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50세 이상 성인의 골감소증과 골다공증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Osteopenia and Osteoporosis in Korean Aged 50 Years and Above 원문보기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19 no.2, 2016년, pp.148 - 155  

전은영 (대구대학교 간호학과) ,  김숙영 (차의과학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osteopenia and osteoporosis in Korean aged 50 years and above. Methods: Data from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2010) were obtained and 2,773 subjects who got bone densi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인의 골다공증과 골감소증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1차 년도 자료를 근거로 골다공증과 골감소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본 연구결과 골다공증의 영향요인은 성별, 연령, 운동, 혈중 비타민 D, 체중이었으며 골다공증 대상자는 여성이 남성 보다 많았고 70세 이상인 경우 위험이 높았고 운동일수, 비타민 D 및 체중이 증가할수록 골다공증 위험이 낮았다.
  • 본 연구는 한국인의 골감소증과 골다공증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50세 미만 남성의 경우 골다공증과 골감소증 분류 방법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Looker, Melton, Harris, Borrud, & Shepherd, 2010)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는 50세 이상의 남성에 대해서만 정상, 골감소증, 골다공증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50세 이상 한국인의 골다공증과 골감소증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골다공증과 골감소증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다공증은 무엇인가? 8%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생률이 높고 특히 폐경기 이후의 여성에게서 발생률이 높다(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골다공증은 골질량의 감소와 미세구조의 이상으로 골절의 위험도가 증가하는 질환으로, 골절로 인한 통증을 유발하고 신체 기능과 독립성을 약화시켜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주요한 건강문제이다(Silverman, Minshall, Shen, Harper, & Xie, 2001). 골다공증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골다공증 총 진료비가 2008년 약 575억 원에서 2012년 약 745억 원으로 약 30% 증가하여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4) 조기에 진단하여 관리해야 하는 주요 질환으로 대두되고 있다.
골다공증 진단 기준은 무엇인가? 골다공증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골다공증 총 진료비가 2008년 약 575억 원에서 2012년 약 745억 원으로 약 30% 증가하여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4) 조기에 진단하여 관리해야 하는 주요 질환으로 대두되고 있다. 골다공증의 진단은 골밀도 검사로 측정하여 척추와 둔부 골밀도 중 골밀도가 낮은 부위를 기준으로 T-score가 -2.5 미만일 때이며 T-score가 -2.5 이상에서 -1.0 미만일 때를 골감소증, T-score -1.0 이상을 정상으로 구분한다(World Health Organization, 1994).
골다공증 예방과 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골다공증의 위험요인 중 유전적 요인의 교정은 불가능하나 생활양식을 변화시키고 조절 가능한 요인들을 관리하면 골밀도를 정상 상태로 유지하고 골 강도를 유지하여 골다공증 발생 및 골절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Kim, Choi, Choi, & Chung, 2015; Kim & Jeon, 2011; Korpelainen, Korpelainen, Heikkinen, Väänänen, & Keinänen-Kiukaanniemi, 2003). 특히 노인에서의 골절은 약 20%에서 사망과 관련되므로(Jeon et al., 2008)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위험요인을 관리하는 예방이 중요하며 조기에 진단하여 치료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yeon, Y. S. (2006). Difference of bone density and risk factors related to osteopenia of young women in their twenti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8(5), 790-797. 

  2. Cho, K. H., Yim, S. Y., & Baik, S. H. (2011).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 factors and bone mineral density among college students in a health-related department.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5(2), 26-275. 

  3. Emaus, N., Omsland, T. K., Ahmed, L. A., Grimnes, G., Sneve, M., & Berntsen, G. K. (2009). Bone mineral density at the hip in Norwegian women and men- prevalence of osteoporosis depends on chosen references: the Tromso study. Europian Journal of Epidemiology, 24, 321-328. http://dx.doi.org/10.1007/s10654-009-9333-z 

  4. Graat-Verboom, L., Smeenk, F. W., van den Borne, B. E., Spuit, M. A., Jansen, F. H., van Enschot, J. W., et al. (2012). Progression of osteoporosis in patients with COPD: A 3-year follow up study. Respiratory Medicine, 106, 861-70. http://dx.doi.org/10.1016/j.rmed.2011.12.020 

  5.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ent Service. (2014). Osteoporosis. Retrieved January 5, 2016, from http://www.hira.or.kr/dummy.do?pgmidHIRAA020044040000 

  6. Jang, S., Lee, S., & Lee, J. (2014). Two sides of obesity: Metabolic syndrome and osteoporosis in elderly women, Gangwon-do,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31(1), 13-26. http://dx.doi.org/10.14367/kjhep.2014.31.1.13 

  7. Jeon, G. H., Kim, S. R., Kim, S. H., Chae, H. D., Kim, C. H., & Kang, B. M. (2008). Prevalence of osteoporosis and osteopenia in women in Kangwon province: Geographical comparison study. Korean Journal of Bone Metabolism, 15(2), 135-141. 

