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령후기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련요인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Related to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Late School-Aged Children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7 no.1, 2013년, pp.45 - 58  

위광복 (안동과학대학교 보건행정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study the factors related to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late school-aged children,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85 students from elementary schools in Daegu metropolitan city from September 3 to september 14, 2012.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한계점은 대도시 일부 학령후기 아동들을 대상으로 특성별 자기효능감과 건강증진행위를 분석함으로써 중소도시와 농어촌지역 아동들의 특성을 파악하는데는 한계가 있으므로 아동들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대도시 중심 아동들의 자기효능감과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관련자료가 부족하고 최근 성장속도가 빠른 아동들의 건강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연구조사는 앞으로 새로운 교육과정에 적용될 학령후기 아동들의 건강증진과 보건교육 프로그램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본다.
  • 이 연구는 대도시지역 학령후기 아동들의 자기효능감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련요인을 연구함으로써 육체적 정신적 성장기에 있는 아동들의 건강증진 향상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대도시지역 초등학생 아동 중 특히, 건강증진의 필요성에 대한 이해가 높은 학령후기에 해당하는 5, 6학년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련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육체적 정신적 성장기에 있는 초등학교 아동들의 건강증진 및 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등학교 시기의 특징은? 지적인 능력향상과 육체적 성장이 함께하는 초등학교 시기는 보건교육의 효과성이 높으며 과학과 산업의 발달로 사회에서의 많은 변화에 노출되어 있는 시기이다. 이러한 시기에 올바른 예방교육과 건강증진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성인에서의 각종 만성질환의 위험성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초등학교 시기에 중요한 교육은? 지적인 능력향상과 육체적 성장이 함께하는 초등학교 시기는 보건교육의 효과성이 높으며 과학과 산업의 발달로 사회에서의 많은 변화에 노출되어 있는 시기이다. 이러한 시기에 올바른 예방교육과 건강증진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성인에서의 각종 만성질환의 위험성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학령후기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자기효능감의 측정은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토대를 마련한다고 볼 수 있다.
자기효능감 정도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자기효능감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81점이었으며, 각 하위영역별 자기효능감 정도는 운동 영역이 4.06점으로 가장 높았고, 대인관계 영역 3.94점, 건강책임 영역 3.82점, 식습관과 자아실현 영역이 각각 3.75점, 스트레스관리 영역 3.57점의 순이었다. 이는 강문정[8]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와 김은애[11]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운동 영역이 가장 높은 것은 일치하였으나, 김민희[6]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식습관 영역이 가장 높고 건강책임 영역이 가장 낮게 나타난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J.Y. Jang(2006), Health locus of control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among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jou University, pp.37-40. 

  2. Korean Nurses Association(2000), Family nursing, pp.7-22. 

  3. Bremberg, Sven(1999), Health promotion in school age children, Scandinavian Journal of Social Medicine, Vol.26(2);81-84. 

  4. Y.A. Kim(2000), The relationship of stress, social support, and health behavior of adolescence, Hanyang University, pp.32-52. 

  5. J.I. Lee(2002), Obese Children's Self-Efficiency Feeling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ol.14(2);199-218. 

  6. M.H. Kim(2000), A study on the relations of health promoting daily life style and self-efficiency about boy's obesity, Chung-Ang University, pp.22-31. 

  7. K.H. Lee(2002), A study on related factors in self efficacy and health-promot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pp.19-43. 

  8. M.J. Kang(2005), 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p.25-60. 

  9. C.E. Yu(2001), A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in health promoting activ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je University, pp.4-26. 

  10. M.S. Park(2004), A study on the stress,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late school-aged children, Ewha Womans University, pp.15-43. 

  11. E.A. Kim(2000), A study on the relations of health promoting daily life style and self-efficiency in boy's high,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ol.13(2);241-259. 

  12. N.H. Kim, K.W. Kim,(2011), Self-efficacy, self-concept of professional nursing,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to clinical practice education in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5(4);41-51. 

  13. D.W. Lee(2001), A study on their health promotion behavior influenced by primary school student's self-concep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p.23-44. 

  14. H.M. Nam(2006),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res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elementary students, Konyang University, pp.16-21. 

  15. B.H. Lee(2011), Analysis of the correlation of burnout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dental hygienis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5(3);111-121. 

  16. M.R. Eom(2004), Family environment,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p.13-18. 

  17. Y.B. Kim(2012), Role and competencies for health education specialist in physical activity program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29(5);49-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