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일부 청소년의 건강기능식품용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섭취 실태 및 관련 요인 조사
A Survey on the Consumption of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s as Health Functional Foods and Related Factors by Korean Adolescents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8 no.4, 2013년, pp.415 - 423  

이현숙 (동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한지혜 (공주대학교 대학원 가정교육과) ,  김선효 (공주대학교 기술가정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consumption prevalence of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s as health functional foods (VM-HFF) and to exa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VM-HFF consumption behaviors in adolescents. A total of 1,407 adolescents attending middle or high schools from var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본 연구에서 건강기능식품용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뿐만 아니라 전반적으로 건강기능식품의 섭취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조사 당시의 고시형 건강기능식품인 37개 품목 (Table 4)에 대하여 청소년들이 자주 섭취하는 제품 정보를 미리 여러 약국과 건강기능식품 판매점 등을 방문하여 수집한 후, 이들 정보를 바탕으로 고시형 건강기능식품 품목별로 고유 상품명을 제시하여 섭취 여부를 조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건강기능식품용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섭취 실태와 관련 요인을 알아보고 청소년기의 올바른 건강기능식품 섭취를 포함한 건강한 건강관리습관을 형성시키기 위한 영양교육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기능식품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우리나라에서 생산•판매하는 비타민•무기질 보충제에는 일반의약품용과 건강기능식품용이 있다.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가공한 식품으로서,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사전 인정 없이 판매•유통할 수 있는 ‘고시형 건강기능식품’과 사전 인정을 받고 판매•유통할 수 있는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으로 구분하고 있다(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10). 우리나라의 건강기능식품 섭취율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서 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최근 1년 이내 2주 이상 지속적으로 건강기능식품을 포함하는 식사보충제를 섭취한 경험자가 2005년 25.
건강기능식품이란? 우리나라에서 생산•판매하는 비타민•무기질 보충제에는 일반의약품용과 건강기능식품용이 있다.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가공한 식품으로서,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사전 인정 없이 판매•유통할 수 있는 ‘고시형 건강기능식품’과 사전 인정을 받고 판매•유통할 수 있는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으로 구분하고 있다(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10). 우리나라의 건강기능식품 섭취율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서 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최근 1년 이내 2주 이상 지속적으로 건강기능식품을 포함하는 식사보충제를 섭취한 경험자가 2005년 25.
영양상으로 균형 잡힌 식사를 하면서 고단위의 비타민•무기질 보충제를 섭취하면 어떤 문제가 나타날 수 있는가? 그런데 비타민•무기질 보충제를 섭취할 때 그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영양적으로 균형잡힌 식사를 하면서 고단위의 비타민•무기질 보충제를 무분별하게 섭취하는 것은 중독증의 유발과 영양소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특정 영양소의 체내 유용도를 떨어뜨리는 등 유해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개인에 따라서 비타민•무기질 보충제를 한꺼번에 두 가지 이상 중복 섭취하는 사례가 많을 뿐만 아니라(Kim 1994; Han & Kim 2000; Kim 등 2010a), 최근에는 고단위의 비타민•무기질 보충제를 선호하는 추세이기도 하여서, 무분별한 보충제 섭취에 따른 미량 영양소의 과잉 섭취가 문제시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Chung HR. 2006. Health intended food use by Korean adult: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1. J. Korean Diet. Assoc., 12(4):369-377 

  2. Chung HK, Cho MS, Kang NE, Yang EJ, Kang MH. 2001. Patterns of health foods usage by food lifestyles of the adults in Seoul. Korean J. Food Culture, 16(3):195-202 

  3. Chung HK, Lee HY. 2011. Consump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according to age group in some regions of Korea. J. Korean Diet. Assoc., 17(2):190-205 

  4. Han JH, Kim SH. 2000. Behaviors of vitamin.mineral supplement usage by healthy adolescents attending general middle or high schools in Korean. Korean J. Nutrition, 33(3):332-342 

  5. Ishihara J. Sobue T, Yamamoto S, Sasaki S, Tsugane S. 2003. Demographics, lifestyles, health characteristics, and dietary intake among dietary supplement users in Japan. Int. J. Epidemiol., 32(4):546-553 

  6. Kim HC, Kim MR. 2006. A study on health-functional foods intake pattern of consumers in Busan and Gyeongnam region. Korean J. Human Ecology, 15(2): 341-352 

  7. Kim HC, Kim MR. 2008. A study on the reaction towards damage related to health foods among the elderly.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4):608-617 

  8. Kim HC, Kim MR. 2009. A study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ocio-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willingness to take health foods among elderly. Korean J. Human Ecology, 18(1):201-210 

  9. Kim SH. 1994. Patterns of vitamin/mineral supplement usage among the middle-age in Korea. Korean J. Nutrition, 27(3):236-252 

