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을 통한 해안 식생복원계획 - 부산 해운대구 달맞이 고개 일대를 대상으로 -
Vegetation Restoration Plan for a Coastal Area through Ecosystem Conservation Fund Return Project: - focus on the Dalmaji-gil area, Haeundae-Gu, Busan Metropolitan City. -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8 no.2, 2019년, pp.191 - 201  

윤성융 (서호엔지니어링)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ggested a vegetation restoration plan for a coastal area where the ecosystem conservation fund return project, targeting the whole area of Dalmaji-gil, located in Haeundae, Busan. After distinguishing if it would be a proper site for the operation of the ecosystem conservation fund re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훼손된 지역만큼 복원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부산 해운대에 위치한 달맞이고개 일대를 대상으로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의 추진이 저조한 해안에 대하여 식생복원계획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한반도에서 생태계보전과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달맞이고개 일대의 해안 식생복원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먼저 대상지의 현황을 어떤항목으로 분석 하였는가? 달맞이고개 일대의 해안 식생복원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먼저 대상지의 현황을 분석한 후, 복원계획의 기본구상 방향을 설정하였다. 대상지 현황 분석은 생태환경, 인문환경 분석 및 토지 소유자 현황 분석을 진행하여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이 시행될 수 있는 적절한 대상지인지 판별하였다. 대상지 현황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대상지의 식생 복원을 위한 목표종을 설정하였고, 생물권보전지역 공간구분에 따른 시설 및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본 대상지의 현황을 기반으로 한 해안 식생 복원계획을 제시하였다.
생태계 훼손의 가장 큰 요인은 무엇인가? 윌코브(1986)는 생태계 훼손의 가장 큰 요인을 인구의 증가, 과학기술의 발달 및 급격한 도시화로 지목하고 있으며, 위 요인들로 인해 서식지의 단편화 및 면적 축소, 개체군의 크기 감소, 군집의 종 다양성 감소 등이 발생 되어져 심각한 생태계 훼손을 발생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의 목적은 무엇인가? 이러한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의 목적은 자연환경 및 생태계 기능을 저하시키고 생물다양성 감소를 초래한 개발 사업자의 협력금을 활용하여 훼손된 생태환경을 복원하고 대체자연을 조성하는 등 생태계 보전 및 복원사업을 유도하는데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Cho, D. G., Kim, S. W., 2010, A Study on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of ecosystem conservation fund return projects,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3(3), 63-72. 

  2. Han, E. M., 2013, Revitalization of fund return project of Ecosystem conservation fund policy in accordance with the institutional changes, M.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Seoul. 

  3. Lee, J. H., Sung, H. C., 2013, A Study on the post-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ecosystem conservation fund return project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nology, 16(2), 1-12. 

  4. Lee, S. B., Che, E. J., 2015, A Study on improving the application of ecosystem conservation fund in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5), 1-69. 

  5. Park, E. J., 2009, Funding for nature conservation of the DMZ area : focusing on the ecosystem conservation fund, Gyeonggi Reserch Institute, 5, 111-112. 

  6. Park, E. J., Lee, S. L., 2009, A Study on Management System of Ecosystem Conservation Fund, Gyeonggi Research Institute, 78-90. 

  7. Park, J. H., Lee, D. G., Kim, J. T., Jeon, S. W., Lee, W. K., Kim, J. S., Jung, T. Y., 2014, Improvement of cooperation charge on conservation of ecosystem reflected natural capitals valuation -focused on forest area-,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7(1), 203-21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