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계피분말을 첨가한 스펀지케이크의 품질특성
Quality of Sponge Cakes Supplemented with Cinnam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4, 2013년, pp.650 - 654  

이수빈 (대구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준호 (대구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계피분말의 첨가량을 0~4%로 달리하여 스펀지케이크를 제조한 후 물리화학적 품질특성 및 소비자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계피분말의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케이크의 pH, 수분함량, 비체적, 굽기 손실률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밝기를 나타내는 $L^*$값과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계피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crust에서는 계피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4% 첨가군이 최소값을 나타낸 반면 crumb의 $a^*$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며 4% 대조군이 8.59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케이크의 경도는 계피분말 첨가량에 따라 $0.17{\sim}0.42kg_f$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2% 첨가군까지 단계적인 유의적 증가경향을 보였으나(p<0.05), 이후 2~4% 첨가군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소비자 기호도 검사 결과 맛, 향 및 부드러운 정도에서 대조군과 1% 첨가군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고(p>0.05), 전체적인 기호도 또한 대조군과 1% 첨가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아(p>0.05), 관능품질을 저해하지 않고 계피분말의 건강 기능성 효과 등을 고려할 때 최적첨가농도는 1%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easibility of incorporating cinnamon as a value-added food ingredient in bakery food products was investigated using sponge cakes as a model system. Cinnamon powder was incorporated into sponge cakes at 0, 1, 2, 3, or 4% weight amount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wheat flour. Cake qualiti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리적 기능성이 우수한 계피분말을 첨가한 스펀지케이크를 제조하고 물리·화학적, 항산화 활성 및 관능적 품질특성을 조사함으로써 우수한 맛, 기능성, 그리고 기호성이 있는 스펀지케이크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실험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방에서 부르는 계피의 이름은? 계피(Cinnamonum cassia B.)는 녹나무과(Lauraceae)에 속하는 Cinnamomum속인 열대성 상록수의 껍질을 그대로 또는 외피를 제거하고 건조시킨 것으로, 인류가 사용한 가장 오래된 향신료 중의 하나이고 한방에서는 육계라고 불리어지며 각종 치료에 사용되어왔다(1). 계피의 주성분은 cinnamic aldehyde이고 이 외에 정유성분인 cinnamyl acetate, cinnamic acid, pinene, linalool, eugenol 등과 같은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다(1).
계피란? 계피(Cinnamonum cassia B.)는 녹나무과(Lauraceae)에 속하는 Cinnamomum속인 열대성 상록수의 껍질을 그대로 또는 외피를 제거하고 건조시킨 것으로, 인류가 사용한 가장 오래된 향신료 중의 하나이고 한방에서는 육계라고 불리어지며 각종 치료에 사용되어왔다(1). 계피의 주성분은 cinnamic aldehyde이고 이 외에 정유성분인 cinnamyl acetate, cinnamic acid, pinene, linalool, eugenol 등과 같은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다(1).
소비자들이 건강 지향적 기능성식품에 관한 관심이 증대된 이유는? 한편 우리가 접하는 현대사회는 영양 부족의 문제보다는 과도한 영양 섭취로 인한 성인병의 발생이 문제시 되고 있다. 이에 소비자들은 건강 지향적 기능성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기존 식품의 영양학적 측면은 그대로 유지하되 건강에 도움이 되는 부재료들을 첨가하여 기능성을 추가한 건강 지향적 식품류를 선호하게 되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im NM, Jeon BS, Park CK, Kimg WJ. 1993. Effect of extraction conditions on mineral components and physical properties in cinnamon extracts. J Korean Agric Chem Soc 36: 249-254. 

  2. Park RJ, Park YK. 2000. Studies on the effects of the parts of Cinamomum cassia PRESL on the antioxidation (I). Kor J Herbology 15: 45-55. 

  3. Park KH, Koh DS, Lim YH. 2001. Anti-allergic compound isolated from Cinnamomum cassia. J Korean Soc Agic Chem Biothechnol 44: 40-42. 