  8. Joo, N. S., Kong, M. H., Kim, B. T., Park, S. B., Lee, T. Y., & Kim, K. M. (2006). Impact of smoking and alcohol intake on bone mineral density in men.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7(11), 911-916. 

  9. Kim, C. H., Kim, Y. I., Choi, C. S., Park J. Y., Lee, M. S., Lee, S. I., et al. (1997). Prevalence of osteoporosis in Jung-Up district, Korea. Korean Journal of Bone Metabolism, 4(2), 65-71. 

  10. Kim, K. M., Choi, H. S., Choi, M. J., & Chung, H. Y. (2015). Calcium and vitamin D supplementations: 2015 position statement of the Korean society for bone and mineral research. Journal of Bone Metabolism, 22, 143-149. 

  11. Kim, S. Y., & Jeon, E. Y. (2011). Influencing Factors on Osteoarthritis in Korean.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4(2), 111-117. 

  12. Kim, Y. R. (2013). The bone density level of Koreans aged 60 years and older, and its relevant fact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13. Kim, Y., Kim, J. H., & Cho, D. S. (2015). Gender difference in osteoporosis prevalence, awareness and treatment: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1.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5(2), 293-305. 

  1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The fifth (2010-2012) guide. Seoul. 

  15. Korpelainen, R., Korpelainen, J., Heikkinen, J., Vaananen, K., & Keinanen-Kiukaanniemi, S. (2003). Lifestyle factors are associated with osteoporosis in lean women but not in normal and overweight women: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of 1222 women. Osteoporosis International, 14, 34-43. 

  16. Lim, Y. S., Lee, S. W., Tserendejid, Z., Jeong, S. Y., Go, G., & Park, H. R. (2015). Prevalence of osteoporosis according to nutrient and food group intake level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Using the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9, 539-546. 

  17. Lim, Y. W., Sun, D. H., & Kim, Y. S. (2009). Osteoporosis: Pathogenesis and fracture prevention. Hip & Pelvis, 21(1), 6-16. 

  18. Looker, A. C., Melton, L. J., Harris, T. B., Borrud, L. G, & Shepherd, J. A. (2010). Prevalence and trends in low femur bone density among older US adults: NHANES 2005-2006 compared with NHANES III. 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 25(1), 64-71. 

  19. Rhodes, E. C., Martin, A. D., Taunton, J. E., Donnelly, M., Warren, J., & Elliot, J. (2000). Effects of one year of resistance training on the relation between muscular strength and bone density in elderly women.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34(1), 18-22. 

  20. Saarelainen, J., Kiviniemi, V., Kroger, H., Tuppurainen, M., Niskanen, L., Jurvelin, J., et al. (2012). Body mass index and bone loss among postmenopausal women: the 10-year follow-up of the OSTPRE cohort. Journal of Bone and Mineral Metabolism, 30(2), 208-216. 

  21. Seeman, E. (2002). Pathogenesis of bone fragility in women and men. The Lancet, 358(9320), 1841-1850. 

  22. Silverman, S. L., Minshall, M. E., Shen, W., Harper, K. D., & Xie, S. (2001). The relationship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o prevalent and incident vertebral fractures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osteoporosis. Arthritis and Rheumatism, 44(11), 2611-2619. 

  23. So, J. S., & Park, H. M. (2004). Relationship between parathyroid hormone, vitamin D & bone turnover marker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47(1), 153-160. 

  24. Szulc, P., Garnero, P., Claustrat, B., Marchand, F., Duboeuf, F., & Delmas, P. D. (2002). Increased bone resorption in moderate smokers with low body weight: the minos study.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87(2), 666-674. 

  25. The Korean Society of Bone Metabolism. (2013). Physician guide for diagnosis & treatment of osteoporosis 2013. Seoul: The Korean Society of Bone Metabolism. 

  26.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4). Assessment of fracture risk and its application to screening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WHO Technical Report Series, 843). Genava: Author. 

  27. Yamauchi, M. (2015). On "2015 guideline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osteoporosis associated with life-style-related diseases: Other lifestyle-related diseases. Clinical Calcium, 25, 1339-1346. 

  28. Yoon, D. H., Choi, D. H., Jung, H. G., Heo, J. Y., Jang Y. J., & Choi, Y. S. (2014). How many high risk Korean patients with osteopenia could overlook treatment eligibility. Asian Spine Journal, 8(6), 729-734. http://dx.doi.org/10.4184/asj.2014.8.6.729 

  29. Zhao, L. J., Liu, Y. J., Liu, P. Y., Hamilton, J., Recker, R. R., & Deng, H. W. (2007). Relationship of obesity with osteoporosis.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92(5), 1640-164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