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의 외식 빈도와 관련된 식습관 및 생활습관 요인 분석
Dietary Behaviors and Lifestyle Characteristics Related to Frequent Eating Out Among Korean Adul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5, 2013년, pp.705 - 712  

구슬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경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중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외식 현황과 이와 관련된 인구사회학적 특성, 영양섭취 수준, 식습관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남성이 여성과 비교하여 외식을 자주하는 경향을 보였고, 도시에 거주하는 젊은 성인일수록, 가구소득 및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더 자주 외식을 하는 것으로 보였다. 둘째, 외식 빈도에 따라 영양 섭취 기준 대비 영양소 섭취비율을 분석한 결과 남녀의 패턴이 유사한 경향을 보였는데, 외식을 자주 하는 사람에게서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가 더 높은 반면 탄수화물 및 조섬유의 섭취는 더 낮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외식 빈도가 높은 그룹에서 낮은 그룹에 비해 에너지/지방 과잉 섭취자의 비율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셋째, 외식 빈도에 따른 아침 결식률을 분석한 결과, 남녀 모두 외식을 자주 하는 사람일수록 아침결식률이 더 높았고, 특히 이는 여성에게서 두드러졌다. 넷째, 대상자의 한국인 식생활 지침 실천도를 분석한 결과, 나이가 많은 여성일수록 식생활 지침 실천도가 더 높은 것으로 보였고, 남녀 모두 외식을 자주 하는 사람일수록 식생활 지침 실천 점수가 더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문항에 대한 실천도를 비교한 결과, 성별, 연령별로 상이한 식생활 문제점이 파악되었다. 따라서 한국인 식생활 중 외식의 비중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성인의 건강한 외식 관련 식생활 문화에 기여하기 위한 공중보건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러한 영양교육 및 정책 마련 시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집단의 특성에 따라 외식 관련 식습관문제점이 차이가 있음을 고려하여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pidemiologic research has suggested that frequent eating out may be associated with poor dietary habits, including high-calorie and inadequate nutrient intakes. Limited studies, however, have evaluated dietary behaviors with patterns of eating out in South Korea.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주요 노출인자인 외식 빈도에 대한 질문에서 상업적인 외식 이외에 직장 급식이 포함되어 있어 명확한 결과 해석이 제한될 수 있다. 그러나 24시간 회상 조사 자료와 함께 조합하여 상업적 외식군과 가정식군으로 분류하는 변수를 생성하였고, 이를 분석에 이용하는 방법으로 오분류의 가능성을 최소한으로 하고자 하였다. 또한 식생활의 경우 주어진 문항에 국한하여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므로 또 다른 식생활 문제점을 제시할 수 없다는 제한점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식생활 지침의 실천도에 대한 심층 분석과 더불어, 에너지/지방 영양 과잉 섭취, 아침 결식과 같은 식습관 문제를 포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전반적인 식생활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4기(2007~2009)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성인의 외식 빈도에 따른 영양섭취 수준을 비교하고,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한국인 식생활 지침에 대한 실천 정도를 분석함으로써 이와 관련된 식습관 문제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 그러나 24시간 회상 조사 자료와 함께 조합하여 상업적 외식군과 가정식군으로 분류하는 변수를 생성하였고, 이를 분석에 이용하는 방법으로 오분류의 가능성을 최소한으로 하고자 하였다. 또한 식생활의 경우 주어진 문항에 국한하여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므로 또 다른 식생활 문제점을 제시할 수 없다는 제한점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식생활 지침의 실천도에 대한 심층 분석과 더불어, 에너지/지방 영양 과잉 섭취, 아침 결식과 같은 식습관 문제를 포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전반적인 식생활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인의 대표성을 가지면서 신뢰성 있는 자료인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였으므로 그 결과를 한국인에게 일반화할 수 있음에 장점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2007~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30~64세 성인을 대상으로 외식 빈도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여성보다 남성의 외식 빈도가 높았고, 나이가 어릴수록 외식을 자주 하는 경향을 보였다.

가설 설정

  • 1)The score ranged from 0 (nonadherence) to 100 (perfect adherenc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식관련 산업이 크게 발전하게된 배경은? 최근 급속한 산업성장과 함께 생활수준이 크게 향상됨에 따라 국민들의 소비 패턴 또한 변화되어 왔고, 여성의 사회 진출 증가 및 주 5일 근무제가 시행되면서 외식관련 산업이 크게 발전하였다(1,2). 이러한 사회적 환경의 변화와 함께 한국인의 외식 빈도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최근 통계청의 외식 소비 실태에 대한 보고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전체 가구 지출의 식료품비 중 외식으로 소비되는 비용의 비중은 1990년 18.
외식 빈도에 따른 아침결식자의 비율을 분석해본 결과 가장 높은 비율의 그룹 군은 무엇인가? 남녀 모두 연령이 낮을수록 아침 결식률이 비교적 높은 경향을 보였다. 특히 아침결식자의 비율이 가장 높은 그룹은 30~39세 남성이었고, 외식 빈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여성의 외식 빈도와 아침결식률은 유의적인 양의 관계를 보였고, 이러한 경향은 연령이 낮은 그룹에서 비교적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국외에서 외식과 가정식의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해본 결과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특히 일부 선행연구 결과에서 여성보다는 남성에서(4,7), 나이가 많은 사람보다는 젊은 사람이 외식을 더 자주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5-7), 외식 빈도가 높은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교육 수준이 더 높은 경향을 보인다고 제시하였다(7). 또한 국외에서 외식과 가정식의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외식을 통한 총 열량(13,14), 지방(8-11,13), 나트륨(9,10) 등의 섭취량이 가정식보다 더 높은 수준을 보인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지방 및 나트륨의 섭취 증가는 고혈압(15,16), 비만(12,17), 심장질환(18) 등 여러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제시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외식시 영양소 섭취 및 식생활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가 일부 수행되었다(4,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Han KS, Seo KM, Park HN, Hong SY. 2004. Issues of Korean restaurant industry by content analysis of food yearly statistics. Korean J Food Culture 19: 313-325. 

