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을 위한 웹기반 비만관리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Web-Based Obesity Management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19 no.2, 2013년, pp.215 - 227  

이해선 (함지초등학교) ,  박정숙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12-week web-based obesity management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 from experts and users. Methods: The development of a web-based obesity management program proceeded through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운동요법 부분에서는 운동에 대한 다양한 교육내용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본인이 좋아하는 운동을 선택하거나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제작되어 효과가 검증된 운동 동영상을 보고 따라 하도록 하였다. 기존의 웹기반 비만관리 사이트에서는 운동 사이트를 링크시켜놓거나 또는 홈페이지에 동영상을 탑재하여 따라 하도록 유도하고 있으나(Kim et al.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비만관리를 위하여 식이, 운동, 행동수정요법을 병행하는 웹기반 비만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학교 단위에서 초등학교 고학년 비만아동을 관리하기 위해 식이, 운동, 행동수정요법을 병행하고 참여와 실천을 유도하는 12주 웹기반 비만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대상자 요구도와 비만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 기존 웹기반 비만관리 프로그램과 웹 사이트를 분석하여 식이, 운동 및 행동수정요법을 병행하는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 12주 웹기반 비만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둘째 개발된 웹기반 비만관리 프로그램에 대해 전문가 타당도와 사용자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 단위에서 초등학교 고학년 비만 아동들이 시‧공간적 제약 없이 참여할 수 있도록 식이, 운동 등의 비만관리 지식을 보강하고 비만조절행위를 강화하는 행동수정요법을 병행하는 웹기반 비만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한 이유는? 현재 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대부분의 비만관리 프로그램은 주로 방과 후나 방학 중에 단기 프로그램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데(Kang, Yoo, & Seong, 2006; Kim, 2009), 비만이 만성적으로 진행하는 질병임을 감안하면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비만관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비만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아동들은 친구로부터 따돌림을 받거나 비만이라는 낙인이 찍히는 등의 부작용이 있으므로(Kang, et al.
현재 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대부분의 비만관리 프로그램은 어떻게 시행되고 있는가? 현재 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대부분의 비만관리 프로그램은 주로 방과 후나 방학 중에 단기 프로그램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데(Kang, Yoo, & Seong, 2006; Kim, 2009), 비만이 만성적으로 진행하는 질병임을 감안하면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비만관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비만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아동들은 친구로부터 따돌림을 받거나 비만이라는 낙인이 찍히는 등의 부작용이 있으므로(Kang, et al.
초등학교 시기부터 체계적인 비만관리가 필요한 이유는? 사회적, 경제적 수준이 향상되면서 식생활의 변화와 신체활동량의 감소, 과잉 영양섭취 등으로 비만인구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아동 및 청소년 비만이 크게 늘고 있다(Song & Park, 2010). 2011년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의 비만율은 14.3%이며(MEST: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2), 초등학생의 경우 학년이 증가할수록 비만율이 증가하고 고학년일수록 비만의 증가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Chung, 2007). 비만아동들의 96.0%에서 1년 전에도 과체중 또는 비만이었던 것으로 나타났고(June et al., 2006), 초등학교 시기의 비만은 사춘기 비만으로 지속될 우려가 크다. 비만은 청소년들에게 신체적, 정신적으로 중대한 영향을 끼쳐서 고지혈증, 고혈압, 비정상적인 당 내성 등을 유발할 우려가 크고(Daniels et al., 2005), 자아존중감, 신체이미지, 외모 만족도, 우울감 등의 사회심리적인 문제도 유발하게 된다 (Lim, 2010). 중등도 비만아동은 한 가지 이상 관련 질환에 걸리는 유병률이 7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hn, S. K. (1999). A study on the user's satisfaction of the agriculture information syste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 Cha, B. S. (2010). Design and application of a multilateral management program to treat obes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Physical Education, Seoul. 

  3. Choi, S. M. (2004).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system applying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for managing children's obe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 Buk. 

  4. Chung, E. O. (2007). Analysis of trend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obe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5. Daniels, S. R., Arnett, D. K., Eckel, R. H., Gidding, S. S., Hayman, L. L., Kumanyika, S., Robinson, T. N., Scott, B. J., Jeor, S. S., & Williams, C. L. (2005). Overweigh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athophysiology, consequences, prevention, and treatment. Circulation, 111(15), 1999-2012. 

