음으로 과학 교사 대상 온라인 설문 결과에서, 교사들은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자신감이 낮은 이유로 과학 내용이 어렵고 흥미롭지 않은 점과 과학 학습을 위한 절대적 시간의 부족을, 과학에 대한 흥미가 낮은 이유로 과학 내용이 어렵고 미래 자신의 진학이나 진로와 관련이 없다고 생각하는 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과학 교과의 가치 인식이 낮은 이유로 진로를 위해 과학을 잘 할 필요가 없어서나 과학이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여기는 점 등을 제시하였다. 과학 수업의 유형에 대해서는 자연 현상을 관찰하거나 관찰한 것을 설명하는 활동하기, 실험이나 조사 활동 설계하고 수행하기 등의 활동을 ‘전혀 하지 않는다’는 응답도 일부 제시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과학 영역에서의 정의적 성취 향상을 모색하기 위하여 TIMSS 2007 결과 학업 성취는 높지만 정의적 성취가 서로 다른 국가들을 선정하여 배경 변인 중 정의적 성취 관련 학생들의 설문 문항을 분석하였다. 또한 과학 교사 대상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 교수 학습의 특성과 정의적 성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과학 영역에서의 정의적 성취 향상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TIMSS 2007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학업 성취와 정의적 성취가 모두 우수한 국가와 학업 성취는 높지만 정의적 성취는 낮은 국가들을 선정하여 이들 국가의 학생 설문지 중 정의적 특성과 교수 학습 특성에 대한 문항의 응답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실제 과학 수업에서 진행하는 교수 학습의 특성과 과학의 정의적 성취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 셋째, 평가 방법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학생 설문에서 우리나라는 어떤 현상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이나 생각을 묻는 문제를 ‘거의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이 매우 높았다.
  • 여기서는 과학 수업에서 실제로 어떤 유형의 수업이 이루어지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IMSS 학생 설문 중 교수 학습 특성에 대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표 11). 또한 설문 유형별로 3문항을 선정하여 이 문항에 대한 A그룹과 B그룹 국가 학생들의 응답 결과와 각 척도별 성취 점수를 비교하였다.
  • 실제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에 의해 진행되는 과학 수업의 교수학습 특성은 학생들의 정의적 태도에 관련된다고 알려져 있다(곽영순 등, 2006; 박두찬, 송진웅, 2009). 이런 관점에서 우리나라 과학 교사들의 교수 학습 특성과 과학의 정의적 성취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 대상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실시에 앞서 연구진의 협의를 거쳐 설문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과학 교육 전문가 3인에게 내용 타당도를 점검받았다.
  • 또한 우리나라의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실제 과학 수업에서 진행하는 교수 학습의 특성과 과학의 정의적 성취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학생들이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하게 나타난 정의적 특성을 알아보고, 또한 과학의 교수 학습 측면에서 정의적 성취가 낮은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실제 교육 현장에서 구현되고 있는 교수 학습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과학 교수 학습 측면에서의 실행 가능한 개선 방안을 모색할 수 있으며, 과학 교수 학습 개선을 위한 방안 마련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 비교 연구는 무엇인가?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 비교 연구(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이하 TIMSS)는 국제 교육성취도 평가협회(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valua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 이하 IEA)가 주관하는 국제 학업 성취도 평가 연구이다. IEA 회원국인 우리나라는 8학년의 경우 TIMSS 1995, 1999, 2003, 2007, 2011에 모두 참여하였으며, 학업 성취의 경우 줄곧 최상위권의 성적을 유지하고 있지만 정의적 영역에서의 성취는 인지적 영역의 학업 성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성취를 나타내고 있다.
IEA 회원국인 우리나라는 언제 TIMSS에 참여하였는가?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 비교 연구(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이하 TIMSS)는 국제 교육성취도 평가협회(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valua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 이하 IEA)가 주관하는 국제 학업 성취도 평가 연구이다. IEA 회원국인 우리나라는 8학년의 경우 TIMSS 1995, 1999, 2003, 2007, 2011에 모두 참여하였으며, 학업 성취의 경우 줄곧 최상위권의 성적을 유지하고 있지만 정의적 영역에서의 성취는 인지적 영역의 학업 성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성취를 나타내고 있다. 과학 교육에 있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를 함양시키는 것은 그 자체만으로도 중요한 과학교육 목표이며(OECD, 2007), 학생들의 과학 학습의 흥미도는 과학 교과의 학업 성취를 예측하게 하는 주요 변수 중 하나라고 알려져 있다(강영혜 등, 2007).
학교급 별로 과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 수준을 분석한 결과는 무엇인가? 과학에서의 정의적 태도와 학업 성취와의 관련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곽영순 등(2006)은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설문 조사를 통해 학교급 별로 과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 수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내적 동기인 과학에 대한 흥미와 즐거움, 도구적 동기 유발 및 과학에 대한 가치 인식, 과학에 대한 자신감 등은 학교 급이 높아질수록 낮아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원인으로 학교 급이 높아질수록 과학 내용이 어려워지며, 실험이나 활동은 하지 않고, 교사가 설명 위주로 지루한 수업을 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강영혜, 박소영, 정현철, 박진아(2007). 특수목적 고등학교 정책의 적합성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1007-5. 

  2. 곽영순, 김찬종, 이양락, 정득실(2006). 초, 중등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조사. 한국지구과학교육학회지, 27(3), 260-268. 

  3. 교육부(1998). 제 7차 과학과 교육과정(교육부 교시 제 1997-15호). [별책 9]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4. 김경희, 김수진, 김남희, 박선용, 김지영, 박효희, 정송(2008).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 변화 국제비교 연구-TIMSS 2007 결과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E 2008-3-3. 

  5. 김윤지, 정진우(2006). 고등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대한 동기 요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2), 291-297. 

  6. 박두찬, 송진웅(2009). 학생들은 어떤 과학 수업에 호응하는가?: 학교 과학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가치 인식과 호응 양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6), 593-610. 

  7. 윤미선, 김성일(2003). 중.고생의 교과흥미 구성 요인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7, 217-290. 

  8. 이미경, 김경희(2004).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성취도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99-407. 

  9. 조지민, 김수진, 김미영, 옥현진, 임해미(2012). 학업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 결과에 기초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정의적 성취 향상 지원 방안.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연구보고 CRE 2012-4. 

  10. Basu, S. J., & Barton, A. C. (2007). Developing a sustained interest in science among urban minority yout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3), 466-489. 

  11. Chang, S. N., Yeoung, Y. Y., Cheng, M. H. (2009). Ninth graders'learning interests, life experiences and attitudes towards science & technology.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8, 447-457. 

  12. Martin, M. O., Mullis, I. V. S., & Foy, P.(2008). TIMSS 2007 International Science Report,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13. OECD(2007). PISA 2006 Science Competencies for Tomorrow's World. Volume 1: Analysis Paris: OECD. 

  14. Osborne, J., Simon, S., & Collins, S. (2003). Attitudes towards science: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its im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9), 1049-1079. 

  15. Pintrich, P.R., & Schunk, D. H. (2002).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2nd Ed.). Columbus, OH: Merrill- Prentice Hal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