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 사후관리 실태와 개선 방안
A Study on the Post-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Ecosystem Conservation Fund Return Projects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6 no.2, 2013년, pp.1 - 12  

이지현 (단국대학교 대학원 녹지조경학과) ,  성현찬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views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completed 'Ecosystem Conservation Fund Return Project' sites to suggest management methods for their conservation and sustainability. For the scope of the study, five microsites of completed return projects in Seoul were selected and their project p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0년까지 완료된 반환사업 이후 사후관리 실태를 현황 조사 및 관리운영자와의 심층인터뷰,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하여 파악한 후, 사후관리상의 문제점을 도출과 복원대상지의 보전 및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한 관리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둘째, 전문 관리 인력이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생태복원에 있어서 사후 모니터링 및 유지관리는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므로, 지속적인 사후관리를 위해서는 지자체, 사업대행자 등에만 의존하기보다는, 전문 관리업체 위탁운영제도 마련이나 반환사업의 모니터링 및 유지관리단을 별도 구성하여 운영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 셋째, 모니터링 및 유지관리 예산의 확보이다. 반환사업 대상지의 장기적인 사후관리를 위해서는 사후 모니터링 및 유지관리 사업을 추가하여 실행력과 추진력을 높일 수 있도록 법·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 첫째, 사후관리 지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에 우선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항목으로는 생태기반환경 및 생태환경에 대한 부분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문가 설문 조사는 어떻게 진행되었는가? 네 번째로, ‘전문가 설문 조사’는 반환사업 실시 이후, 반환사업의 시행, 모니터링 등을 진행하고 있는 복원 관련 전문가 35명을 대상으로 2011년 11월 중 4일간 전자우편으로 실시하였으며, 설계서 검토, 현지 조사 및 분석, 관리자 심층 인터뷰를 통해 도출된 문제점을 유형별로 구분하고,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복원대상지 사후관리에 대한 문제점을 유형별로 정리하고 그에 따른 사후 관리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관계전문가, 지자체, 사업대행자 등 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심층 인터뷰 분석결과는? 먼저, 관리운영체계 측면에서의 문제점으로는, ‘소극적 유지관리’, ‘관리비용 부족’, ‘반환 사업에 대한 인식 부족’, ‘전문성 부족’, ‘시민단체 및 전문가의 미 참여’, ‘모니터링에 대한 인식 부족’, ‘관리지침의 부재’ 등으로 나타났으며, 전문가와 지자체의 경우, ‘유지관리의 별도 예산 부족’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행자의 경우 ‘전문 관리 인력 부족’과 ‘모니터링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지자체와 대행자의 의견에서 나타나는 차이점은 대부분의 반환사업에 있어서 관리운영의 주체는 지자체이나 유지관리의 방안을 도출하는데 근거가 되는 사후 모니터링을 실시는 대행자에서 운영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지자체의 경우 유지관리 비용 부족으로 사후 모니터링의 실행과 모니터링에서 제시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여건의 마련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판단하고 있는 반면, 사후 모니터링을 실시하는 대행자의 경우 이를 실행하고자 하는 관리주체의 의지를 가장 큰 문제점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유지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측면에서는, 문제점을 크게 ‘모니터링에 대한 예산 및 시행에 대한 책임의 부재’와 ‘모니터링 결과의 실행력 부족’, ‘모니터링 조사자와 시행자의 일관성 부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사후 모니터링 결과에 따른 유지관리의 실행력을 위해서는 ‘예산 확보’와 ‘관리자의 일관성 유지’가 가장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생태기반환경 및 생태환경 측면에서는, 전문가, 지자체, 대행자 모두 가장 큰 문제점으로 ‘사후관리에 대한 경제적, 제도적 지침의 부재’와 ‘식생 이외의 생태기반환경 및 생태환경의 관리 부재’로 응답하였다. 이는 기존의 생태 복원 기법이나 유지관리 방안이 자연생태계를 중심으로 연구되어 실제 도심 내에서의 생태복원 기법이나 방법, 유지관리 등에 대한 연구 및 지침 등이 부재하여 발생되는 문제점으로 판단된다. 실제 반환사업 가이드라인(Ministry of Environment, 2010)에서도, 도심지의 강한 인공 성이나 이용자의 인위적 간섭에 의한 고려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점차 도심 지역으로 확대되고 있는 반환사업의 실행 및 평가, 효과 등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부분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이용자관리 측면에서의 문제점으로, 복원사업지에 대한 이용자 관리는 시행되고 있지 않았으며 이에 대한 이유로 전문가, 지자체, 대행자 모두 ‘예산부족 및 지원체계 부재’와 ‘상주 관리자의 인력 부재’로 응답하였다. 특히 연구 대상지의 경우, 대부분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공공장소로서 이용자 관리를 위한 전문 인력의 상주 없이는 직접적인 이용자 관리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반환사업 대상지에 대한 홍보, 프로그램의 활성화, 이용자의 이용행태를 유도할 수 있는 세부적인 안내시설의 설치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의 목적은? 최근 자연환경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훼손된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하여 추진되고 있는 다양한 복원사업 중,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이하 ‘반환사업’)은 자연환경보전법에 근거하여 훼손된 생태계의 복원을 목적으로 2003년부터 시행되었으며,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2003년부터 2011년까지 총 54개의 사업이 신청되었으며 그 중 2010년을 기준으로 45개의 사업이 완료되었으나, 반환사업의 운영과정에 있어 현실적 타당성이 맞지 않아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Ministry of Environment,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Kwak, S. J. and Yoo, S. H. 2000. Redesigning A Program of Ecosystem Conservation Fund.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9(3) : 563-588. (in Korean) 

