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노인의 낙상위험평가 설문항목의 유효성 검토
Examination of useful items for the assessment of fall risk in the Korean community-dwelling elderl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6, 2018년, pp.271 - 277  

신소희 (울산대학교 스포츠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지역거주 노인의 낙상 리스크를 평가하는 문항을 선정하고 유효성을 검토하는데 있다. 낙상위험 평가는 선행연구를 참고로 '낙상잠재성', '신체기능', '질병과 신체증상', '환경', '행동과 성격'의 5가지 요인으로 구분하였으며 내용타당성 검증, 교차분석요인분석 결과에 따라 총 44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한국형 낙상위험 평가척도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는 노인의 낙상문제를 개선하고 개인의 낙상예방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elect useful items for assessing fall risk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This study assumed five fall risk factors: Symptoms of falling, physical function, disease and physical symptoms, environment, and behavior and character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questionna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상기 요인들이 포함되어 있고 대규모 조사를 통해 항목의 유효성이 검증되었으며,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일본 동경도노인종합연구소 [5], 국립장수연구의료센터 [6]의 낙상리스크 평가항목과 문부과학성의 ADL평가항목 [7]을 참고로 설문항목을 구성하여 한국형 낙상위험 요인 평가 척도를 검토하고 문항의 타당성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형 낙상위험 평가척도(FRA-K)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는 노인의 낙상문제를 개선하고 개인의 낙상예방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것이다.
  • 일반적으로 요인분석은 질문 문항들이나 변수들간의 상관관계 매트릭스를 고려하여 이들 측정치들 사이에 공유하는 구조를 이해하기 위한 통계적 방법이다. 이 연구에서는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요인과 항목들이 종합적인 낙상위험을 평가하는 요인(낙상잠재성, 신체기능, 질병과 증상, 환경, 행동과 성격)을 대표하고 있는 지 그 적합성을 통계적으로 검토하였다. 요인추출은 일반적으로 측정된 요인의 선형결합인 주성분 분석을 이용하였으며, 초기에 구한 요인의 명확한 해석을 위해 요인회전은 직각 회전인 Varimax 방식을 이용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지역거주 노인의 포괄적인 낙상위험 요소를 평가하기 위한 문항을 선정하고 유효성을 검토하였다. 낙상위험 평가는 선행연구를 참고로 '낙상잠재성', '신체기능', '질병과 신체증상', '환경', '행동과 성격'의 5가지 요인으로 구분하였으며 내용타당성 검증, 교차분석 및 요인분석 결과에 따라 총 44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지역재가 노인의 낙상위험 요소를 포괄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낙상위험 요소를 '낙상 잠재성', '신체 기능', '질병과 신체증상', '환경', '행동과 성격' [8]의 5가지 요인으로 구분하고 요인을 구성하는 문항의 유효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상이 발생하는 과정은? 건강한 노년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 중 하나가 낙상이다. 낙상은 외적인 충격 없이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동안 비의도적으로 균형이나 안정성을 잃으면서 신체의 일부분이 지면 혹은 더 낮은 곳에 닿게 되어 발생한다 [1]. 노인들은 나이가 들면서 근 골격계의 위축과 체력 약화, 신경기능의 저하 등으로 낙상위험이 높아지며 노인의 낙상은 젊은 사람들에 비해 손상의 합병증이 심하며 이는 조기사망, 정신적 고통 증대와 의료비 증가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노인의 낙상 문제가 주목 받는 이유는?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노인의 낙상에 관한 문제가 주목 받고 있다. 건강한 노년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 중 하나가 낙상이다.
노인이 반복적으로 넘어지는 것은 '넘어질 정도로 신체가 약해졌다'는 것을 나타내는 건강 리스크 지표로 생각할 수 있는 이유는? Demura, Sato [8]는 일반적으로 이전의 낙상경험은 낙상위험을 평가하는 중요하고도 타당한 기준이며 '낙상잠재성'요인은 낙상 고위험자를 독립적으로 스크리닝할 수 있다고 하였다. Muto [12]는 '노인의 낙상은 인류가 긴 진화 과정에서 획득해 온 직립보행을 제대로 할 수 없을 정도로 신체기능, 특히 운동기기능이 쇠약해 지거나 이상이 생긴 결과 발생하는 것이다.'라고 표현하였다. 즉 노인이 반복적으로 넘어지는 것은 '넘어질 정도로 신체가 약해졌다'는 것을 나타내는 건강 리스크 지표로 생각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 R. Lord, R. D. Clark & I. W. Webster (1991). Physi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falls in an elderly population. J Am Geriatr Soc, 39(12), 1194-1200. 

