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디지털 게임 플레이의 시간성 연구
A Study in the Temporality in Digital Gameplay 원문보기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v.13 no.2, 2013년, pp.5 - 16  

이동은 (계원예술대학교 애니메이션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고는 디지털 게임을 플레이할 때 발생하는 시간의 여러 층위와 그 구조적 특성을 통해 모순적으로 보이는 게임 플레이의 시간성이 서로 결합하는 양상과 그 결과로 만들어내는 리듬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디지털 게임 플레이는 첫째, 연대기적으로 흐르는 불가역적 시간의 지배 속에서 언제든 시간을 정지시키고 변화시킬 수 있는 가역성을 동시에 추구한다. 둘째, 이런 이중적인 시간 체계가 공존할 수 있는 이유는 게임의 시간에 플레이어가 개입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복잡해 보이는 다층적 시간 체계는 이미 진행되었던 게임 플레이를 다시 한 번 반복하는 식의 리플레이라는 특수한 게임 플레이 활동을 통해 리듬을 만들어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how to occur the temporality in Digital Gameplay. There is two types of time in Gameplay. One is Irreversibility time that goes passed through a game world like a chronology order. Another is Reversibility time that returns and renews the time. The time's duality is ca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게임 플레이를 통해 발현되는 시간성을 규명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우선 시간에 대한 일반적인 논의들을 정리하고 디지털 게임의 플레이어가 인식하고 경험하는 시간의 층위와 그것들이 어떻게 구조화되었는지를 기존 논의를 통해 정리, 기존 연구의 문제점과 한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게임 플레이에서 나타나는 이중적인 시간성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 반복적 플레이를 통해 시간의 리듬이 어떻게 발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 따라서 본고에서는 디지털 게임을 플레이할 때 나타나는 시간의 여러 층위와 시간성의 구현 방식을 체계화하고자 한다. 게임 플레이의 시간성을 규명하고자 하는 이유는 바로 시간성(temporalite)이라는 개념 자체가 인간의 경험을 매개하고 있기 때문이다.
  • 본고는 디지털 게임을 플레이할 때 발생하는 시간의 여러 층위와 그 구조적 특성을 통해 모순적으로 보이는 게임 플레이의 시간성이 서로 결합하는 양상과 그 결과로 만들어내는 리듬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우선 플레이어가 자신의 플레이 경험을 반복적으로 리플레이하는 경우에 시간적 리듬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규명하도록 하겠다. 기본적으로 디지털 게임은 플레이어로 하여금 한번 경험한 플레이를 반복적으로 플레이 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 그렇기에 그것은 매우 불규칙적인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실제로 플레이를 진행하다보면 복잡한 구조 속에서 일정한 규칙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본고에서는 게임 플레이에 나타나는 시간의 리듬으로 규정하고 리듬이 발생하게 되는 배경과 리듬의 매커니즘 그리고 리듬있는 게임 플레이가 갖는 의미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 이와 같은 연구는 시간이 시각적 매체들을 규정하는 인자이며 인간의 경험을 매개하고 축적시킨다는 점에서 게임 플레이어를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을 뿐 아니라 게임 플레이를 기술적인 의미에서의 상호작용이 아니라 상태의 변화를 겪는 의미있는 사건으로 조망할 수 있는 기회 또한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시작과 중간, 끝이라는 시간성이 총체적으로 조망될 때 게임 플레이가 갖는 스토리텔링의 본질을 해명할 수 있을 것이다[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역(可逆)적 시간이란? 반면 가역(可逆)적 시간이란 신화적 사고에만 존재하는 특수한 시간 개념이다. 성스러운 시간으로 일정한 사건이 잠재되어 있는 시간이며 주기를 지니고 있어 반복 체험할 수 있는 순환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불가역(不可逆)적 시간이란? 불가역(不可逆)적 시간이란 일상성을 표방하는 시간의 체계를 말한다. 이 시간은 연대기적으로 흘러가는 것으로 역사라는 이름하에 직선적인 흐름을 지향한다.
디지털 게임에서 플레이어들이 현실과는 다른 시간을 경험하거나 새로운 시간을 생성하는 경험을 하는 이유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게임에서 플레이어들은 현실과는 다른 시간을 경험하고 심지어 새로운 시간을 생성하는 경험을 하고 있다. 이는 디지털 게임 플레이가 게임 세계를 지배하고 있는 역사적 시간을 중단하게 하고 세계의 창시가 이루어진 최초의 시간으로 되돌아가게 하는 힘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마치 신화적 모델들이 그러했던 것처럼 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Kim Young-Min, Phenomenology and Time, Kkachi, 1994. 

  2. Kwon Min-Seok, A Study on the Temoirality of Digital Gam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the Texts of , Dept. of Visual Communi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Communication & Arts, Yonsei University, p.7, 2007. 

  3. Lyou Chul-Gyun, "A Study in the Temporality in Interactive Storytelling",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Vol.93, p.384, 2006. 

  4. Martun Heidegger, translated by Jeon Yang-Bum, Being and Time, Dongsuh Press, p.39, 2009. 

  5. Edward T. Hall, translated by Choi Hyo-Sun, The Dance of Life: The Other Dimension of Time, Hangilsa Corp., p.39, p.79, 2009. 

  6. Jesper Juul, Half-real: Video games between real rules and fictional worlds, MIT Press, 2005. 

  7. Jesper Juul, Introduction to Game Time, FirstPerson, The MIT Press, Cambridge, Massachusetts London, England, p.134, 2004. 

  8. Hitchens, M. Time and computer games or "No, That's not What Happened." In K. K. Wong, L. C. C. Fung & Y. Pisan (Eds.), CGIE Conference 2006. Perth, Western Australia: Murdoch University. pp. 44-51, 2006. 

  9. Michael Nitsche, Mapping time in video games, Authors & Digital Games Research Association(DiFRA), p.145, 2007. 

  10. Jose P. Zagal and Michael Mateas, Time in Video Games: A Survey and Analysis, Simulation & Gaming published online 5 August, pp.7-11, 2010. 

  11. Gilles Deleuze, Felix Guattari, translated by Kim Jea-In, A Thousand e Plateaus, Saemulgyul Press, pp.593-594, 2003. 

  12. Mircea Eliade, translated by Lee Jae-Sil, Forgerons et Alchimistes, Munhakdongne Publishing Corp., p.51, 1999. 

  13. Lee Jung-Woo, Philosophy of Accident, Academy of Philosophy, p.23, 2003. 

  14. Henri Hubert, Essay on time, Durkheim Press Ltd, pp.51-53, 1999. 

  15. Mircea Eliade, translated by Sim Jae-Jung, The Myth of the Eternal Return, Ehaksa Press, p.15, 200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