  6. Doll, W. J., & Torkzadeh, G. (1988). The measurement of end-user computing satisfaction.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Quarterly, 12(2), 257-274. 

  7. Heetebry, I., Hatcher, M., & Tabriziani, H. (2005). Web based health education, e-learning, for weight management. Journal of Medical Systems, 29(6), 611-617. 

  8. Hong, M. R. (1995). A structural model for self regulation behavior and weight control of the obe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9. Janssen, I., Katzmarzyk, P. T., Boyce, W. F., Vereecken, C., Mulvihill, C., Roberts, C., Currie, C., Pickett, W., & The Health Behavior in School-Aged Children Obesity Working Group. (2005). Comparison of overweight and obesity prevalence in school-aged youth from 34 countrie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physical activity and dietary patterns. Obesity Reviews, 6(2), 123-132. 

  10. Jeon, M. S. (2003). The effects and development of the obesity control program for obes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honbuk. 

  11. Jeong, I. G. (2004). Management and exercise for children obesity. Journal of Korea Sport Research. 15(5), 2055-2069. 

  12. June, Y. B., Lee, K. Y., Park, T. J., Ha, S. J., Son, Y. W., & Kim, B. N. (2006). The parental control over their child's weight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being overweight or obese.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15(1), 37-43. 

  13. Kang, J. H., Yoo, S. M., & Seong, E. J. (2006). Childhood obesity prevention program research and development. Seoul: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14. Kim, H. J. (2007). The effects of health education and program induced self-participation of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self-efficacy in obesity and overweight children.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16(3), 130-137. 

  15. Kim, C. J., Kim, S, J., Park, J. W., Yoo, J. S., Chung, Y. H., & Shin, K. L. (2002). Nursing Research (Rev. ed.). Seoul: Soomoonsa. 

  16. Kim, J. H.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obesity rate, eating habits and propensity for activ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Busan. 

  17. Kim, M. J., Kim, H. S., Kim, S. A., & Kim, D. H. (2007). Development of an obesity management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 Based on Keller's motivation theo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3(3), 257-264. 

  18.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08). Clinical obesity (3rd ed.). Seoul: Korea Medical Book Publisher. 

  19.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09, August). Chapter 14 Child and Adolescent obesity treatment and diagnosis guidelines. Retrieved July 1, 2012, from http://www.kosso.or.kr/ 

  20. Kwon, E. J., Kim, H. K., & Kim, M. (2008). The development of a CD-ROM for children obesity prevention program and it's effect analysi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5(3), 77-94. 

  21. Lee, E. J. (2003). Effects of weight control program with cyber counseling for obese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22. Lim, H. J. (2010). Korean survey on the obesity of youth and children in 2009.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3.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2, February). Sample survey in 2011 students health inspection. Retrieved April 2, 2012, from http://www.mest.go.kr/web/45859/ko/board/view.do?bbsId294&boardSeq30269 

  24. Na, I. J. (2005). Web-based education. Seoul: Kyouook kwahak sa. 

  25. Pangrazi, R. P. (2000). Promoting physical activity for youth. Journal of Science and Medicine in Sports, 3(3), 280-286. 

  26. Park, H. A., Kim, H. J., Song, M. S., Song, T. M., & Chung, Y. C. (2002). Development of a web-based health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health promotion in the elderly.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8(3), 37-45. 

  27. Park, J. B., Choi, T. I., Kim, J. S., Jung, D. S., Kim, K. N., Lee, S. Y., & Kang, J. H. (2006). The Prevalence of childhood obesity, risk factors, and obesity related disease in elementary stud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7(2), 104-112. 

  28. Park, J. S., Kwon, Y. S., & Park, C. J. (1996). The effect of health education on the performanc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6(2), 359-371. 

  29. Park, S. R. (2011). The effect by weight control program after school on the eating habit, exercise and obesity of elementary students with obes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onnam. 

  30. Son, H. M. (2011). Development of e-learning program on goal-based scenario for child obesity preven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31. Song, H. Y., & Park, K. O. (2010). Health behaviors associated with obesity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11(2), 89-102. 

  32. Tate, D. F., Wing, R. R., & Winett, R. A. (2001). Using internet technology to deliver a behavioral weight loss program.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5(9), 1172-11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