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위험 및 완화요인을 중심으로 -
Factors Affecting Suicide Ide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0 no.1, 2013년, pp.1 - 11  

라채린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이창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서주연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최지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유명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life stressors and mitigating factors affecting suicide ideation amongst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Methods: Study participants were recruited online from one of the universities in Seoul. The total of 794 sampl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dataset. Fi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자살생각”이며 독립변수는 대학생의 “스트레스”이다.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요인을 범주화하여 어떠한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우울 등의 다른 위험요인 및 자살생각을 완화할 수 있는 방어요인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이 겪는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양상을 살펴보고, 스트레스의 하위요인별로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자살생각을 완화할 수 있는 방어요인의 종류를 파악하여 자살생각을 감소시키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하지만 가까운 사람들의 죽음, 이혼, 경제적 몰락 등 당사자에게 큰 변화를 일으키는 ‘방아쇠 인자’는 자살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우울을 매개로 하지 않고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직접적으로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관찰했다. 이는 우울이 널리 알려진 자살의 주된 위험요인이기 때문이며, 또한 일상적 스트레스의 영향을 되도록 배제하고 자살생각을 유발하는 중대한 스트레스 요인을 밝혀내기 위함이다.
  • 위에서 건강행동, 여가활동, 사회적지지 등은 우울 또는 자살생각을 실질적으로 완화하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서술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완화 요인이 각 변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이를 설문지에 포함했다. 다만, 별도의 설문도구를 개발하지 않고 하위요인별 각 1개 또는 2개의 질문으로 묻는 방법을 택했다.
  • 셋째,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경험하는 다양한 종류의 스트레스가 어떻게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그러나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많은 연구에서 개인의 반응은 스트레스 경험 자체보다 그 스트레스에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더 많이 결정된다고 한다(Folkman & Lazarus, 1988; Kessler et al.
  • 스트레스의 영향과는 별도로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기 위한 실천적인 방안을 찾기 위하여 본 연구진은 건강행동, 여가활동, 사회적 지지의 세 가지 방어요인이 우울 및 자살생각에 각각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 결과 세 가지의 방어요인은 모두 우울을 감소시켰으나 이 중 ‘사회적 지지’만이 자살생각을 감소시켰다.
  •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대학생의 높은 자살생각과 스트레스 범주에 따른 영향의 차이를 발견했다는 것을 의미 있는 성과로 평가하고 후속연구를 위하여 아래와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 위 모델에 따르면 스트레스는 우울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거나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이에 대한 검증은 통계적으로 우울을 통제하였을 때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효과의 유의성의 변화로 판단하고자 했다. 한편, 자살의 방어요인(건강행동, 여가활동, 사회적지지)은 스트레스가 우울 및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각 단계에 작용하여 이를 완화하는 것으로 가정했다.

가설 설정

  • 1) 대학생의 스트레스를 하위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을 것이다.
  • 2)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하위요인이 있을 것이다.
  • 3) 스트레스를 받은 대학생들의 자살생각을 완화하는 요인이 있을 것이다.
  • 위의 인과모형에 의하여 우울은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간의 관계에 있어 매개효과를 보일 것으로 가정했다. 위 모델에 따르면 스트레스는 우울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거나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 이에 대한 검증은 통계적으로 우울을 통제하였을 때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효과의 유의성의 변화로 판단하고자 했다. 한편, 자살의 방어요인(건강행동, 여가활동, 사회적지지)은 스트레스가 우울 및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각 단계에 작용하여 이를 완화하는 것으로 가정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이 갖는 특수한 스트레스 양상이 있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는 이유는? 대학생은 발달단계 상 청년 후기에 해당하는 인생의 전환단계에 위치하여(Lim, Choi, & Kim, 2012) 대인관계, 가치관 문제, 학업 및 장래계획, 경제문제 등에서 급격한 전환기를 맞게 되고, 미래의 사회인으로 거듭나도록 다양한 과제가 주어짐으로써 혼란스런 감정을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대학생이 갖는 특수한 스트레스 양상이 있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스트레스-취약성 모형이란 무엇인가? ‘스트레스-취약성 모형’은 자살의 위험요인(Risk factor)과 방어요인(protective factor)이 균형을 이루지 못하여 자살을 실행한다는 이론 모형이다(Wasserman, 2001). ‘위험요인’은 사람을 자살하는 방향으로 이끄는 요인으로서 우울이나 스트레스 등이 이에 속한다.
우울은 무엇의 결정적인 위험요인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가? 우울은 자살의 결정적인 위험요인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Conwell, 1994; Conwell, Caine, & Olson, 1990; Kim, 2002)청소년부터 노인까지 모든 연령층에서 자살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인다(Paykel, 1976; Kim & Kim, 2008). 우울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감정의 하나로서, 가볍게 울적한 감정에서부터 정신치료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비정상의 범주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인 특성을 갖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Abela, J. R., & Seligman, M. E. (2000). The hopelessness theory of depression: a test of the diathesis-stress component in the interpersonal and achievement domain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4, 361-378. 