  10. Kim SH. 2010. A study on the use of health functional foods and its related influencing factors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Korean J. Food Culture, 25(2):150-159 

  11. Kim SH, Han JH, Hwnag YJ, Kim WY. 2005. Use of functional foods for health by 14-18 year old students attending general junior or senior high schools in Korea. Korean J. Nutrition, 38(10):864-872 

  12. Kim SH, Han JH, Keen CL. 2001.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 use by healthy teenagers in Korea: motivating factors and dietary consequences. Nutrition, 17(5):373-380 

  13. Kim SH, Han JH, Kim WY. 2010a. Health functional food use and related variables among the middle-aged in Korea. Korean J. Nutrition, 43(3): 294-303 

  14. Kim SH, Han JH, Kim WY. 2010b. Consumption of functional foods for health by elementary schoolchildren in Korea. Korean J. Nutrition, 43(2):161-170 

  15. Kim SH, Han JH, Zhu QY, Keen CL. 2003a. Use of vitamin and mineral and other dietary supplements by 17-and 18-yearold students in Korea. J. Medicinal Food, 6(1):27-42 

  16. Kim SH, Keen CL. 1999. Patterns of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 usage by adolescents attending athletic high schools in Korea. Int. J. Sport Nutr., 9(4):391-405 

  17. Kim SH, Keen CL. 2002.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 use among children attending elementary school in Korea: a survey of eating habits and dietary consequences. Nutr. Res., 22(4):433-448 

  18. Kim SN, Kim SH. 2010. A survey on use of vitamin/mineral supplements by children in Daejeon city and Chungcheong province in Korea. Korean J. Food Culture, 25(2):117-125 

  19. Kim WY, Cho MS, Lee HS. 2003b.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ini dietary assessment index for Koreans. Korean J. Nutrition, 36(1):83-92 

  20.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9. 2009 Food & drug statistical year-book. Seoul: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pp 197-224 

  21.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Information for health functional food. Available at http://kfda.go.kr (Accessed on December 31, 2010)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The 2nd wav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oriental medicine. Available at http://www.mw.go.kr/front/mw_sch/index.jsp (Accessed on 3 Feb, 2012) 

  23. Murphy SP, White KK, Park SY, Sharma S. 2007. Multivitaminmultimineral supplements' effect on total nutrient intake. Am. J. Clin. Nutr., 85(1):280s-284s 

  24. National Statistic Office. 2005. Advice Report of 2004 Population and Census. Seoul 

  25. Park JS, Lee JH. 2008. Elementary school children's intake patterns of health functional foods and parents requirements in Daejeo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3(4):463-475 

  26. Park SC, Oh MY, Kim HS. 2005. A study on usage of health improving agents in Seoul & Busan. J. Korean Diet. Assoc., 11(4):440-448 

  27. Radimer K, Bindewald B, Hughes J, Ervin B, Swanson C, Picciano MF. 2004. Dietary supplement use by US adults: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9-2000. Am. J. Epidemiol., 160(4):339-349 

  28. Rhee HS, Lee HS, Yee JA, Kang KJ. 2001. A study on the intake patterns of health food of the elderly aged over 60 years in the Chuncheo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6(4):635-644 

  29. Rock CL. 2007. Multivitamin-multimineral supplements: who uses them? Am. J. Clin. Nutr,, 85(1):277s-279s 

  30. Song BC, Kim MK. 1997. Patterns of vitamin/mineral supplement usage by the elderly in Korea. Korean J. Nutrition, 30(2):139-146 

  31. Song BC, Kim MK. 1998. Patterns of vitamin/mineral supplement use among preschool children in Korea. Korean J. Nutrition, 31(6):1066-1075 

  32. Willett W, Sampson L, Bain C, Rosner B, Hennekens CH, Witschie J, Speizer FE. 1981. Vitamin supplement use among registered nurses. Am. J. Clin. Nutr., 34(6):1121-1125 

  33. Yetley EA. 2007. Mutivitamin and multimineral dietary supplements: definitions, characterization, bioavailability, and drug interactions. Am. J. Clin. Nutr., 85(l):269s-276s 

  34. Yi HH, Park HA, Kang JH, Kang JH, Kim KW, Cho YG, Song HR, Lee JS. 2009. What types of dietary supplements are used in Korea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 Korean J. Fam. Med., 30(12):934-943 

  35. Yoo YJ, Hong WS, Youn SJ, Choi YS. 2002. The experience of health food usage for adults in Seoul. Korean J. Food Cookery Sci., 18(2):136-146 

  36. Yoon JY, Park HA, Kang JH, Kim KW, Hur YI, Park JJ, Lee R, Lee HH. 2012. Prevalence of dietary supplement use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insights from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09. J. Korean Med. Sci., 27(5):512-5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