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전통음식에 대한 인식도 및 만족도 비교
The Awareness and Satisfaction Regarding Korean Traditional Food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8 no.2, 2013년, pp.167 - 176  

김경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권용석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양숙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기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wareness and satisfaction regarding Korean traditional food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a survey of 1,030 students, 55.9% of the total respondents stated that traditional Korean food is 'Korean food that uses unique Korean re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7개 지역의 초·중·고등학생들 대상으로 전통음식에 대한 인식도와 현재 학교급식에 제공되고 있는 전통음식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7개 지역의 초·중·고등학생들 대상으로 전통음식에 대한 인식도와 현재 학교급식에 제공되고 있는 전통음식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학교급식의 지역농산물과 전통음식을 활용한 식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음식이란? 전통음식은 우리민족이 예로부터 먹어온 음식으로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의 지역적 특성을 살리면서 고유한 식생 활 문화로 발전 되어온 음식이다(Gang 등 2006). 최근 전통 음식은 한국음식 세계화 추세에 맞추어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을 뿐 아니라 식생활의 웰빙화에 따라 건강식으로 인식되고 있다(Moon 등 1998; Kim 2000; Chang 등 2004).
전통음식은 어떤 장점이 있는가? 이와 같이 전통음식이 영양학적으로 균형이 잡혀있고 생활습관병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전통음식 선호도가 저하되고 인스턴트 음식에 대한 기호가 높아지고 있다(Ro & Park 2001). 따라서 우리 전통음식을 자주 접합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전통음식에 대한 인지도와 기호도를 높임으로써 학생들의 미래 식문화 형성 및 건강증진을 위해서는 학교급식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간편성과 편이성을 추구하는 식생활은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가? 경제발전과 맞벌이 부부의 증가, 핵가족화 및 서구화, 주 거형태의 변화로 한국의 전통 식생활은 간편성과 편이성을 추구하게 되었다. 따라서 패스트푸드와 인스턴트식품의 소비 가 증가하였고 이러한 변화는 특히 성장기에 있는 학생들의 식습관 및 식품기호에 많은 영향을 주어 아동 비만과 영양의 불균형 등을 초래하고 있다(Lee 2002; Oh 2003; Gang 등 2006; Cha 등 2007). 뿐만 아니라 아동들의 전통음식 인 지도와 섭취빈도를 낮추는 요인이 되고 있다(Oh 2003; Gang 등 2006; Kang & Lee 2008).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학생들이 올바른 식품선택을 할 수 있도록 가정 에서 식생활 관리자인 어머니의 역할의 중요성과 영양, 건 강, 문화적 의의가 포함된 식문화 영양교육의 필요성도 대두 되고 있다(Gang 등 2006; Gang & Chyun 2006; Yang 등 2006; Kim 등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hn GD, Song KH, Lee HM. 2010. Utilization status and efforts to increase usage of traditional foods in school lunch according to dietitians' preferenc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5(4):550-559 

  2. Cha JA, Yang IS, Lee SJ, Chung LN. 2007. Effect-evalu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education program for the elementary schoolers. Korean J. Food Culture, 22(4):383-392 

  3. Chang HJ, Yang IS, Chung L, Shin SY. 2004. The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overseas and domestic tourism products focusing on traditional foods. Korean J. Food Culture, 19(4):392-398 

  4. Chung HJ. 2009. A study on the children's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 - focused on staple food and side dishes -. Korean J. Food Culture, 24(6):631-640 

  5. Chung HJ, Cheon HS. 2010. A study on infant, schoolchild, and adolescent groups' food preference according to sex - seoul and Gyoung-gi (Incheon) area -. The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ence, 21(4):457-467 

  6. Chang HS, Lee MJ. 2009. The perception for management of school foodservice using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mothers in Gunsa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3(6):867-878 

  7. Chung SJ, Kang SH, Song SM, Ryu SH, Yoon JH. 2006. Nutritional quality of Korean adults consumption of lunch prepared at home, commercial places, and institutions: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he Korean J. Nutrition, 39(8):841-849 

  8. Gang MS, Chyun JH. 2006.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the knowledge of the Korean traditional food in the elementary schoolchildren of Incheon. Korean J. Food Culture, 21(2):107-115 

  9. Gang MS, Lee EH, Chyun JH. 2006. A study on the Korean traditional food consumption of the elementary schoolchildren in urban and rural area. Korean J . Food Culture, 21(4):357-365 

  10. Jung LH, Joen ER. 2005.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 in Gwangju and Jeonnam area dietitians - For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3(9):1-11 