  2. Kim DH, Beik GY. 2005. A study on the eating-out behavior of city workers (I)-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eating-out behavior-. Korean J Food& Nutr 18: 241-253. 

  3.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An investigation of consumer prices. Available from: http://www.kosis.kr. 

  4. Choi MK. 2008. An analysis of groups with diet problems associated with dining out. Korean J Food & Nutr 21: 536-544. 

  5. Kang YW, Hong KE, Choi HJ, Joung H. 2007. Dining-out behaviors of residents in Chuncheon city, Korea, in comparison to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01. Nutr Res Pract 1: 57-64. 

  6. Satia JA, Galanko JA, Siega-Riz AM. 2004. Eating at fastfood restaurants is associated with dietary intake, demographic, psychosocial and behavioural factors among African Americans in North Carolina. Public Health Nutr 7: 1089-1096. 

  7. Bes-Rastrollo M, Basterra-Gortari FJ, Sanchez-Villegas A, Marti A, Martinez JA, Martinez-Gonzalez MA. 2010. A prospective study of eating away-from-home meals and weight gain in a Mediterranean population: the SUN (Seguimiento Universidad de Navarra) cohort. Public Health Nutr 13: 1356-1363. 

  8. Kant AK, Graubard BI. 2004. Eating out in America, 1987-2000: trends and nutritional correlates. Prev Med 38: 243-249. 

  9. Guthrie JF, Lin BH, Frazao E. 2002. Role of food prepared away from home in the American diet, 1977-78 versus 1994-96: changes and consequences. J Nutr Educ Behav 34: 140-150. 

  10. Clemens LH, Slawson DL, Klesges RC. 1999. The effect of eating out on quality of diet in premenopausal women. J Am Diet Assoc 99: 442-444. 

  11. Kearney JM, Hulshof KF, Gibney MJ. 2001. Eating patterns- temporal distribution, converging and diverging foods, meals eaten inside and outside of the home-implications for developing FBDG. Public Health Nutr 4: 693-698. 

  12. Duffey KJ, Gordon-Larsen P, Jacobs DR Jr, Williams OD, Popkin BM. 2007. Differential associations of fast food and restaurant food consumption with 3-y change in body mass index: the Coronary Artery Risk Development in Young Adults Study. Am J Clin Nutr 85: 201-208. 

  13. Lachat C, Nago E, Verstraeten R, Roberfroid D, Van Camp J, Kolsteren P. 2012. Eating out of home and its association with dietary intake: a systematic review of the evidence. Obes Rev 13: 329-346. 

  14. Bowman SA, Vinyard BT. 2004. Fast food consumption of U.S. adults: impact on energy and nutrient intakes and overweight status. J Am Coll Nutr 23: 163-168. 

  15. Strazzullo P, D'Elia L, Kandala NB, Cappuccio FP. 2009. Salt intake, stroke, and cardiovascular disease: meta-analysis of prospective studies. BMJ 339: b4567. 

  16. Karppanen H, Mervaala E. 2006. Sodium intake and hypertension. Prog Cardiovasc Dis 49: 59-75. 

  17. French SA, Harnack L, Jeffery RW. 2000. Fast food restaurant use among women in the Pound of Prevention study: dietary, behavioral and demographic correlates.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4: 1353-1359. 

  18. Micha R, Mozaffarian D. 2010. Saturated fat and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coronary heart disease, stroke, and diabetes: a fresh look at the evidence. Lipids 45: 893-905. 

  19. Chung SJ, Kang SH, Song SM, Ryu SH, Yoon JH. 2006. Nutritional quality of Korean adults' consumption of lunch prepared at home, commercial places, and institutions: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Nutr 39: 841-849. 

  20. Bezerra IN, Sichieri R. 2009. Eating out of home and obesity: a Brazilian nationwide survey. Public Health Nutr 12:2037-2043. 

  21. Bray GA, Popkin BM. 1998. Dietary fat intake does affect obesity! Am J Clin Nutr 68: 1157-1173. 

  22. Field AE, Willett WC, Lissner L, Colditz GA. 2007. Dietary fat and weight gain among women in the nurses' health study. Obesity 15: 967-9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