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모공동양육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불안 및 과잉행동 간의 관계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among Co-Parenting,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Preschoolers' Anxiety and Hyperactivity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1 no.2 = no.122, 2013년, pp.25 - 39  

최미경 (덕성여자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도현심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김민정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신나나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o-parenting,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preschoolers' anxiety and hyperactivity with a sample of 155 mothers with 3 to 4 year old children (83 boys and 72 girls) living in Seoul. They completed a questionnaire on co-parent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아동의 과잉행동과 관련된 연구는 학령기 아동이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과잉행동의 표출이 시작되는 유아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 과잉행동 표출은 또래관계가 형성되기 시작하는 유아의 정서, 사회성 발달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과잉행동에 관해 조사하였다.
  • 그러나, 부모의 양육행동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그리고 아동의 문제행동을 함께 고려한 연구는 영아를 대상으로 한 최근의 몇 몇 연구에 그치고 있으며, 부부가 본격적으로 훈육을 하며 양육을 시작하는 유아기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부모공동양육과 유아의 불안 및 과잉행동 간의 관계에서 차지하는 매개적 역할을 탐색해 보았다.
  • 그러나, 국내, 외 연구의 경우 직접적으로 부모공동양육을 주제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을 살펴본 연구는 드물며, 부모의 양육방식이 결정되기 시작하는 유아기 어머니를 대상으로 부모공동양육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여 부모공동양육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서⋅행동발달의 기초가 형성되는 유아를 자녀로 둔 부모의 부모공동양육과 자녀의 불안 및 과잉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만 3~4세 유아를 자녀로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부모공동양육,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불안 및 과잉행동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부모공동양육과 유아의 불안 및 과잉행동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매개적 역할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종합해 보면, 부부간 서로의 지지와 협조 하에 양육을 하는 지의 정도를 뜻하는 부모공동양육과 어머니의 심리적 상태인 양육스트레스는 유아의 불안 및 과잉행동과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리라 가정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모공동양육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불안 및 과잉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이와 동시에 부모공동 양육과 유아의 불안 및 과잉행동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매개적 역할을 탐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면화 문제란 무엇인가요? 그러나, 아동들은 성인과 달리 신체, 심리적으 로 급속한 성장을 하며, 아동기에 경험하는 신체, 심리적 문제는 아동의 발달과업 수행에 어려움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이후의 성장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사회적 관심과 중재의 노 력이 요구된다. 대개 아동에게 나타나는 문제행동은 크게 내면화, 외현화 문제로 구분되며(Achenbach, 1991), 내면화 문제는 소극적이고 사회적으로 내재화되어 과잉통제 된 행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우울, 불안, 위축을 비롯하여 신체증상, 주의집중문제 등이 포함된다. 반면, 외현화 문제는 감정이나 행동의 적절한 억제가 결여되어 과소 통제된 행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과잉행동, 공격성, 비행 등의 증상 등을 뜻한다(Achenbach, 1991).
외현화 문제란 무엇인가요? 대개 아동에게 나타나는 문제행동은 크게 내면화, 외현화 문제로 구분되며(Achenbach, 1991), 내면화 문제는 소극적이고 사회적으로 내재화되어 과잉통제 된 행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우울, 불안, 위축을 비롯하여 신체증상, 주의집중문제 등이 포함된다. 반면, 외현화 문제는 감정이나 행동의 적절한 억제가 결여되어 과소 통제된 행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과잉행동, 공격성, 비행 등의 증상 등을 뜻한다(Achenbach, 1991).
소극적이고 사회적으로 내재화되어 과잉통제 된 행동을 의미하는 것인 내면화문제에서 가장 흔한 증상은 무엇인가요? 아동의 내면화 문제행동들 가운데에서 가장 흔한 증상으로 널리 알려진 불안은, 여러 상황 내에서 경험하는 걱정, 근심, 두려움 및 공포와 같은 말로 특징지을 수 있는 불쾌한 정서를 뜻한다(Bae, 2012). 일시적인 불안은 대부분 정상발달의 일부로 간주되었지만, 불안의 경험을 자주할수록 아동의 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Kim,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Abidin, R. R.(1990).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 (PSI/SF). Charlottes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2. Abidin, R. R.(1992).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the stress of parenting.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4), 298-301. 