  11. Kang HY, Jung EH, Rhi SG. 2009. Food materials for school foodservices on high-quality products, local products and fresh-cut products.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ence, 20(3):397-411 

  12. Kang JH, Lee KA. 2008. The perception, preferences, and intak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Focusing on kimchi, tteok and eumcheong varieties-. Korean J. Food Culture, 23(5):543-555 

  13. Kim JH, Lee JE, Yoon JH, Lim YS, Yoo JY, Jung IK. 2008. Perceptions of Korean traditional foods by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Gyeonggi province of Korea. The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ence, 19(1):63-74 

  14. Kim JS. 2005. Universalizing Korean food. Korean J. Food Culture, 20(5):499-507 

  15. Kim JS. 2008. The study of recognition and preference investigation by age of Korean traditional food. Masters degree thesis, Kosin University. pp. 1-76 

  16. Kim MH, Choi MK, Kim MW, Eom, AY. 2011.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the preferences for traditional Korean food served at the middle school good service in the Gyeonggi area. Korean J. Food & Nutr., 24(1):54-64 

  17. Kim SM. 2000. Attitude of the university students in the Kyungbook area on the traditional food (I)-The evaluation, the utilization and the life style-. Korean J. Food Coodery Sci., 16(1):27-35 

  18. Kim Y, Kim YS, Hyun YH. 2011. A Study on the local farmers' perceptions toward the use of local food for school meals.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18(3):569-590 

  19. Lee BS. 2008. Perception and preference on Korean traditional foods-Comparison by generation, focusing on the Busan region. Masters degree thesis, Youngsan University. pp. 1-95 

  20. Lee HN. 2000. The consciousness and preference on Korean traditional foods by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Masters degree thesis, Korea University. pp. 1-61 

  21. Lee H, Lee K, Shanklin CW. 2001. Elementary students' food consumption at lunch does not meet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for energy, iron and vitamin A. J. Am. Diet Assoc., 101(9):1060-1063 

  22. Lee KE, Hong WS, Kim MH. 2005. Food preferences on vegetarian menus Served at middle and high schools. J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1(3):320-330 

  23. Lee MY. 2002.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consciousness and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food and fast food. Masters degree thesis, Inha National University. pp. 1-77 

  24. Moon SJ, Yoon HJ, Kim JY, Lee YJ. 1998. A factor analysis on the value system of convenience foods by Korean college stud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15(4):327-337 

  25. Oh HS. 2005.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the four characteristics of some Korean dishes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ence, 16(3):3-15 

  26. Oh MY. 1995. Consciousness and preference on Korean traditional foods. Masters degree thesis, Hangyang University. pp. 1-103 

  27. Oh NY, Han MJ. 2009.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 Food Culture, 24(4):359-365 

  28. Oh YS. 2003. A study on students' awareness and preference for Korean traditional food at elementary school. Masters degree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pp. 1-74 

  29. Ro HK Park J. 2001. Grade and gender different in dietary behavior, food preference and perception about body image of 4,5 and 6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Korean Journal of Dietary Culture, 16(2):158-169 

  30. Yang IS, Chung HK, Chang MJ, Cha JA, Lee SJ, Chung LN, Park SH, Cha SM . 2006.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program for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for the elementary students. J.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2(2):127-145 

  31. Yoon JH. 2007. The perception on Korean traditional foods in junior high school studients and their parents in Gyeonggi provine. MS thesis, Chung-Ang University 

  32. 강원도 동해교육지원청 홈페이지. 2009. http://www.kwthe.go.kr/ 

  33. 경상남도 합천군교육지원청 홈페이지. 2009. http://www.gnhce.go.kr/new/education/sc_info.html 

  34. 경상북도 구미교육지원청 홈페이지. 2009. http://www.kbgmed.go.kr/ 

  35. 경상북도 청송교육지원청 홈페이지.2009. http://www.csed.go.kr/ 

  36. 농림수산식품부 농수산물유통공사. 2009. Korean menu Guide (한식메뉴 외국어 표기 길라잡이). 농수산물유통공사. 서울 

  37. 서울특별시 강서교육지원청 홈페이지. 2009. http://www.sengs.go.kr/main/index.jsp 

  38. 양천신문 2008. http://www.ycnews.kr/sub_read.html?uid220 

  39. 전라남도 나주교육지원청 홈페이지. 2009. http://www.najued.go.kr/ 

  40. 전라남도 순천교육지원청 홈페이지. 2009. http://www.sce.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