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형외과병원 간호사의 섬망간호에 대한 지식, 수행 및 스트레스
Knowledge, Performance and Stress about Care for Delirium in Orthopedic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0 no.1, 2013년, pp.72 - 80  

김미영 (효성시티병원) ,  은영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노인건강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mong nurses' knowledge, performance, and stress about care for delirium.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instruments for knowledge about nursing care (50 items), performance (23 items), and stress (20 items). Descriptive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정형외과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섬망간호 지식, 수행과 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정형외과병원 간호사를 위한 섬망간호 교육 및 수행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형외과 수술 후 섬망은 어떠한 결과를 초래하는가? , 2004). 특히, 정형외과 수술 후 섬망은 재원기간의 연장과 비용의 증가뿐 만 아니라, 보행능력 및 기능 회복의 저하를 초래하여 수술 후 합병증과 1년 내 사망률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된다(Kim et al., 2008; Robertson & Robertson, 2006).
섬망 환자를 위한 간호수행을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가? 특히, 200~500병상규모의 정형외과병원 간호사는 고령의 골절 환자와 함께 가장 오랜 시간을 보내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의료진이 부족하고, 교육받을 기회가 부족하여 섬망 환자를 위한 간호수행에 어려움이 있다. 섬망간호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섬망 환자의 위험요인을 일차적으로 사정하고, 섬망 환자에 대해 간호중재를 제공하고, 섬망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섬망 환자의 보호자와 간병인에 대한 교육도 수행하여야 하며, 섬망 환자를 간호하면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도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섬망간호 지식이란 무엇인가? 섬망간호 지식은 섬망 위험요인, 예후, 사정 및 중재에 대한 지식으로 Seo (2006)의 도구를 Park (2011)이 수정 ‧ 보완한 도구로 본 연구자가 문헌고찰을 통해 골절과 관련된 1문항과 섬망의 원인 1문항, 섬망의 증상 1문항, 섬망의 치료 목적 1문항을 추가하여 정형외과병원 간호사의 섬망간호 지식을 측정하는 도구로 총 5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도구는 간호대학 교수 1인, 신경과 전문의 1인, 정형외과 전문의 2인에게 내용 타당도를 확인받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Edlund, A., Lundstrom, M., Brannstrom, B., Bucht, G., & Gustafson, Y. (2001). Delirium before and after operation for femoral neck fracture.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 Society, 49, 1335-1340. http://dx.doi.org/10.1046/j.1532-5415.2001.49261.x 

  2. Ham, E. K. (2011). Knowledge and stress on the ICU syndrome among the ICU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 Ang University, Seoul. 

  3. Hamdan-Mansour, A. H., Farhan, N. A., Othman E. H., & Yacoub, M. I. (2010). Knowledge and nursing practice of critical care nurse caring for patients with delirium in Jordan.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41 (12), 571-576. http://dx.doi.org/10.3928/00220124-20100802-01 

  4. Heo, I. S. (2011). Effects of delirium education program on nursing practice and stress for intensive care unit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Cheonan. 

  5. Jo, G. R. (2001). ICU nurses' knowledge and nursing performance of intensive care unit syndrom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6. Kagansky, N., Rimon, E., Naor, S., Dvornikov, E., Cojocaru, L., & Levy, S. I. (2004). Low incidence of delirium in very old patients after surgery for hip fractur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2, 306-314. 

  7. Kim, K. H., Kho, D. H., Shin, J. Y., Choi, J. Y., Kim, E. S., & Kim, D. H. (2008). Risk factors of -postoperative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with hip fractur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ractures, 21(3), 189-194. 

  8. Kim, M. H. (2011). Level of knowledge and performance on delirium care among clinical care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9. Kim, Y. T. (1989). ICU nurse's stresso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0. Lee, G. A. (2012). Study on knowledge related to delirium among nurses in tertiary hospit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1. Lee, Y. W., Kim, C. G., Kong, E. S., Ki, K. B., Kim, N. C., Kim, H. G., et al. (2007). A study of nurse' knowledge level and assesment experience of deliriu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dult Nursing, 19(1), 35-44. 

  12. Park, E. J. (2010). Evaluation of cognitive impairment and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with hip fractu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Busan. 

  13. Park, J. (2009). The effect of delirium education program on delirium knowledge, importance of nursing intervention and nursing practice for intensive care unit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14. Park, Y. S. (2011).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 for the nursing of delirium in cancer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15. Robertson, B. D., & Robertson, T. J. (2006). Postoperative delirium after hip fracture. Journal of Bone & Joint Surgery American, 88 (9), 2060-2068. http://dx.doi.org/10.2106/JBJS.F.00049 

  16. Seo, H. J. (2006). Intensive care unit nurse's knowledge, nursing performance, and stress about delirium.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17. Sohn, B. K., Sung, Y. B., Park, E. J., & Lee, D. W. (2010). The incidence and related factor of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with hip fracture after surgery.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14(3), 162-170. 

  18. Won, J. I. (2011). Knowledge of delirium presented by a nurse working with a local general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9. Yang, Y. A. (2006). ICU nurses' knowledge and nursing performance on patients' symptom of delirium.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20. Yang, Y. H. (2010). Comprehension and knowledge about delirium in nurses working at long-term care hospitals or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 (2), 312-320. http://dx.doi.org/10.5977/JKASNE.2010.16.2.3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