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지역 중학생의 총당류 섭취실태 연구
A study of total sugar intake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Jeju Province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8 no.3, 2015년, pp.248 - 257  

고양숙 (제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은미 (제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채인숙 (제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현숙 (동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주지역 중학생 1,184명 (남학생 476명, 여학생 708명)에게 24시간 회상법으로 식사조사를 하여 총당류 섭취량을 추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1일 총당류 섭취량은 전체 60.3 g, 남학생 50.5 g, 여학생 66.9 g으로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1일 총당류 섭취량 중 각 개별 당류가 차지하는 비중은 서당 (23.9 g) > 포도당 (12.9 g) > 과당 (12.3 g) > 유당 (6.0 g) > 맥아당 (3.3 g)의 순이었다. 2. 끼니별 1일 총당류 섭취량은 아침 6.5g, 점심 9.0g, 저녁 11.8 g, 간식 33.0 g으로 간식에서 섭취하는 양이 가장 많았다. 식품군별 1일 총당류 섭취량은 곡류 (23.0 g) > 우유류 (11.0 g) > 과일류 (7.3 g) > 당류 (6.1 g) > 채소류 (5.8 g)의 순으로 높았다. 음식종류별 1일 총당류 섭취량은 빵 과자류 (11.5 g) >면류 (10.2 g) > 유제품류 (7.5 g) > 빙과류 (6.2 g) > 음료류 (5.3 g) > 과일류 (4.5 g) > 튀김류 (3.2 g)의 순이었다. 3. 조사대상자의 1일 총당류 섭취량 60.3 g 중 천연당은 18.3 g (30.3%), 첨가당은 35.8 g (59.4%), 혼합당은 6.2 g (10.3%) 이었다. 총당류에서 얻는 열량비율이 20% 이상인 고당류섭취군은 20% 미만인 사람에 비해 탄수화물, 칼슘, 비타민 B1, B2, C의 섭취량은 유의하게 높은 반면 철, 아연, 니아신, 비타민 B6, 비타민 E 섭취량은 유의하게 낮았다. 단맛선호군은 단맛저선호군에 비해 열량, 탄수화물 및 총 당류섭취량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제주지역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1일 평균 총당류 섭취량은 60.3 g이었고, 이중 첨가당으로 인한 섭취가 59.4%로 가장 많았으며, 간식으로부터 섭취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중학생의 총당류 섭취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올바른 간식 식품선택에 대한 영양교육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otal sugar intake and sugar intake-related dietary habit and nutrient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Subjects included 1,184 middle school students (476 males and 708 females) residing in Jeju. This research analyzed daily dietary intakes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청소년의 당 섭취량이 전 연령층에서 가장 높고, 특히 가공식품을 통한 당 섭취량이 많아, 이에 대한 영양교육 및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당류의 섭취 실태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중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한 1일 총 식품섭취실태를 조사하여 1일 총당류 섭취량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 대상 당저감화 영양사업 정책개발과 영양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가설 설정

  • 첨가당 (added sugars)은 미국농무성에서 정의한 것으로 식품의 제조과정이나 조리 중에 첨가되는 당으로 백설탕, 흑설탕, 옥수수시럽, 고농도의 과당 시럽, 단풍밀시럽, 맥아시럽, 팬케익시럽, 꿀, 물엿, 당밀, 덱스트로오스, 과즙농축액 등이 포함되며 천연당이나 아스파탐과 같은 감미료, 만니톨, 자일리톨과 같은 당알콜, 그리고 올리고당은 포함되지 않는다.3 그러나 첨가당과 천연당의 화학적 구조는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총당류란 무엇인가? 총당류 (total sugar)는 식품에 존재하는 단당류와 이당류의 함량을 합한 값으로 정의된다.1,2 천연당 (natural sugars)은 우유의 유당, 과일의 과당 등과 같이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당이다.
2009년 4월부터 6월까지 제주지역 2학년 중학생의 총당류 섭취량을 회상법으로 조사하여 종합한 결과는?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제주지역 중학교 2학년 학생 들의 1일 평균 총당류 섭취량은 60.3 g이었고, 이중 첨가당으로 인한 섭취가 59.4%로 가장 많았으며, 간식으로부터 섭취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중학생의 총당류 섭취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올바른 간식 식품선택에 대한 영양교육이 필요하다.
한국에서 제시하는 총당류 섭취 기준 열량비는 얼마인가? 총당류 급원 열량비를 호주는 18%,5 유럽은 19%로6 할 것을 권장하고 있으며, 영국은 첨가당 열량비 11%를 기본으로 하여 과일과 채소섭취를 증가시키라는 의미로 총당류의 섭취를 90 g으로 권장하고 있다.7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서는 총당류 섭취를 열량의 10~20%로 할 것을 잠정적으로 제시하였다.8 WHO/FAO에서는 ‘free sugars’를 총열량섭취량의 10% 이내로 섭취할 것을 권고하였는데, 이 때 ‘free sugars’는 첨가당의 개념과 거의 비슷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World Health Organization (CH);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IT). Carbohydrates in human nutrition: report of a joint FAO/WHO Expert Consultation Rome, 14-18 April 1997. Rom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1998. 

