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영양위험과 사회망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alnutrition and Social Network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0 no.2, 2013년, pp.98 - 107  

김희경 (공주대학교 간호보건대학 간호학과) ,  장혜경 (한서대학교 간호학과) ,  이미라 (대전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손연정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한수정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  양남영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  유명란 (국군간호사관학교 간호학과) ,  최선영 (국군간호사관학교 간호학과) ,  김윤미 (국군간호사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malnutrition, social network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to investigate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s.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descriptive survey design using a convenience sam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특히 국내 간호학 연구에서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하는 변수로 영양위험과 사회망 변수를 사용한 연구는 거의 찾아 볼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영양위험 및 사회망에 초점을 두어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이 노인을 돕는 일자리창출, 사회적 기업을 통한 취업지원, 현실성 있는 취업지원프로 그램 발굴, 개선된 정년연장제도와 임금피크제의 운영과 같은 노인 취업을 위한 대안 제시가 필요한 이유는? 본 연구 결과, 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의 비교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은 노인의 연령, 직업, 월수입, 수입원 및 만성질환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80세 이상 노인보다는 70-79세 노인이, 70-79세 노인보다는 65-69세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았는데, 이러한 결과는 연령이 높을수록 건강상태를 나쁘다고 지각하고 있어 건강관련 삶의 질 정도가 낮다는 선행연구(Park & Suh, 2007; Shin, Byeon, Kang, & Oak, 2008)와 일치하였다. 또한, Kim과 Sok (2008)의 연구결과에서는 직업이 있는 경우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수입이 없거나 100만 원 이하인 경우보다 100만 원 이상인 경우에 건강 관련 삶의 질이 높았다. 수입원에 따른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은 자신이 일해서 버는 경우가 자녀로부터 받는 용돈이나 재산소득인 경우보다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재산소득보다도 자신이 직접 일해서 수입을 얻는 경우에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다는 것은 노인에게 있어서의 직업은 수입원으로서의 의미 그 이상의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노인의 60.1%가 일하기를 희망했으며, 노인의 취업은 ‘돈이 필요해서’, ‘건강유지를 위해’, ‘사람들과 어울리기 위해’ 등의 의미를 포함한다는 Gu와 Park (2012)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따라서, 노인이 노인을 돕는 일자리창출, 사회적 기업을 통한 취업지원, 현실성 있는 취업지원프로 그램 발굴, 개선된 정년연장제도와 임금피크제의 운영과 같은 노인 취업을 위한 대안 제시가 필요하다.
노년기란 어떤 시기인가? 노년기는 긍정적인 발달을 성취할 수 있는 도전적 단계가될 수 있다는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신체적, 사회적, 경제적으로 많은 상실을 경험하는 시기이다. 그러나 노화에 따른 변화와 상실에 대한 대처를 얼마나 성공적으로 하느냐에 따라 노년기의 삶의 질이 달라진다(Chang & Burbank, 2000).
노인의 건강관리 측면에서의 건강이란 무엇에 초점을 두고 있는가? 건강에 관한 정의는 개인마다 다르나 주관적 건강이란,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로 건강 상태가 좋다고 인식하는 것은 질병이 없는 상태뿐만 아니라 인구사회학적 요인이나 사회심리적인 요소들이 포함된 매우 복잡한 개념이다(Ware, Kosinski, Dewey, & Gandek, 2001). 특히 노인의 건강관리 측면에서의 건강이란 만성질환을 예방함으로써 건강수명을 연장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노인의 건강상태에 중요한 결정요소로 Choi, Park, Kim과 Chang (2004)은 영양위험을 강조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lves De Rezende, C. H., Coelho, L. M., Oliveira, L. M., & Penha-Silva, N. (2009). Dependence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ores on age, nutritional status, and haematologic variables in elderly institutionalized patients. Journal of Nutrition, Health and Aging, 13, 617-621. 