  3. Abidin, R. R.(1995). Parenting Stress Index(PSI) manual (3rd ed.),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 Inc. 

  4. Abidin, R. & Brunner, J.(1995). Development of a parenting alliance inventory.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4(1), 31-40. 

  5. Achenabchh, T. M.(1991). Manual for the Youth Self- Report and Profile. Burlington, 101, 213-232. 

  6. Anderson, N. E.(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stress level and anxiety ratings of their children. The University of Arizona. 

  7. Anthony, L. G., Anthony, B. J., Glanville, D. N., Naiman, D. Q., Waanders, C., & Shaffer, S.(2005).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ur and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ur problems in the classroom.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4(2), 133-154. 

  8. Baker, B. L., McIntyre, L. L., Blacher, J., Crnic, K., Edelbrock, C., & Low, C. (2003). Pre-schoolchildren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delay: behaviour problems and parenting stress over time.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47, 217-230. 

  9. Baron, R. M. & Kenny, D. A.(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10. Bae, J.(2012). Effects of stable attachment formation in early childhood upon mental health in childhood.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Support, 7(1), 241-261. 

  11. Bek, Y.(2007). The effect stress and guilt of mothers in raising children have in their attitude of raising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2. Berry, W. D. & Feldman, S.(1985). Multiple regression in practice: Quantitative applications in the social science.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 

  13. Cartwright. H., Roberts, P., Fothergill, & Harrington, S. (2004). Systematic review f the efficacy of cognitive behavior therapies for childhood and adolescent anxiety disorders.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43(4), 421-436. 

  14. Cha, J.(2007).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attitude, children's anxiety,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omatics sympto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5. Cha, S.(2005). Parenting Stress of Employed Mothers with Young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Korea. 

  16. Crnic, K. A. & Greenberg, M. I.(1990). Maternal parenting stresse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1, 1628-1637. 

  17. Deater-Deckard, K.(1998). Parenting stress and child adjustment: Some old hypotheses and new questions.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5, 314-332. 

  18. Doh, H.(1997). A study on the relation of the parents' verbal control modes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prosocial think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9. Donenberg, G. & Baker, B. L.(1993). The impact of young children with externalizing behaviors on their familie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ty, 21, 179-198. 

  20. Frankm, S. L., Hole, C. B., Jaconson, S., Justkowski, R., & Huyck, M.(1986). Psychological predictors of parents' sense confidence and control and selfversus child-focused gratifications. Developmental Psychology, 22(3), 348-355. 

  21. Garralda, M. & Bailey, D.(1988). Child and family factors associated with referral to child psychiatrists. Br, Journal of Psychiatry 153, 81-89. 

  22. Gottfried A. W. & Gottfried A. W.(1990). Maternal employment and children's development: Longitudinal research(pp. 233-268). New York: Plenum. 

  23. Hu, S.(2006). Factors affecting fostering stress among working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uk University. Kyunggi, Korea. 

  24. Hughes, D. & Galinsky, E.(1988). Balancing work and family life: Research and corporate application. In A. E. Gottifried & A. W. Gottifried(Eds.), Materal employment and children's development: Longitudinal research(pp. 233-268). N.Y.: Plenum. 

  25. Kim, H., Kang, G., & Yun, Y.(2005). The effect of parental modernity and children's misbehavior o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1(1), 147-165. 

  26. Kim, J. & Lee, G. H.(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and mother's child rearing stress.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26(5), 245-261. 

  27. Kim, J., Cho, S., Hong, C., & Hwang, S.(2007). Korean personality rating scale for children. Korea Guidance. 

  28. Kim, M., Chung, K., Seo., D., Byung, H., & Lee, M. (2011). The association between stress and child behavior problems in PDD and ADHD.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0(3), 747-765. 

