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작은도서관 협력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부천지역 작은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ve Network with Small Libraries: Focus on Bucheon Region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4 no.1, 2013년, pp.149 - 169  

이정호 (서울연구원 출간자료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이용자의 요구에 필요한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지역사회 내의 작은도서관들이 연계 및 협력하는 네트워크의 특성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부천지역 내의 60개의 작은도서관을 대상으로 협력네트워크에 관한 관계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네트워크의 구조적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사회연결망분석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공립작은도서관 간에는 연계가 긴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중심성에서도 공립작은도서관이 상위그룹을 형성하였고 지방자치단체 등 외부 행위자를 포함한 네트워크에서도 공공도서관과 공립작은도서관이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사립작은도서관은 대부분 고립되어 있어 연계가 미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exploratory study analyzed the structure of collaborative network among small libraries.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small libraries in Bucheon region. In order to analyze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network, this study used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작은도서관이 구축한 협력 네트워크를 사회연결망분석이라는 도구를 사용하여 구조적으로 분석하고 그들의 공통된 목표를 달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협력 네트워크 구조로 성장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 및 연계 방식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작은도서관에 대한 실태조사 위주의 평가가 이루어지면서 실제적으로 이러한 운영 체제가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작은도서관 간의 협력 네트워크에 관한 탐색적인 연구로서 작은도서관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부천지역을 대상으로 협력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작은도서관이 구축한 협력 네트워크를 사회연결망분석이라는 도구를 사용하여 구조적으로 분석하고 그들의 공통된 목표를 달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협력 네트워크 구조로 성장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 및 연계 방식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작은도서관 간의 협력 네트워크에 관한 탐색적인 연구로서 작은도서관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부천지역을 대상으로 협력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작은도서관진흥법 제7조에서 강조하는 것은 무엇인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장은 작은도서관을 진흥하는데 필요한 시책을 강구해야 하며 필요시 행정적․재정적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법 제7조에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작은도서관 기능 활성화를 위해 다른 공공도서관과 작은도서관 간의 도서관 자료 및 업무 등의 협력을 위한 시책을 마련해야 하며 도서 및 자료 등의 공동이용을 위한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시책을 강구해야 함을 강행규정으로 명기함으로써 다른 공공도서관과의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작은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은 무엇인가? 작은도서관은 생활공간의 편의성과 접근성의 강점을 내세우며 공공도서관과 연계하는 서비스 포인트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여 왔다(도서관연구소 2010). 작은도서관에서 지역주민은 그들의 삶을 가꾸고 공동체를 이루며 건강한 민주시민으로서의 가치를 실현하고 있다.
사회과학 분야에서 네트워크는 어떻게 정의되는가? 사회과학 분야에서 네트워크는 특정한 범위 내의 사람, 대상 또는 사건들을 연결하는 관계(Knoke and Kuklinski 1982), 경쟁과 협력의 상호 의존적 구조, 혹은 개인이나 집단 등 행위자들 간의 전반적인 연계형태로서 누가 누구에게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를 나타내는 관계구조(Adler and Kwon 2000)로 정의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국립중앙도서관. 2005. .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2. 국립중앙도서관. 2006. .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3. 국립중앙도서관. 2007. .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4.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 2010. .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 연구소. 

  5. 김용학. 2011. . 서울: 박영사. 

  6. 손동원. 2002. . 서울: 경문사. 

  7. 송호근, 김우식, 이재영 편. 2004. 한국사회의 연결망 연구.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8. 유양근, 박송이. 2010. 작은도서관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21(1): 175-192. 

  9. 이재희. 2008. .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행정대학원, 일반행정 및 정책전공. 

  10. 정현태. 2006. 작은 도서관 조성사업의 활성화 방안: 작은도서관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공청회자료. , 21: 217-253. 

  11. 조윤희. 2010. 공공도서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방안. , 44(2): 177-196. 

  12. 차성종, 안인자, 윤소영. 2012. 전국 작은도서관 운영 실태조사 및 분석 연구. , 23(1): 153-178. 

  13.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1. .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14. Adler, P. S. and S. W. Kwon. 2000. "Social Capital: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in Erik L. Lesser(ed.) Knowledge and Social Capital: Foundationand Application, Boston: Burtworth-Heinemann. 

  15. Austin, J. E. 2000. The Collaboration Challenge. San Francisco, CA: Jossey-Bass. 

  16. Freeman, L. C. 1979.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n." Social Networks, 1: 215-239. 

  17. Gulzar, L. and B. Henry. 2005. "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on for Health Care Between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s) in Pakistan." Social Science and Medicine, 61(9): 1930-1943. 

  18. Hanneman, R. A. and M. Riddle. 2005. Introduction to Social Network Methods, Riverside CA: University of California [online]. [cited 2012.10.10]. . 

  19. Knoke, D. and J. H. Kuklinski. 1982. Network Anlaysis, CA: Sage Publications. 

  20. Kearns, K. P. 2000. Private Sector Strategies for Social Sector Success: The Guide to Strategy and Planning for Public and Nonprofit Organizations, CA: Jossey-Bass. 

  21. Murray, V. 1999. "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on in the Nonprofit Sector." in Shafritz(ed.)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Public Policy and Administration. Boulder: Westview Press. 

  22. O'Toole, L. Jr. 1997. "Treating Networks Seriously: Practical and Research Based Agenda in Public Administratio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57: 45-52. 

  23. Pfeffer, J. 1982. Organizations and Organization Theory. Marshfield, Massachusetts: Pitman Publishing. 

  24. Scott, J. P. 2000. Social Network Analysis: A Handbook. Thousand Oaks, London: Sage Publications. 

  25. Walter, U. A. and C. G. Peter. 2000. "A Template for Family-centered Interagency Collaboration." Families in Society, 81(5): 494-503. 

  26. Wasserman, S. and K. Faust. 1994.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