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뇌경색에서 확산강조영상과 비교하여 현성확산계수 지도의 부가적인 임상적 중요성이 있는가?
Does the ADC Map have Additional Clinical Significance Compared to the DWI in the Brain Infarction? 원문보기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gnetic resonance in medicine, v.17 no.4, 2013년, pp.267 - 274  

최순섭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교실) ,  하동호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교실) ,  강명진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교실) ,  이진화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교실) ,  윤성국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뇌경색의 시기판단에 있어서 현성확산계수 지도의 부가적인 임상적 중요성을 다시 평가하기 위하여, 확산 강조영상과 현성확산계수 지도에서 뇌경색의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 양상의 차이가 있는지 알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뇌경색 환자 127명의 199회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시간을 기준으로(117 검사), 날짜를 기준으로 (108 검사), 주수를 기준으로 (62 검사) 그룹을 나누었다. 확산 강조영상과 현성확산계수 지도에서 뇌경색의 중심부와 대측부위를 관심영역 0.3 $cm^2$ 이상으로 하여 신호 강도를 측정하여, 경색부위/대측정상부위의 비 (ratio)를 구하여 각 그룹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양상을 비교관찰하였다. 결과: 뇌경색은 발생 1시간 이내부터 영상에서 관찰되었으며, 확산강조영상에서 신호강도비는 12시간 이후에 2 이상으로 되어 6일까지 유지되다가 점차 감소하여 발생 30일경에 1로 감소 하였다. 현성확산계수비는 발생 24시간에 0.46 이었으며, 15일경에 1로 증가하였다. 뇌경색의 시간 경과에 따른 비의 곡선은 서로 역의 관계인 대칭적인 양상을 보였다. 결론: 확산강조영상과 현성확산계수 지도에서 뇌경색의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양상은 역의 관계로서 현성확산계수 값은 확산강조영상으로부터 예측 가능하며, 현성확산계수 지도는 확산강조영상과 함께 판단하면 15-30일 사이의 아급성기 뇌경색의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o re-evaluate additional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ADC) map in the inference of infarction stage, authors studied the evolution patterns of the DWI and the ADC map of the brain infarction. Materials and Methods: In 127 patients with cerebral infarction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nd so, this study was designed to re-evaluate the additional clinical significance of ADC map compared to the DWI in the inference of infarction stage by the observation of the patterns of infarction evolution on the DWI and ADC map.
  • And also, previous reports have some weak points like as not enough observation time courses in detail, not enough time duration and not many study case numbers. This study was designed to know the pattern of evolutions of the DWI and the ADC map of the infarction to know the additional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ADC map compared to the DWI in detai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van Everdingen KJ, van der Grond J, Kappelle LJ, Ramos LMP, Mali WPTM. Diffusion-weight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acute stroke. Stroke 1998;29:1783-1790 

  2. Lansberg MG, Thijs VN, O'Brien MW, et al. Evolution of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diffusion-weighted, and T2- weighted signal intensity of acute stroke. AJNR Am J Neuroradiol 2001;22:637-644 

  3. Barajas RF, Rubenstein JL, Chang JS, Hwang J, Cha S. Diffusion-weighted MR imaging derived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is predictive of clinical outcome in primary central nervous system lymphoma. AJNR Am J Neuroradiol 2010; 131:60-66 

  4. Desmond PM, Lovell AC, Rawlinson AA, et al. The value of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maps in early cerebral ischemia. AJNR Am J Neuroradiol 2001; 22: 1260-1267 

  5. Rana AK, Wardlaw JM, Armitage PA, Bastin ME.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ADC) measurements may be more reliable and reproducible than lesion volume on diffusion-weighted images from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 implications for study design. J Magn Reson Imaging 2003;21:617-624 

  6. Bratane BT, Bastan B, Fisher M, Bouley J, Henninger N. Ischemic lesion volume determination on diffusion weighted images vs.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maps. Brain Research 2009;1279:182-188 

  7. Oppenheim C, Grandin C, Samson Y, et al. Is there an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threshold in predicting tissue viability in hyperacute stroke? Stroke 2001;32:2486-2491 

  8. Sibon I, Menegon P, Orgogozo JM, et al. Inter- and intraobserver reliability of five MRI sequences in the evaluation of the final volume of cerebral infarct. J Magn Reson Imaging 2009; 29:1280-1284 

  9. Na DK, Thijs VN, Albers GW, Moseley ME, Marks MP. Diffusion-weighted MR imaging in acute ischemia: Value of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and signal intensity thresholds in predicting tissue at risk and final infarct size. AJNR Am J Neuroradiol 2004;25:1331-1336 

  10. Eastwood JD, Engelter ST, MacFall JF, Delong DM, Provenzale JM.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time course of infarct signal intensity on diffusion-weighted images. AJNR Am J Neuroradiol 2003;24:680-687 

  11. Yang Q, Tress BM, Barber PA, et al. Serial study of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and anisotropy in patients with acute stroke. Stroke 1999;30:2382-2390 

  12. Copen WA, Schwamm LH, Gonzalez RG, et al. Ischemic stroke: effects of etiology and patient age on the time course of the core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Neuroradiology 2001;221:27-34 

  13. Burdette JH, Ricci PE, Petitti N, Elster AD. Cerebral infarction: time course of signal intensity changes on diffusion-weighted MR images. AJR Am J Roentgenol 1998;171:791-795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