  29. Kim, M.(2008).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intervention program for aggressive young children: Focus on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and parent education. Unpublished doctoral thesis, Ewha University, Seoul, Korea. 

  30. Kim, S.(2001). The correlates of coparenting: Marital quality, mothers' personality, children's tempera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University, Seoul, Korea. 

  31. Kim, S., Choi, H., Jeong, K., & Lee, Y.(2012).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stress on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s according to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care: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6(1), 551-575. 

  32. Kim, S., Jo, S., Im, G., Jung, Y., & Shin, Y.(2008). A preliminary study for the perceived need and use of child mental health services.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7(1), 33-45. 

  33. Kim, W.(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nxiety and preschoolers' anxiety/depression and externalizing behavior - the moderating effect of preschoolers' attachment secur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University, Seoul, Korea. 

  34. Lee, J.(2007). Effects of marital satisfaction and couple's cohesion, and child-rearing agreement on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buk University, Chungbuk. Korea. 

  35. Lee, L.(2003). The parent education demands due to the parental attitudes and stresses- Focusing on the parents who have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6. Lee, M.(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arenting accordance and parenting stress. Unpublished dissertation of University. Kyungi, Korea. 

  37. Lee, M.(2011). A Study on the effects raising children of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ren. Unpublished dissertation of Ajou University. Kyungi, Korea. 

  38. Lee, S. & Mun, B.(2012).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 on children's ego-resillience: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5(6), 259-274. 

  39. Lee, S. & Min, H.(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s temperament, father's child-rearing participation, and mother's child-rearing stress.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16(2), 219-225. 

  40. Lee, S.(2003). Fathers of preschool children: Childrearing involvement, h usband-wife relationship and growth as a parent. Korean Journal of Child Development, 24(3), 97-106. 

  41. Lee, Y.(2011).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of mothers and depression, anxiety, and secure attachment of children. Unpublished dissertation of Chungnam University, Chungnam, Korea. 

  42. Lee, Y. & Park, K.(2005). The relations between mothers' depression,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Journal of Psychotherapy, 5(2), 39-57. 

  43. Lu, U., Choi, J., & Lee, S.(1998).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of Infant's Mothers.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6(1), 51-61. 

  44. Margolin, G., Gordis, E., & John, R.(2001). Coparenting: A link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parenting in two parent familie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5(1), 3-21. 

  45. Mash, E. & Johnston, C.(1983). A comparison of the mother-child interactions of physically abused and non-abused children during play and task situations.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2, 337-346. 

  46. McHale, J., Rao, N., & Krasnow, A.(2000). Parental reports of coparenting and observed coparenting behavior during the toddler period. International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4, 220-236. 

  47. McHale, J. & Rasmussen, J.(1998). Coparental and family ground-level dynamics during infancy: Early family precursors of child and family functioning during preschool.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0(1), 39-59. 

  48. Min, S.(2010).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to parenting. Unpublished dissertation of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49. Mori, K., Ujiie, T., Smith, A., & Howlin, P.(2009). Parental stress associated with caring for children with Asperger's syndrome or autism. Pediatrics international, 51, 364-370. 

  50. Park, H.(1994). A study on parental stress based on the parenting of young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51. Park, I.(2012). Relationship among marital conflicts, coparenting and a child's emotional regul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52. Rose, S., Rose, S., & Feldman, J.(1989). Stability of behavior problems in very young children. Developmental and Psychopathology, 1, 5-20. 

  53. Schoppe-Sullivan, S. J., Mangelsdorf, S. C., Frosch, C. A., & McHale, J. L. (2004). Associations between coparenting and marital behavior from Infancy to the preschool year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8(1), 14-207. 

  54. Seo, E.(2000). The program for improvement of child's mental health. The Korean Academy of Mental Health Social Work, 327-33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