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계적인 구술기록 생산을 위한 제언
A Systematic Approach to Producing Oral Records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13 no.1, 2013년, pp.135 - 158  

손동유 (명지대학교 국제한국학연구소) ,  권용찬 (명지대학교 국제한국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구술사연구는 학문적인 영역을 넘어 대중적인 소통방법이자 새로운 기록생산 방법으로 자리 잡아 나가고 있다. 이는 그간 학문적인 성과와 과학기술의 발달이 만나 대중에게 효과적으로 전해진 결과이기도 하다. 역사 기록의 부재로 인해 올바른 역사서술을 위하여 기록을 확보하기 위한 차원, 권력중심의 편중된 역사서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역사서술의 주체를 넓히는 차원 등으로 진행되고 있는 구술기록생산은 프로세스 관리를 중심축으로 하여 구술결과물의 형식과 내용 모두가 양질로 확보되어야 한다. 구술기록을 생산 하고자 기획하는 단계에서부터 배경과 목적이 기록화 되고, 구술진행 과정과 산출물 취합과정도 기록화되어야 한다. 또한 구술방식과 내용에 대한 해제는 물론이고 이들 전 과정에 대한 평가를 통한 개선점 마련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과 맥락이 체계적으로 기록되고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이 구술 프로세스 관리의 핵심이다. 이는 연구진 모두의 역할이고 질 높은 관리를 위해 관리전담자를 두는 것도 필요하다. 구술내용의 맥락을 확보하는 것은 연구자의 몫이다. 하지만 이는 면담현장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준비단계의 충실한 연구에서부터 시작해서 최종단계의 해제로 마무리 된다. 또한 촬영영상과 녹취문은 이용자들에게 서비스되는 산출물을 생산하는 일이므로 숙련되고 전문적인 촬영자와 녹취자가 질 높은 산출물을 생산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프로세스가 원만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적절한 예산확보와 전자적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고에서 상세히 다루지는 못하였지만, 이 모든 프로세스를 전산적 환경에서 관리, 보존, 서비스 할 수 있는 '구술아카이브시스템'이 관련 연구자들의 협업을 통하여 만들어지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ile academic discussions and methodological researches on oral history are being progressed in Korea, its exploitation has already begun to increase with a variety of methods and approaches in the private sector. Oral history is a new method of research, as well as another process of production of...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술사란? 구술사란 “구술기록에 근거한 역사 서술”이라고 할 수 있다. 구술사 분야가 발전함에 따라 구술기록의 생산, 관리, 보존, 활용 등이 점차 강조되어 가고 있는 것은 자연스런 현상이다.
면담일지에서 입력되는 정보 세 가지를 설명하면? ① 제목 및 주제영역은 구술 인터뷰를 진행하는 전체 사업이나 과업의 제목과 해당 인터뷰에서 밝히거나 또는 증언을 남기기 위한 주요한 핵심 주제를 보여주는 영역이다. ② 생산정보영역은 구술인터뷰의 대상자와 면담자를 비롯한 장소와 시간 등의 객관적인 사실의 정보를 남기는 영역이다. 면담 수행을 준비하는 과정, 즉, 구술자와 접촉하여 시간과 장소를 정하고 촬영 또는 녹음을 수행한 결과를 입력한다. 실제 면담 과정에서 확정된 정보를 정리해 두었다가 면담일지에 반영하게 되는 것이다. ③ 주기영역은 구술 면담의 내용이나 배경상황, 구술자의 특기사항 등을 구술자의 입장에서 정리하여 입력하는 영역이다. 면담일지에서 가장 중요한 기록의 맥락을 확보하는 부분이며 면담자가 직접 작성하며, 경우에 따라서 보조면담자, 촬영자 등의 의견을 반영하는 것도 필요하다.
한국에서의 구술사 연구는 어떤 과정에서 본격화 되었는가? 구술사 분야가 발전함에 따라 구술기록의 생산, 관리, 보존, 활용 등이 점차 강조되어 가고 있는 것은 자연스런 현상이다. 한 국에서의 구술사 연구는 1980년대 군사정권에 대한 반정부 민주화운동의 고양기에 역사학계에서도 새로운 역사쓰기를 시도하는 과정에서 본격화 되었다. 그 대표적인 예로 1980년대 말부터 1990년대 초까지 출간된 『역사비평』의 현대사 증언 시리즈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권미현. 2004. 구술사료의 기록학적 관리방법 연구. 기록학연구, 10: 112-144. Kwon, Mi-hyun. 2004. "A Study on Archival Methodology for Oral History Management."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0: 112-144. 

  2. 김귀옥. 2006. 한국 구술사 연구현황, 쟁점과 과제. 사회와 역사, 71: 313-348. Kim, Gwi-Ok. 2006. "The Situation of Oral History Research in Korea, Current Issues andTopics." Society and History, 71: 313-348. 

  3. 김귀옥. 2008. 구술사연구현황과 구술사 아카이브의 구축. 국가기록연구, 4: 38-39. 

  4. 김귀옥. 2010. 구술사 쓰기의 방법과 절차. 구술사연구, 1: 77-115. Kim, Gwi-Ok. 2010. "Method and Procedure of the Oral-History Writing: A Case-BasedTheorizing." Research of Oral History, 1: 77-115. 