  2. Kim, D. I. 2008. A Study of Impacts of Human Interference on the Gapcheon River Basin in Daejeon C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4(1) : 1-18. (in Korea with English summary) 

  3. Kim, H. J. Lee, S. J. and An, K. G. 2010 Comparative Analysis of Ecological Health Conditions Before and After Ecological Restoration in Changwon Stream and Nam Stream. Korean J. Limnol. 43 (2) : 307-318 (2010). (in Korea with English summary) 

  4. Kim, H. J. 2010. A Study on the Customized Management Methods of Urban Parks. Master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the University of Seoul. (in Korea with English summary) 

  5. NEXUS Environmental Design Centre. 2008. A Study on the Role Promotion of Ecosystem Conservation Fund Return Projects.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n) 

  6. Korea Forest Service. 2007. Research on Parks in Cities, Integrated Planning of Green Spaces and Urban Forests, and the Management. 

  7. The Seoul Institute. 2002. Long-Term Monitoring of Urban Ecosystem. Political Forum Documents. (in Korean) 

  8. Song, J. I. 2008. A Study on Stream Assessment Technique For Restoration and Management of Urban Stream. Master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the Kyonggi University. (in Korea with English summary) 

  9. Oh, D. H. 2003 Effective Biotope Mapping for Management of Busan Urban Ecosystem, Busan Development Institute. (in Korean) 

  10. Oh, S. M. 2008. The Effect of Participating in the Use Programs in the Park on the User's Depreciative Behaviors, Master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the University of Seoul. (in Korea with English summary) 

  11. Lee, Y. J. Park, E. J. Kang, G. E. and Lee, H. E. 2009. Research on Ecosystem Conservation Fund Return Project Management System. The Gyeonggi Research Institute. (in Korean) 

  12. Lee, Y. J and Yoon, E. J. 2009. A Study on the Role Promotion of Ecosystem Conservation Fund Return Projects. The Gyeonggi Research Institute. (in Korean) 

  13. Cho, D. G. 2011. Ecological restoration plan and design. NEXUS Environmental Design Centre. (in Korean) 

  14. Cho, D. G. and Kim, S. W. 2010. A Study on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of Ecosystem Conservation Fund Return Projects. 63-72. (in Korea with English summary) 

  15.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2007. A Study on the Redesigning A Program of Ecosystem Conservation Fund, Ministry of Environment p.87. (in Korean) 

  16. Ministry of Environment. 2008. A Study on the Role Promotion of Ecosystem Conservation Fund Return Projects Public Hearing Documents. NEXUS Environmental Design Centre. (in Korean) 

  17. Ministry of Environment. 2010. The Ecosystem Conservation Fund Return Projects Guidelines.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