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가 노인의 낙상 경험률과 관련 요인
The Prevalence and Factors of Falls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7 no.1, 2013년, pp.89 - 101  

장인순 (한국성서대학교) ,  박은옥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characteristics, and factors related to falls occurring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Methods: The subjects were 299 community-dwelling-elderly in Jeju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via in-person interviews by five visit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재가 노인의 낙상 경험 실태를 파악하고 관련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낙상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재가 노인의 낙상 경험 실태를 파악하고 일반적 특성과 낙상 위험요인에 따라 낙상경험률을 비교함으로써 낙상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 낙상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일 지역 재가노인 299명을 대상으로 낙상 위험요인, 일상생활 수행능력, 우울, 인지기능을 포함한 낙상 관련 요인을 포함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5명의 간호사가 가구 방문면접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18.
  • , 2009), 시간이 많이 걸리고 측정이 용이하지 않거나 지역사회에서 적용하기 어려운 검사들을 적용한 연구들이었다 (Gai, Gomes, Nóbrega, & Rodrigues, 2010; Kim, Park, & Lee, 2011).이에 본 연구는 National Center for Injury Prevention and Control (2008)에서 제시한 낙상 위험평가도구와 인구학적 특성, 질병, 우울, 인지기능,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포괄적으로 포함하여 지역사회재가 노인의 낙상 위험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낙상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엄밀하게 말해서, 낙상이란 완전히 균형을 잃어버린 상태로 손 또는 둔부 등 신체의 일부가 바닥에 닿는 것을 의미한다(Korean Association of Geriatrics, 2012).본 연구에서 낙상은 균형을 잃고 넘어져 발바닥 이 외 신체의 일부가 지면 또는 바닥에 닿는 것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적으로 65세 이상 노인의 몇 %가 매년 낙상을 경험하는가? 낙상은 65세 이상 노인에게 흔한 건강문제 중 하나이다. 세계적으로 65세 이상 노인의 약 28-35%가 매년 낙상을 경험하고, 70세 이상에서는 32-42%로 더 높으며, 낙상 경험자의 40%는 반복적으로 넘어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 2011년도 노인실태조사에서 우리나라 노인의 21.
노인의 낙상은 어떠한 피해를 주는가? 노인의 낙상은 골절, 뇌손상, 사회심리학적 기능장애 등 각종 심각한 손상을 초래하며, 입원 등으로 인한 기능제한,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는 건강문제로서(Kim, 2012)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심각한 결과를 야기한다. 한 번 낙상을 경험한 노인들은 낙상에 대한 공포와 두려움을 경험하는데, 낙상의 두려움 때문에 외출을 자제하고 집안에 머물러 있거나 스스로 활동을 제한하게 되어 신체가 더욱 쇠약해져 낙상 위험이 증가하고 나아가 다른 질병에 이환되거나 사회적 으로 고립되어 전반적으로 삶의 질이 저하될 수 있다 (Hong, Cho, & Choi, 2010; National Center for Injury and Control, 2008;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 Sohng, Moon, Kang, & Choi, 2001).
지역사회 노인의 낙상에 관련된 요인 중 신체적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낙상은 여러 가지 요인이 관련되는 것으로 보고되는데 지역사회 노인의 낙상에 관련된 요인으로는 생물학적 요인과 행동적 요인, 환경적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 등이 있다(Korean Association of Geriatrics, 2012; National Center for Injury Prevention and Control, 2008;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 구체적으로는 연령(Kim & Choi, 2010; Lim, Park, Oh, Kang, & Paik, 2010; Yu et al., 2009), 각종 질병(Yu et al., 2009), 근력저하 (Lim et al., 2010), 어지럽거나 휘청거림, 최근 1년간 보행시 발이 바닥에 닿는 느낌 변화(Lim et al., 2010), 시력저하, 일상생활수행능력 저하, 보행 불균형(Yu et al., 2009) 등 신체적 요인이 낙상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행동적 요인 가운데 운동부족 (Yu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i, K. W. & Lee, I. S. (2010). Fall risk in low-income elderly people in one urban a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4), 589-598. 

  2. Donaldson, M. G., Khan, K. M., Davis, J. C., Salter, A. E., Buchanan, J., McKnight, D., Janssen, P. A., & Mckay, H. A. (2005). Emergency department fall­related presentations do not trigger fall risk assessment: A gap in care of high­risk outpatient faller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41(3), 311-317. 

  3.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4), 1149-1160. doi: 10.3758/ BRM.41.4.1149 

  4. Gai, J., Gomes, L., Nobrega, O. T., & Rodrigues, M. P. (2010). Factors related to falls among elderly women resident in a community. Dimuat dalam Journal Association Medical Brasil, 56(3), 327-332. 