  5. 김기봉. 2011. 소통과 매체로 보는 사학사. 역사문화연구, 40: 369-402. Kim, Gi-bong. 2011. "Historiography in Terms of Communication and Media." Journal ofHistory and Culture, 40: 369-402. 

  6. 김명훈. 2010a. 기록학적 관점에서의 구술의 의미와 역할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24: 73-112. Kim, Myoung-Hun. 2010. "A Study on the Meanings and Roles of Oral History from aPerspective of Archival Science." Research of Archival Science, 24: 73-112. 

  7. 김명훈. 2010b. 디지털 구술기록의 생산 및 정리?보존 절차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0(1): 7-29. 

  8. 김호연, 엄찬호. 2010. 구술사를 활용한 인문치료의 모색. 인문과학연구, 24: 361-383. Kim, Ho-Yeon, & Eom, Chan-Ho. 2010. "Search for Humanities Therapy Utilizing Oral History:Memory, Trauma and History Therapy." Research of Humanities & Sciences, 24:361-383. 

  9. 박순철. 2009. 디지털 구술아카이브 구축 및 사례 - 20세기 민중생활사 아카이브를 중심으로. 구술채록관련 관계전문가 토론회 자료집, 대통령기록관. 

  10.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2007. 구술기록물 관리체계 구축 방안 및 구술채록을 위한 연구용역. 연구보고서, 국가기록원. 

  11. 설문원. 2010. 지역기록화를 위한 도큐멘테이션 전략의 적용. 기록학연구, 26: 103-149. Seol, Moon-Won. 2010. "Directions of Implementing Documentation Strategies for Local Regions."Research of Archival Science, 26: 103-149. 

  12. 윤택림 편역. 2010. 구술사, 기억으로 쓰는 역사. 아르케. 

  13. 윤택림, 함한희. 2006. 구술사연구방법론. 아르케 

  14. 윤택림. 2001. 역사인류학자의 시각에서 본 역사학 - 구술사 연구를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 6:213-234. 

  15. 윤택림. 2012. 왜 구술사인가: 한국 근현대사의 구술 기록의 중요성. 기록인, 20. 

  16. 이기우, 임명진 옮김. 1995.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판사. 

  17. 이용기. 2009. 역사학 구술사를 만나다. 역사와현실, 71: 291-319. Lee, Yong-Gi. 2010.Lee, Yong-Gi. 2009. "Conventional History Meets Oral History - Current Situation and FutureTasks for Oral History, Figured from a Historian'S Perspective." Quarterly Review ofKorean History, 71: 291-319. 

  18. 이용기. 2010. '새로운 민중사'의 모색과 구술사 방법론의 활용. 역사문화연구, 37: 407-435. Lee, Yong-Gi. 2010. "'New Minjung History' and the Oral History as Its Methodology." Journalof History and Culture, 37: 407-435. 

  19. 이정연. 2009. 구술사 기록물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메타데이터 모델링 및 표준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6(1): 163-184. Lee, Jung-Yeoun. 2009. "A Study on Modeling Metadata and Developing Standard Elementsto Establish Oral History Archiv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Management, 26(1): 163-184. 

  20. 이정연, 이정연, 유종덕, 이종윤. 2011. 여성구술생애기록물 맥락 표현을 위한 메타데이터 구조화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학연구, 30: 57-88. Lee, Jung-Yeon, Lee, Jung-Yeoun, Ryoo, Jong-Duk, & Lee, Jong-Yoon. 2011. "A Study onMetadata Structuralization for Context Representation of Women's Oral Life History."Research of Archival Science, 30: 57-88. 

  21. 이호신. 2010. 구술자료의 저작권문제에 관한 연구. 구술사연구, 1: 49-75. Lee, Ho-Sin. 2010. "A Study on Copyright Issues for Oral History Interviews." Research ofOral History, 1: 49-75. 

  22. 장신기. 2009. 구술아카이브 구축 방법론 -김대중도서관의 사례. 구술채록 관련 관계전문가 토론회 자료집, 대통령기록관. 

  23. 조용성. 2010. 구술기록 수집과 아카이브 정책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25: 233-278. Cho, Young-Sung. 2010. "A Study on the Collecting Policy of Oral History Archives." Researchof Archival Science, 25: 233-278. 

  24. 지수걸. 2010. '구술사하기'와 지역문화운동. 역사연구, 19: 227-239. 

  25. 최정은. 2011. 사회적 기억과 구술 기록화 그리고 아키비스트. 기록학연구, 30: 3-55. Choi, Jeong-eun. 2011. "A Study on Archiving of "Social Memory" and Oral Record Focusedon the Role of Archivist in the Stages of Oral Record Collecting and Planning." Research of Archival Science, 30: 3-55. 

  26. 한국구술사연구회. 2005. 구술사 방법과 사례. 선인. 

  27. 함한희. 2010. 구술사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구술사연구, 1: 7-47. Hahm, Han-Hee. 2010. "Searching for a New Paradigm in the Study of Oral History." Journal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1: 7-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