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섬망간호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Nurses in Delirium Care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12 no.1, 2019년, pp.13 - 21  

강진선 (제주대학교병원) ,  송효정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nursing performance in caring for patients with delirium.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66 nurses who worked for more than 6 months at 4 general hospitals in Jeju Province, South Korea. Patients were administered a self-repor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호사의 섬망간호 수행은 여러 요인이 작용하여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중 본 연구에서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섬망지식과 자기효능감을 포함하여 섬망간호 수행을 파악하고, 섬망간호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추후 섬망간호 수행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섬망지식 및 섬망간호 수행정도와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섬망간호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섬망지식, 섬망간호 수행정도와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섬망간호 수행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망간호 수행에 영향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본 연구에서 섬망간호 수행에 영향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던 섬망지식과 자기효능감에 대한 추후 반복연 구가 필요하다고 보며, 또한 표준화된 섬망간호 교육과 매뉴얼이나 지침의 적용을 통해 간호사의 섬망지식과 섬망간호 수행을 높이는 추후 중재 연구가 요구된다고 본다.
실제 실무에서 섬망간호 수행의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 , 2005). 그러나 실제 실무에 적용하기까 지는 간호사의 업무 부담이 높고, 지식 부족, 기관의 섬망간호 지침이나 매뉴얼의 부재 등으로 실제 실무에서 활성화가 되지 못하고 있다(Elliott, 2014).
섬망의 조기 발견이 어려운 이유는? , 2012; Mc- Cusker, Cole, Abrhamowizwe, Primeau, & Belzile, 2002). 그러나 섬망을 진단하기는 쉽지 않으며, 특히 치매나 우울과 구분하여 감별하는 것이 힘들어 섬망의 조기 발견이 어렵다(Ely, Siegel, & Inouye,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ldemir, M., Ozen, S., Kara, I. H., Sir, A., & Bac, B. (2001). Predisposing factors for delirium in the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Critical Care, 5 (5), 265-270. 

  2.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2), 191-215. 

  3. Cho, H. J. (2011). Effect of delirium education on delirium knowledge and delirium nursing practice of intensive care unit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wangju, Korea. 

  4. Elliott, S. R. (2014). ICU delirium: A survey into nursing and medical staff knowledge of current practices and perceived barriers towards ICU delirium in the intensive care unit.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30 (6), 333-338. 

  5. Ely, E. W., Siegel, M. D., & Inouye, S. K. (2001). Delirium in the intensive care unit: An under-recognized syndrome of organ dysfunction. Seminars in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22(1), 115-126. 

  6. Ely, E. W., Shintani, A., Truman, B., Speroff, T., Gordon, S. M., Harrell, F. E. Jr., . . . Dittus RS. (2004). Delirium as a predictor of mortality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91(14), 1753-1762. 

  7. Flagg, B., Cox, L., McDowell, S., Mwose, J. M., & Buelow, J. M. (2010). Nursing identification of delirium. Clinical Nurse Specialist, 4 (5), 260-266. 

  8. Han, M. Y., Sohn, S. K., Kwon, S., Choi, J. H., & Choi, K. H. (2014). The relationships among self-efficacy, spiritual well-being, and job stress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 (1), 21-28. 

  9. Hwang, H. J., & Lee, E. N. (2012). Effects of spous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adherent behavior among patients with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5 (1), 34-43. 

  10. Hwang, H. J., & Lee, Y. M. (2017). Effects of professional autonom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nurses in medium and small-sized hospital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10 (1), 63-74. 

  11. Inouye, S. K., Foreman, M. D., Mion, L. C., Karz, K. H., & Cooney, L. M. (2001). Nurse's recognition of delirium and its symptom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1(2), 2647-2473. 

  12. Jeon, H. Y. (2014). The relationships of diabetes knowledge, self-efficacy, health promoting behavior for the middle aged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3. Jeong, U. J., & Do, B. N. (2002). Job stress,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1(3), 398-405. 

  14. Jones, R. N., Fong, T. G., Metzger, E., Tulebaev, S., Yang, F. M., Alsop, D. C., . . . Inouye, S. K. (2010). Aging, brain disease, and reserve: Implications for delirium.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8(2), 117-127. 

  15. Kim, M., & Lee, H. (2014). The effects of delirium care training program for nurses in hospital nursing uni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6(5), 489-499. 

  16. Kim, M. Y., & Eun, Y. (2013). Knowledge, performance and stress about care for delirium in orthopedic hospital nurse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1), 72-80. 

  17. Lee, E. J., Shim, M. Y., Song, S. H., Lee, M., Kim, H., Kang, B. S., . . . Lee, M. (2012). Risk factors related to delirium development in patients in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3(2), 37-48. 

  18. Lee, Y. W., Kim, C. G., Kong, E. S., Kim, K. B., Kim, N. C., Kim, H. K., . . . Choi, K. S. (2007). A study of nurses' knowledge level and assessment experience of delirium.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9 (1), 35-44. 

  19. McCusker, J., Cole, M., Abrahamowicz, M., Primeau, F., & Belzile, E. (2002). Delirium predicts 12-month mortality.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2(4), 457-463. 

  20. Park, E. J., & Lee, Y. M. (2018). Effect of professional autonomy,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resilience on the job satisfaction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11(2), 63-74. 

  21. Park, J., & Park, J. W. (2013). Effects of a delirium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on knowledge of delirium, importance of nursing intervention and nursing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0 (2), 152-159. 

  22. Park, S. J. (2013). Knowledge and practices about dlirium in general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23. Sherer, M., & Adams, C. (1983). Construct validation of self-efficacy scale. Psychological Reports, 53(3), 899-902. 

  24. Steis, M. R., & Fick, D. M. (2008). Are nurses recognizing delirium?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34(9), 40-48. 

  25. Suh, H. J., & Yoo, Y. S. (2007). Intensive care unit nurse's knowledge, nursing, and performance, and stress about delirium.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9 (1), 55-65. 

  26. Tabet, N., Hudson, S., Sweeney, V., Sauer, J., Bryant, C., Macdonald, A., & Howard, R. (2005). An educational intervention can prevent delirium on acute medical wards. Age Aging, 34(2), 152-156. 

  27. Van Rompaey, B., Shuurmans, M., Shortridge-Baggett, L., Truijen, S., Elseviers, M., & Bossaert, L. (2009). Long term outcome after delirium in the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8(23), 3349-3357. 

  28. Yang, Y. H. (2010). Comprehension and knowledge about delirium in nurses working at long-term care hospitals or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2), 312-3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