  2. J. Huh, S. Lim & D. Lee (2010). Development of the Korean Falls Efficacy Scale for the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9(3): 193-201. 

  3. M. E. Tinetti, E., D. Richman & L. Powell (1990). Falls efficacy as a measure of fear of falling. Journal of Gerontology: Psychological Science, 45, 239-243. 

  4. L. Rubenstein, (1993). Falls. In: Yoshikawa TT eds. Ambulatory Geriatric Care. 

  5. T. Suzuki (2003). Epidemiology and implications of falling among the elderly (in Japanese). Nippon Ronen Igakkai Zasshi, 40, 85-94. 

  6. K. Toba, J. Okochi, T. Takahashi, K. Matsubayashi, M. Nishinaga, S. Yamada, R. Takahashi, R. Nishijima, Y. Kobayashi, A. Machida, M. Akishita & H. Sasaki (2005). Development of a portable fall risk index for elderly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Japanese journal of geriatrics, 42(3), 346. doi:10.3143/geriatrics.42.346 

  7. S. Demura, S. Sato, M. Minami, H. Kobayashi and M. Noda (2000). The Proposal of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Index for Institutionalized Older Adults. Nippon Eiseigaku Zasshi (Japanese Journal of Hygiene) 55(3), 538-546. doi:10.1265/jjh.55.538 

  8. S. Demura, S. Sato, T. Yokoya & T. Sato (2010). Examination of useful items for the assessment of fall risk in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Japanese population. Environmental Health and Preventive Medicine, 15(3): 169-179. doi:10.1007/s12199-009-0124-7 

  9. S. Demura, S. Sato, S. Yamaji, K. Kasuga & Y. Nagasawa (2011). Examination of validity of fall risk assessment items for screening high fall risk elderly among the healthy community-dwelling Japanese population.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53(1), e41-e45. doi:10.1016/j.archger.2010.10.010 

  10. S. Demura, S. Sato, S. Shin & M. Uchiyama (2012). Setting the criterion for fall risk screening for healthy community-dwelling elderly.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54, 370-373. 

  11. S. Sato, S. Demura, S. Shin, H. Sugiura & Y. Uchida (2012). Assessing a personal and population fall risk profile in Japanese community-dwelling elderly. Japan Journal of Test and Measurement in Health and Physical Education, 11(0): 49-55. doi:10.14859/jjtehpe.11.49 

  12. Y. Muto. (2010). Fall prevention of the elderly. Tokyo: Japanese Nursing Association. 

  13. Y. Kim, K. Yang & G. Park (2013). Fall Experience and Risk Factors for Falls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J Muscle Joing Health, 20(2): 91-101. 

  14. T. Suzuki (2003). Epidemiology of Fall. Japanese Journal of Geriatrics, 40(2), 85-94. doi:10.3143/geriatrics.40.85 

  15. H.S. Jeong, E. N. Lee & S. S. Kim (2011). Factors Affecting Fear of Falling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18(2), 215-226. doi:10.5953/JMJH.2011.18.2.215 

  16. S. Saito & S. Muraki (2010). Study on Tracks and Sense of Feet Position while Stepping Over an Obstacle in the Elderly. The Japanese Journal of Ergonomics, 46(2), 172-179. doi:10.5100/jje.46.172 

  17. S. Shin (2017). Comparison of falls-related physical fitness and fall experienc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between Ulsan, Korea and Gifu, Japan.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8(3): 566-576. doi:10.24985/kjss.2017.28.3.5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