  5. Hong, S. H., Cho, E., & Choi, M. (2010). Risk factors for falls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using KLoSA dat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2(3), 211-224. 

  6. Jeong, K. H., Oh, Y. H., Lee, Y. K., Son, C. G., Park, B. M., Lee, S. Y., Lee, J. H., Gwon, J. D., Kim, S. B., Lee, S. J. Lee, Y. S., Lee, Y. H., Choi, S. J., & Kim, S. Y. (2012). A survey of the elderly, 2011.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7. Korean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Welfare. Kee, B. S. (1996).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5(2), 298-307. 

  8. Kim, C. K., Park, S. J., & Lee, D. Y. (2011). Contribution analysis of the risk factors for fall in the elderly.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43(2), 609-618. 

  9. Kim, K. W., Lee, D. Y., Ahn, S. Y., Jhoo, J. H., & Kil, Y. N. (2002).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Hasegawa Dementia Scale(HDS-K) as a dementia screening instrument. The Korean Journal of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1(3), 526-537. 

  10. Kim, S., & So, W. Y. (2011). Factors associated with falling in older, community dwelling adul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3(2), 91-100. 

  11. Kim, S. H., & Choi, H. K. (2010). Fall risk factors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Kyungbook Nursing Science, 14(2), 47-58. 

  12. Kim, S. N. (2012). Effects of a multifactorial fall prevention program on physical.psychological function and home environmental hazards in community dwelling low­incom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2(1), 377-395. 

  13. Korean Association of Geriatrics. (2012). Fall prevention: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plan. Seoul: Youngmoon Publishing Company. 

  14. Kwan, M. M., Close, J. C., Wong, A. K., & Lord, S. R. (2011). Falls incidence, risk factors, and consequences in Chinese older people: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9(3), 536-543. doi: 10.1111/j.1532­5415.2010.03286.x 

  15. Lim, J. Y., Park, W. B., Oh, M. K., Kang, E. K., & Paik, N. J. (2010). Falls in a proportional region population in Korean elderly: Incidence, consequences, and risk factors. Journal of Korean Geriatrics Society, 14(1), 8-17. doi: 10.4235/jkgs. 2010.14.1.8 

  16. Ministry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2009). Statistics for type and cause of accidents at hospitals in 2008. Seoul: Author.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2012). The guideline of visiting health nursing program in 2012. Seoul: Author. 

  18. Mun, Y. H. (2005). The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the in-home falls of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19(2), 324-333. 

  19. National Center for Injury Prevention and Control. (2008). Preventing falls: How to develop community-based fall prevention programs for older adults. Atlanta, G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 Rossat, A., Fantino, B., Nitenberg, C., Annweiler, C., Poujol, L., Herrmann, F. R., & Beauchet, O. (2010). Risk factors for falling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hich of them are associated with the recurrence of falls? The Journal of Nutrition, Health, & Aging., 14(9), 787-791. 

  21. Rubenstein, L. Z., Josephson, K., & Robinson, A. (1994). A falls in the nursing home. Annuals of Internal Medicine, 121(6), 442-451. 

  22. Sai, A., Gallagher, J., Smith, L., & Logsdon, S. (2010). Fall predictors in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a cross sectional and prospective cohort study. Journal of Musculoskeletal and Neuronal Interactions, 10(2), 142-150. 

  23. Sohng, K. Y., Moon, J. S., Kang, S. S., & Choi, J. H. (2001). The survey of activities and fear of falling in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Journal of Korean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5(2), 324-333. 

  24. Statistics Korea. (2012).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s. Retrieved March 23, 2012, from http://kosis.kr/index/index.jsp. 

  25. Tinetti, M. E., & Kumar, C. (2010). The patient who falls "It's always a trade­off".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303(3), 258-266. doi: 10.1001/jama.2009.2024. 

  26. Won, C. W., Rho, Y. G., Kim, S. Y., Cho, B. R., & Lee, Y. S. (2002).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K-ADL) scale. Geriatrics, 6(2), 98-106. 

  27.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 Global report on falls prevention in older age.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8. Yeom, J., & Na, H. J. (2012). Risk factors of falls among Korea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2(2), 577-592. 

  29. Yesavage, J. A., Brink, T. L., Rose, T. L., Lum, O., Huang, V., Adey, M. B., & Leirer, V. O. (198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7(1), 37-49. doi: 10.1016/0022 ­3956(82)90033-4 

  30. Yu, P. L., Qin, Z. H., Shi, J., Zhang, J., Xin, M. Z., Wu, Z. L., & Sun, Z. Q. (2009).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of falls among the elderly in an urban community of Beijing. Biomedical and Environmental Sciences, 22(3), 179-1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