  2. Abramson, L. Y., Metalsky, G. L., & Alloy, L. B. (1989). Hopelessness depression: a theory based subtype of depression. Psychological Review 96, 358-372. 

  3. Beck, A. T., Kovacs, M., & Weissman, A. (1979).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2), 343-352. 

  4. Blumenthal, S. J., & Kupfer, D. J. (1986). Generalizable treatment strategies for suicidal behavior.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487, 327-340. 

  5. Breslow, L., & Enstrom, J. E. (1980). Persistence of health habits and their relationship to mortality. Preventive Medicine, 9, 469-483. 

  6. Caplan, G. (1974). Support systems and community mental health. New York, NY: Behavioral Publications. 

  7. Cassel, J. (1976). The Contribution of the social environment to host resistance.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04(2), 107-122. 

  8. Cho, H. S. (2007). Relationship of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tendencies in nursing students.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12(1), 3-14. 

  9.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edi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 300-314. 

  10. Conwell, Y. (1994). Suicide in elderly patients : diagnosis and treatment of depression in late lif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397-418. 

  11. Conwell, Y., Caine, E. D., & Olsen, K. (1990). Suicide and cancer in late life. Hospital and Community Psychiatry, 41, 1334-1339. 

  12. Dubow, E. F., Kausch, D. F., Blum, M. C., Reed, J., & Bush, E. (1989). Correlates of suicidal ideation and attempts in community sample of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Clinical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18(2), 158-166. 

  13. Folkman, S., & Lazarus, R. S. (1988). Coping as a mediator of emo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466-475. 

  14. Hall, D. J., & Mansfield, R. (1971).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response to external stres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6, 533-547. 

  15. Harriss, L., & Hawton, K. (2005). Suicidal intent in deliberate self-harm and the risk of suicide: the predictive power of the suicide intent scale.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86, 225-233. 

  16. House, J. S. (1981).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Cambridge, MA : Addison-Wesley. 

  17. Jung, N., Kim, H., & Lee, S. M. (2010). A study of the determinants of suicidal ideation among the young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Public Health, 47(1), 47-52. 

  18. Kang, E. J. (2005). Factors related to suicide ideation by age group, Health-Welfare Policy Forum, 107, 81-86. 

  19. Kaplan, B. H. (1975). An epilogue: toward further research on family and health. In B. H. Kaplan, & J. C. Cassel (Eds.), Family and Health: An Epidemiological Approach (pp. 89-106). Chapel Hill, NC: Institute for Research in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20. Kaplan, B. H., Cassel, J. C., & Gore, S. (1977). Social support and health. Medical Care, 15(5), 47-58. 

  21. Kessler, R. C., & McLeod, J. D. (1985).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in community samples. In S. Cohen, & S. L. Syme (Eds.), Social Support and Health. New York, NY: Academic Press, 219-240. 

  22. Kessler, R. C., Andrews, G., Colpe, L. J., Hiripi, E., Mroczek, D. K., Normand, S. L. T., Walters, E. E., & Zaslavsky, A. M. (2002). Short screening scales to monitor population prevalences and trends in non-specific psychological distress. Psychological Medicine, 32, 959-976. 

  23. Kiesler, C. A. (1985). Policy implications of research on social support and health. In S. Cohen, & S. L. Syme (Eds.), Social support and health. New York, NY: Academic Press, 347-364. 

  24. Kim, H. & Kim B. A. (2008). Comparative study on suicidal ideation in the elderly and the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8(2); 325-343. 

  25. Kim, H. J, & Jeong M. A. (2010). Effect of family function and self-efficacy on suicidal ideation in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1), 43-50. 

  26. Kim, H. S. (2002). A study on epistemology of Korean elder's suicidal thought.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2(1), 159-172. 