  2.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od labelling regulation. Cheongju: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6. 

  3.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utrition and your health: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 Home and garden bulletin No. 232. 5th edition. Washington, D.C.: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00. 

  4. Shankar P, Ahuja S, Sriram K. Non-nutritive sweeteners: review and update. Nutrition 2013; 29(11-12): 1293-1299. 

  5. National Health and Medical Research Council (AU). Dietary guidelines for Australian adults. Canberra: National Health and Medical Research Council; 2003. 

  6. Rayner M, Scarborough P, Williams C. The origin of Guideline Daily Amounts and the Food Standards Agency's guidance on what counts as 'a lot' and 'a little'. Public Health Nutr 2004; 7(4): 549-556. 

  7. Institute of Grocery Distribution (GB). IGD Working Group Report. Report of the IGD/PIC Industry Nutrition Strategy Group technical working group on Guideline Daily Amounts (GDAs). Watford: Institute of Grocery Distribution; 2005. 

  8.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1st revision.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9. World Health Organization (CH). WHO Technical Report Series No. 916: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Report of the joint WHO/FAO expert consultation.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3. 

  10. Ruxton CH, Gardner EJ, McNulty HM. Is sugar consumption detrimental to health? A review of the evidence 1995-2006. Crit Rev Food Sci Nutr 2010; 50(1): 1-19. 

  11. Chung CE. Control of total energy intake is key of obesity prevention. Symposium of the Korea Food and Nutrition Foundation; 2004 Oct 5; Seoul Lotte Hotel Emerald Hall. Seoul: Korea Food and Nutrition Foundation; 2004. 

  12. Chung CE. Dietary intakes and food sources of total sugars from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1-2002. Korean J Nutr 2007; 40(Suppl): 9-21. 

  13. Lee HS, Kwon SO, Yon M, Kim D, Lee JY, Nam J, Park SJ, Yeon JY, Lee SK, Lee HY, Kwon OS, Kim CI. Dietary total sugar intake of Korean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8-2011. J Nutr Health 2014; 47(4): 268-276. 

  14. Kim SH, Chung HK. Sugar supply and intake of Koreans. Korean J Nutr 2007; 40(Suppl): 22-28. 

  15. Ko YS, Kim EM, Lee HS. A study of dietary intake of total sugars by elementary students in Jeju province. J Nutr Health 2015; 48(1): 81-93. 

  1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n Pediatric Society; Committee for the Growth Standard for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Growth chart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17. Choi SK, Choi HJ, Chang NS, Cho SH, Choi YS, Park HK, Joung HJ. Snacking behavior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2): 199-206. 

  18. Kim SH, Kim KY, Kim HJ, Lee SS, Kim SY. A survey on added sugar intakes from general snacks by adolescents in Daejeon and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for guiding their optimal intakes of sugars. Korean J Hum Ecol 2008; 11(1): 5-19. 

  19. Park YG, Lee EM, Kim CS, Eom JH, Byun JA, Sun NK, Lee JH, Heo OS. Survey on the content and intake pattern of sugar from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foodservices in Daejeon and Chungcheong provin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0; 39(10): 1545-1554. 

  20. Kim HY, Park SJ, Chung SY, Choi SH, Oh SW, Lee JS, Choi IS, Shin MS, Song JS. Monitoring the sugar content and intake in school meals from Incheon and Chunche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1; 43(1): 58-64. 

  21. Choi MH, Kwon KI, Kim JY, Lee JS, Kim JW, Park HK, Kim MC, Kim GH. Safety management of children's foods: dietary intakes of total sugar and monitoring of total sugar contents in foods. Safe Food 2008; 3(1): 22-29. 

  22. Yu NH, Kim MJ, Han JS. A study on the food intake frequency,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like sweets in B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7; 36(6): 735-744.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2. 

  24. Burt BA. Relative consumption of sucrose and other sugars: has it been a factor in reduced caries experience? Caries Res 1993; 27 Suppl 1: 56-63. 

  25. Gross LS, Li L, Ford ES, Liu S. Increased consumption of refined carbohydrates and the epidemic of type 2 diabetes in the United States: an ecologic assessment. Am J Clin Nutr 2004; 79(5): 774-779. 

  26. Marckmann P, Raben A, Astrup A. Ad libitum intake of low-fat diets rich in either starchy foods or sucrose: effects on blood lipids, factor VII coagulant activity, and fibrinogen. Metabolism 2000; 49(6): 731-735. 

  27. Kim Y, Chang H. Correlation betwee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sugar consumption, quality of diet, and dietary behavior in school children. Nutr Res Pract 2011; 5(3): 236-24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