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역 구술기록의 생산과 관리 현황 및 개선방안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Creating and Managing Local Oral Records in Busan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18 no.2, 2018년, pp.85 - 108  

배은희 (기록&출판 <빨간집>)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구술사 연구는 1980년대 중후반 현대사 진실 규명을 위해 시작되었다. 근 현대 주요 사건에 대한 구술기록이 다수 생산되다가 2000년대 후반부터 지역과 마을에 대한 구술 사업이 증가했다. 부산에서는 2009년 국립부산국악원의 예술가 구술생애사 사업을 시작으로 2016년까지 10개 공공기관에서 33건의 구술 사업이 진행되었다. 지역민의 기억을 통해 부산의 정체성을 찾고 도시개발로 사라져가는 마을을 기록하는데 구술사는 유용한 방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구술 사업에서 1차 자료가 제대로 생산되지 않고 사후 관리가 체계적으로 되지 않아 향후 연구자료로 재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는 2009년부터 2016년 사이 부산지역의 구술기록 생산과 관리 현황을 파악하고, 지역 구술기록을 지역 아카이브로 보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ral history research in Korea began with the effort to find out the truth behind the hidden historical issues that occurred during the mid-1980s. Since then, attempts to record the major issues through contemporary Korean history orally has increased. From the late 2000s, the focus shifted to local...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처드 콕스에 의한 지역의 정의는? 리처드 콕스는 지역을 “문화, 정치, 사회경제, 역사 또는 기타 이유로 개개인이 동질성을 느끼는(이웃에서 카운티나 시, 지역까지를 아우르는) 지리적 영역"이라고 정의하며 지역을정의하는 요소로 커뮤니티, 경제, 역사 발전, 지각(perception), 인구, 사회양상, 문화, 지리, 경관, 정치, 종교, 기술 등을 언급했다(Richard Cox,1996).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일정하게 구획된 어느 범위의 토지' 또는 ‘전체 사회를 어떤 특징으로 나눈 일정한 공간 영역'으로 풀이된다.
도시재생 사업과 공동체 활성화 사업, 스토리텔링 사업 등의 비중이 늘어난 이유는? 2000년대에 들어 최초로 구술을 활용한 지방지인 『이천시지』(2001) 발간을 시작으로 2000년대 중후반부터 지역과 마을 관련 구술 사업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지방분권과 지역균형발전이 강조되면서 지역의 문화와 역사를 복원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지역과 마을단위 그리고 지역에 살고 있는 개인의 경험과 기억을 통해 지역의 정체성을 찾으려는 시도가 늘었다. 그렇게 수집된 이야기들이 지역의 문화자원이 될 수 있다는 인식 또한 커졌다. 이러한 인식에 기반 해서 도시재생 사업과 공동체 활성화 사업, 스토리텔링 사업 등의 비중이 늘어났고, 이사업들에서 구술이 활용된 사례가 늘어났다 .
지역사, 마을사 관련 조사와 연구의 현황은? 이러한 인식에 기반 해서 도시재생 사업과 공동체 활성화 사업, 스토리텔링 사업 등의 비중이 늘어났고, 이사업들에서 구술이 활용된 사례가 늘어났다 .지역사, 마을사 관련 조사와 연구는 최근 유행처럼 확대되고 있고, 전문연구자 뿐만 아니라 지역단체 및 공동체들까지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상황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cademy of Korean Studies (2016). Step 3 Guide for Standardization and Transfer of Modern Korean Oral History Research Projects. 

  2. Cha, Chul-wook (2016). Locality Studies as a Method of Local History Research. The Journal of Honam area studies, 60, 303-333. 

  3. Cho, Young-Sung (2010). A Study on the Collecting Policy of Oral History Archive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5), 233-278. 

  4. Choi, Jeong-eun (2011). A Study on Archiving of 'Social Memory' and Oral Record Focused on the Role of Archivist in the Stages of Oral Record Collecting and Planning,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0), 3-55. 

  5. Joo, Hyuck (2012). What kind of materials should be collected, why, from whom and how: the perspective for looking at local materials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and field work method. Korean Journal of Oral History, 3(1), 47-70. 

  6. Kim, Gwi-Ok (2016). The Origins, Roles, and Challenges of Oral History in Studying Korean Modern History. Korean Oral History Association, (7), 11-44. 

  7. Kim, Myoung-Hun (2010). A Study on the Meanings and Roles of Oral History from a Perspective of Archival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4), 73-112. 

  8. Korea Oral History Study (2005). Oral history: Methods and examples. Seoul: Sun-in. 

  9. Korea Oral History Study (2014). Oral history. 1: Planning and Collecting, Seoul: Sun-in. 

  10. Korea Oral History Study (2017). Oral history. 2: Management and utilization. Seoul: Sun-in. 

  11. Korea Society of Archival Studies (2008). Archive Terminology Dictionary. Gyeonggi: Historical criticism. 

  12. Kwon, Mi-hyun (2004). A Study on Archival methodology for Oral History Management.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0), 112-144. 

  13. Kwon, Mi-hyun (2007). Management and Use of Oral History Archives on Forced Mobilizatio.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6), 303-339. 

  14. Lee, Hosin (2017). Oral History Research and Record: Transcripts and Possibilities Beyond. Korean Journal of Oral History, (8), 97-129. 

  15. Lee, Jung-Yeoun (2009). A Study on Modeling Metadata and Developing Standard Elements to Establish Oral History Archiv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6(1), 163-184. 

  16.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07). A plan for the comprehensive management of oral records and its methodology. 

  17. Richard J. Cox (1996). Documenting Localities, Lanham: Scarecrow Press. 

  18. Seol, Moon-won (2015). Localities and Local Archives Management.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5(4), 151-171. 

  19. Sohn, Dong-You & Kwon, Yong-Chan (2013). A Systematic Approach to Producing Oral Recor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3(1), 135-158. 

  20. Yeum, Mi-Gyeung (2006). Current Status and Tasks of Oral History in the Local Historical Society Research. The Korean History Education Review, 98, 237-262. 

  21. Yun, Taekrim & Ham, Hanhee (2006). Oral History methodology for writing new history. Seoul: Arche. 

  22. Yun, Taekrim (2012). Local Ethnography and Oral History Focusing on Southern Gyeonggi Province. Korean Journal of Oral History, 3(2), 203-23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