  27. Kim, J. J. (2009). An 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university student's suicidal ideation - regarding effect of suicidal attempt experience, mental health, psychosocial problems. Mental Health & Social Work, 32, 413-437. 

  28.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1) Statistical Yearbook of Education (pp. 26-27). Retrieved from http://cesi.kedi.re.kr/index.jsp 

  29.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5). Textbook of neuropsychiatry (pp. 815-830). Seoul, Korea : Chungang-munwha company. 

  30. Kraaih, V., Garnefski, N., & Maes, S. (2002). The joint effects of stress, coping and coping resources on depressive symptoms in the elderly. Anxiety, Stress and Coping, 15(2), 163-177. 

  31. Lakshmi, N. V. (2009), Health psychology and counseling (pp.164-172). Delhi, India: Discovery Publishing House. 

  32.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NY : Springer Publishing Company. 

  33. Lee S. M. (2000). Introduction to the factor analysis. Paju, Korea: Science Education Company. 

  34. Lee, E. H., & Cho, Y. J. (2008). Psychological process of adolescents suicide : the protec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problem-solving ability. Korean Journal of Social Issues, 16(3), 105-143. 

  35. Lee, M. S. (2005).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and suicide of the old. Korean Journal Of Clinical Social Work, 2(3), 191-211. 

  36. Lee, N. J. (2011). Moderating effects of life problems, social support older peopl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1(4), 34-62. 

  37. Lee, S. Y., & Seo, I. (1995). Relationship of health status and health practices. Korean Journal of Epidemiology, 17(1), 48-63. 

  38. Lim, J. S., Choi, Y. I., & Kim, K. H. (2012). The effect of the family relationship, ego identity and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on career maturity in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5(1), 151-167. 

  39. Oh, J. K., Cho, Y. T., & Kim, C. Y. (2005).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icides in South Korea. Health and Social Science, 18, 191-210. 

  40. Park, J. H., Kong, E. H., & Cha, H. S. (2000). The propensity to depression in Korean internet users.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1(2), 203-210. 

  41. Park, M. S. (2005).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of suicidal risk group, and application of group counseling for college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42. Park, S. M., Cho, S. I., & Moon S. S. (2010).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 role of emotional and instrumental support,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69, 389-397. 

  43. Paykel, E. S. (1976). Life stress, depression and attempted suicide. Journal of Human Stress, 2(3), 3-12. 

  44. Ross, S. E., Niebling, B. C., & Heckert, T. M. (1999). Sources of stress among college students. College Student Journal, 33(2), 312-317. 

  45. Sadock, H. S. (2000). Chapter 29.1. Suicide. In B. J. Sadock & V. A. Sadock (Ed.) Kaplan and Sadock's Comprehensive Textbook of Psychiatry (pp. 2717-2731). Philadelphia, PA :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46. Schaefer, C., Coyne, J. C., & Lazarus, R. S. (1982). The health-related functions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4, 381-406. 

  47. Sohn, J. N. (2007). Discriminating power of suicidal ideation by life stress, coping strategy, and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6(3), 267-275. 

  48. Statistics Korea (2011). 2010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Daejeon, Korea: Author. 

  49. Stefansson, J., Nordstrom, P., & Jokinen, J. (2012). Suicide Intent Scale in the prediction of suicide.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36(1-2), 167-71. 

  50.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 (1987).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36, 76-81. 

  51. Wasserman D., Tran T. T. H., Pham T. M. D, Goldstein M., Nordenskiold A., & Wasserman C. (2008). Suicidal process, suicidal communication and psychosocial situation of young suicide attempters in a rural Vietnamese community. World Psychiatry, 7(1), 47-53. 

  52. Wasserman, D. (2001). Suicide - An Unnecessary Death (pp. 1-305). London, England: Martin Dunitz Publishers, Taylor & Francis Group. 

  53. Westefeld, J. S., Range, L. M., Rogers, J. R., Maples, M.R., Bromley, J.L., & Alcorn, J. (2000). Suicide : an overview.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8, 445-510. 

  54. Wingard, D. L., Berkman L. F., & Brand R. J. (1982). A multivariate analysis of health-related practices: a nine-year mortality follow-up of the Alameda County Stud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16(5), 765-75. 

  55. Yoo, J. S., Chang S. J., Choi, E. K., & Park J. W. (2008). Development of a stress scale for Korea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3), 410-4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