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09 개정 과학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물리 교과서 탐구활동 분석
An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in High School Physics Textbooks for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3 no.1, 2013년, pp.132 - 143  

강남화 (한국교원대학교) ,  이은미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과학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물리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활동을 과학적 실천 개념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교과서를 통해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가능한 탐구 학습의 경험을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기'와 '설명 구성하고 문제해결 고안하기'가 다른 과학적 실천에 비해 강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질문하고 문제 규정하기'는 물리 교과서 4권을 통틀어 단 1건이 있었다. 단원별로 강조되는 과학적 실천의 차이가 거의 없어 특정 과학적 실천의 강조가 교과 내용과는 무관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탐구활동에서 수행한 과학적 실천이 교과서 내용 전개상의 탐구활동의 목적과는 무관하게 사용되고 있음이 드러났다. 교육과정과 교과서 그리고 교사 교육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ature of inquiry activities proposed in high school physics textbooks that were developed based on the 2009 science curriculum in Korea. The inquiry activities were analyzed using the notion of scientific practices introduced in the Science Education F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분석은 관련 문헌의 부재로 인해 이미 정해진 틀에 의하지 않고 귀납적으로 수행하였다. 2종의 물리Ⅰ과 물리Ⅱ 교과서의 탐구활동의 목적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교과서 전개에 있어서의 탐구 활동의 목적을 하나씩 밝혀 가면서 더 이상 새로운 목적이 드러나지 않을 때까지 목적의 종류를 확인하고 각 활동별 목적을 밝혔다.
  • 물리 교과서에 포함된 과학적 실천의 종류와 강조되고 있는 과학적 실천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하나의 탐구활동에 한 개 이상의 과학적 실천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탐구 활동 수에 비해 과학적 실천의 수가 많게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교과서가 교육과정을 구체화하여 학생들의 학습 경험을 규정하고 평가 내용을 제공한다는 이론적 배경을 기반으로, 2009 개정 과학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물리 I 과 물리 Ⅱ 의 교과서의 탐구 활동을 과학적 실천 요소들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활동들이‘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기’와‘설명 구성하고 문제해결 고안하기’와 같은 전통적 탐구의 형태가 강조되고, ‘질문하고 문제 규정하기’를 비롯하여 특히 최근 과학계의 변화를 나타내는‘과학 모형의 개발 및 사용’, ‘수학 및 전산적 사고 이용하기’, ‘증거에 입각한 논의활동’, 그리고‘정보를 얻고 평가하고 논의하기’와 같은 탐구 요소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 이 연구에서는 새로 개정된 2009개정 과학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물리 I과 물리 Ⅱ 교과서를 분석하여 학생들에게 교과서를 통해 주어지는 물리 학습의 기회를 알아보았다. 특히, 과학 교과에서 강조하고 있는 탐구 학습에 초점을 두었다.
  • 확장된 탐구 개념이 대두되고 학교 탐구 활동을 과학적 소양에 연결하는 최근의 과학 교육의 경향을 배경으로 이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과학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물리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활동을 확장된 개념의 탐구 활동의 측면으로서 8가지 과학적 실천을 기준으로 분석하고, 교과서를 통해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탐구 활동의 목적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 탐구 활동별로 분석한 과학적 실천과 탐구활동의 목적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의 교육과정은 어떤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가? 교육과정은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계획된 학습의 경험(Print, 1993)으로, 학생들을 가르칠 때 어떠한 목적으로 어떤 내용을 어떻게 가르치고 평가할 것인가에 대한 일련의 계획(조희형 등, 2005)을 말한다. 한국의 교육과정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으로 초·중등 학교의 교육 목적과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 내용을 조직·운영하는 일반적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09).
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 교육과정은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계획된 학습의 경험(Print, 1993)으로, 학생들을 가르칠 때 어떠한 목적으로 어떤 내용을 어떻게 가르치고 평가할 것인가에 대한 일련의 계획(조희형 등, 2005)을 말한다. 한국의 교육과정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으로 초·중등 학교의 교육 목적과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 내용을 조직·운영하는 일반적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09).
학교의 경쟁적 구조를 해결하기 위해 제시한 해결책은 무엇인가? 현재 학교 내외에서 학생 평가는 성취도를 비교하여 순위를 정하는 경쟁적인 구조를 갖는데, 이러한 경쟁적 구조는 평가의 공정성에 대한 강한 요구를 한다. 그에 대한 해결책으로 교육 현장에서는 평가 내용을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으로 한정하게 되었다. 대학수학능력평가 문항이 교과서 내용을 기초로 만들어지고 있고, 학교 내의 학생의 성취도 평가 문항들도 교과서 내용에 기초한다는 것이 널리 받아들여진 현실이다. 따라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은 교과서 내용을 규정하고 교과서의 검정기준의 기초가 되며, 교과서 들은 교실 수업과 학교 내외에서 이루어지는 평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9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 http://ncic.re.kr/ 

  2. 박원혁, 김은아(1999). 제 6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공통과학 교과서의 탐구영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4), 528-541. 

  3. 배현경, 정공수(2008). 한국과 미국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의 지질학 탐구활동의 비교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9(7), 626-639. 

  4. 유모경, 조희형(2003).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의 탐구 영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494-504. 

  5. 조희형, 김희경, 윤희숙, 이기영(2005).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6. Abd-El-Khalick, F., & Lederman, N.G. (2000). Improving Science Teach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7), 665 701. 

  7. Abd-El-Khalick, F., BouJaoude, S., Duschl, R., Lederman, N., Mamlok-Naaman, R., Hofstein, A., Niaz, M., Treagust, D., Tuan, H. (2004). Inquiry in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perspectives. Science Education, 88(3), 397-419. 

  8. Kang, N. & Wallace, C. (2005). Secondary science teachers'use of laboratory activities: Linking epistemological beliefs, goals, and practices. Science Education, 89(1), 140-165. 

  9. Khishfe, R. (2012). Transfer of nature of science understandings into similar contexts: Promises and possibilities of an explicit reflective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iFirst. 

  10. Kuhn, D. (2007). Reasoning about multiple variables: Control of variables is not the only challenge. Science Education, 91(5), 710-726. 

  11. National Research Council(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 C.: National Academy Press. 

  12. National Research Council(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 C.: National Academy Press. 

  13. National Research Council(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 C.: National Academies Press. http://www.nap.edu/catalog.php? record_id13165 

  14. Pekmez, E. S., Johnson, P., & Gott, R. (2005). Teachers'understanding of the nature and purpose of practical work,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23(1), 3-23. 

  15. Pickering, A. (Eds.) (1992). Science as practice and culture.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6. Pickering, A. (1995). The mangle of practice.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7. Print, M.,(1993). Curriculum development and design. Sydney: Allen & Unwin Pty Ltd. 

  18. Wallace, C. S. & Kang, N. (2004). An investigation of experienced secondary science teachers' beliefs about inquiry: An examination of competing belief se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9), 936-9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