  4. Jeong ET, Park MY, Lee JG, Chang DS. 1998.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mutagenesis of cinnamon (Cinnamomun cassia Blume) bark extract. J Fd Hyg Safety 13: 337-343. 

  5. Kang SY, Kim TG, Park MS, Han HM, Jung KK, Kang JH, Moon A, Kim SH. 1999. Inhibitory effects of Eugenia caryophyllate , Ephedra sinica and Cinnamomum cassia on the replication of HBV in HepG2 2.2.15 cells. J Appl Pharmacology 7: 133-137. 

  6. An HK, Hong GJ, Lee EJ. 2010. Properties of sponge cake with added saltwort (Salicorniaherbacea L.). Korean J Food Culture 25: 47-53. 

  7. Park ID. 2008. Effects of Cucurbita maxima Duchesne puree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and sponge cakes. Korean J Food 23: 748-754. 

  8. Kim ML, Park GS, Park CS, An SH. 2000. Effect of spice powder on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y of bread. Korean J Soc Food Sci 16: 245-254. 

  9. Yun SH, Lee SS, Jang JE, Noh GW. 2004. Sensory evaluation of Chungkukjangs with herbal extracts and clinical evaluation in atopy dermatitis patients. Korean J Nutr 37:669-674. 

  10. Ronda F, Gomez M, Blanco CA, Caballero PA. 2005. Effects of polyols and nondisgestible oligosaccharides on the quality of sugar-free sponge cakes. Food Chem 90: 549-555. 

  11. AACC. 1988.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Method 74-09. 

  12. Obanda M, Owuor PO, Taylor SJ. 1997. Flavonol composition and caffeine content of green leaf as quality potential indicators of Kenyan black teas. J Sci Food Agric 74:209-215. 

  13. SAS. 2005. SAS User's Guide. Ver. 9.1. SAS Institute, Cary, NC, USA. 

  14. Lee JH, Son SM. 2011. Quality of sponge cakes incorporated with yacon powder. Food Eng Prog 15: 269-275. 

  15. Lee J, Seong Y, Jeong B, Yoon S, Lee I, Jeong Y.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with black garlic powder adde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222-1228. 

  16. Kim CS. 1994. The role of ingredients and thermal setting in high-ratio layer cake systems. J Korean Soc Food Nutr 23: 520-529. 

  17. Lee JH, Son SM. 2011. Effect of Cudrania tricuspidata leaf powder addition on the quality of sponge cakes. Food Eng Prog 15: 376-381. 

  18. Lee JH, Kwak EJ, Kim JS, Lee YS.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added with mesangi (Capsosiphon fulvescen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83-89. 

  19. Lee SY, Kim CS, Song YS, Park JH. 2001. Studie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with addition yam powd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48-55. 

  20. Kang CS. 2007.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with addition of Gastrodiae rhizoma powder. Korean J Culinary Res 13: 211-219. 

  21. Choi GY, Bae JH, Han GJ. 2007.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containing a functional and natural product (1. mulberry leaf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703-709. 

  22. Cho KR.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added with leek (Allium tuberosum Rottler) powder. Korean J Food & Nutr 23: 478-484. 

  23. Choi GY, Kim HD, Bae JH.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occurred with percentages of persimmon leaves powder added. Korean J Culinary Res 13: 269-278. 

  24. Park YR, Han IJ, Kim SY, Choi SH, Shin DW, Chun S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prepared with red ginseng marc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236-242. 

  25. Park YS, Chang HG.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black rice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406-411. 

  26. Jung CH, Shim KH.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with addition of Pleurotus eryngii mushroom powd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716-722. 

  27. Lee YS. 2007. Antioxidative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of Angelica dahurica leaves. Korean J Food Preserv 14: 78-86. 

  28. Boo HO, Lee HH, Lee JW, Hwang SJ, Park SU. 2009. Different of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Momordica charantia L. according to cultivar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7: 15-20. 

  29. Adom KK, Sorrells ME, Liu RH. 2005. Phytochemical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illed fractions of different wheat varieties. J Agric Food Chem 53: 2297-23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