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2 no.5, 2013년, pp.533 - 542
In this study, estimation methods for actual evapotranspiration have been studied using the concept of potential and actual evapotranspiration. Among the diverse estimation methods, SWAT-K application is chosen for hydrological modeling. For Jeju island we have characterized annual and monthly evapo...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모의된 잠재 및 실제 증발산량을 비교했을때 월별 결과는 어떠한가? | (2) 모의된 잠재 및 실제 증발산량을 비교해보면, 연별 결과의 경우 잠재 증발산량은 연별로 변화를 보이고 있으나, 실제 증발산량은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월별 결과의 경우, 계절별 산포도가 크게 나타나 상관성이 약한 것으로 판단된다. | |
제주도 유역은 어떤 특성을 지니고 있는가? | 유역의 수문순환 해석과 한정된 수자원 관리 기반 구축 시 수문학적 물손실의 관점에서 증발산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제주도 유역은 우리나라 최대 다우 지역임과 동시에 내륙과는 상이한 수문학적, 지형학적, 지질학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 강우량, 유출량, 증발산량, 지하수 함양량 등 각각의 수문성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2). 특히 수문성분 중에서 증발산은 물이 유역으로부터 제거되는 주요기작이며, 강우량과 증발산량의 차이는 유역에서 유출, 함양되는 양으로 수자원 측면에서 이용, 관리할수 있는 수량이 된다(Neitsch 등, 2011). | |
강우량과 증발산량의 차이는 무엇에 이용 가능한가? | 제주도 유역은 우리나라 최대 다우 지역임과 동시에 내륙과는 상이한 수문학적, 지형학적, 지질학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 강우량, 유출량, 증발산량, 지하수 함양량 등 각각의 수문성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2). 특히 수문성분 중에서 증발산은 물이 유역으로부터 제거되는 주요기작이며, 강우량과 증발산량의 차이는 유역에서 유출, 함양되는 양으로 수자원 측면에서 이용, 관리할수 있는 수량이 된다(Neitsch 등, 2011). |
Water Resour. Bull. 19 241 1983
J. Environ. Sci. 20 1347 2011
Joum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Division 108 13 1982 10.1061/JRCEA4.0001368
Hydrol. Process. 22 4936 2008 10.1002/hyp.7116
Hydrol. Process. 24 96 2010 10.1002/hyp.7474
J. Environ. Sci. 21 749 2012
J. Hydrol. 66 1 1983 10.1016/0022-1694(83)90177-4
J. Agric. Sci. 1 9 1956
Mon. Weather Rev. 100 81 1972 10.1175/1520-0493(1972)100<0081:OTAOSH>2.3.CO;2
Geogr. Rev. 38 55 1948 10.2307/210739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