  2. Chang, S. O., & Burbank, P. M. (2000). Meaning in life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 259-271. 

  3. Choi, Y. J., Park, Y. S., Kim, C., & Chang, Y. K. (2004). Evaluation of functional ability and nutritional risk according to self-rated health (SRH) of the elderly in Seoul and Kyunggi-do. Korean Journal of Nutrition, 37, 223-235. 

  4. Chen, C. C., Schilling, L. S., & Lyder, C. H. (2001). A concept analysis of malnutrition in the elderl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6, 131-142. 

  5. Dossey, B. M., Keegan, L., & Guzzetta, C. (2005). Holistic nursing: A handbook for practice (4rd ed.). Sudbury, MA: Jones & Bartlett Publishers. 

  6. Dunkle, R. E., Roberts, B., & Haug, M. (2001). The oldest old in everyday life: Self-perception, coping with change, and stress. New York, NY: Springer. 

  7. Dzurec, L. C., Hoover, P. M., & Fields, J. (2002). Acknowledging unexplained fatigue of tired women.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4, 41-46. 

  8. Erikson, B. G., Dey, D. K., Hessler, R. M., Steen G., & Steen, B. (2005). Relationship between MNA and SF-36 in a free-living elderly population aged 70 to 75. Journal of Nutrition, Health and Aging, 9, 212-220. 

  9. Gu, J. K., & Park, J. H. (2012). A study on the elderly employment in aging society.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19, 157-173. 

  10. Jung, Y. M., & Kim, J. H. (2004). Comparison of cognitive levels, nutritional status, depression in the elderly according to living situa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495-503. 

  11. Kang, I. (2003). A study on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Journal of Welfare for Aged, 20, 95-116. 

  12. Kennedy-Malone, L., Fletcher, K. R., & Plank, L. M. (2004). Management guidelines for nurse practitioner working with older adults (2nd ed.). Philadelphia: F. A. Davis Company. 

  13. Keller, H. H. (2004). Nutrit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frail older adults. Journal of Nutrition, Health and Aging, 8, 245-252. 

  14. Kim, K. B., & Sok, S. H. (2008). Factors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 331-340. 

  15. Kim, S., Choi, K. W., & Oh, H. Y. (2010). Relationships of social networks to health status among the urban low-income elderly.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3, 53-61. 

  16. Kim, Y. B., & Park, J. S. (2006). A study on informal social network of elderly: Focusing on non-kin relationship.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6, 261-273. 

  17. Lee, K. W., Kim, S. Y., Chung, W., Hwang, G. S., Hwang, Y. W., & Hwang, I. H. (2009).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Lubben social network scal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30, 352-358. 

  18. Lubben, J. E. (1988). Assessing social networks among elderly populations. Journal of Family and Community Health, 11(3), 42-52. 

  19.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Affairs eNewsLetter. (2012, July 2). 35 year-history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Retrieved from http://www.mw.go.kr/front_new/al/sal0301ls.jsp?PAR_MENU_ID04&MENU_ID0403&BOARD_ID140&page31 

  20. Nieuwenhuizen, W. F., Weenen, H., Rigby, P., & Hettherington, M. M. (2010). Older adults and patients in need of nutritional support: Review of current treatment options and factors influencing nutritional intake. Clinical Nutrition, 29, 160-169. 

  21. Oh, I. G., Oh, Y. S., & Kim, M. I. (2009). Effect of social networks on the depression of elderly females in Korea: Analysis of the intermediating effect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4(1), 113-136. 

  22. Park, Y., & Suh, E. (2007). The risk of malnutrition, depression, and the perceived health status of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941-948. 

  23. Posner, B. M., Jette, A. M., Smith, K. W., & Miller, D. R. (1993). Nutrition and health risks in the elderly: The nutrition screening initiative.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3, 972-978. 

  24. Shin, H. C., Kim, C. H., Cho, B. L., Won, J. W., Song, S. W., Park, Y. K., et al. (2002). The development of a Korean health status measure for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Family Medicine, 23(4), 440-457. 

  25. Shin, K. R., Byeon, Y. S., Kang, Y. H., & Oak, J. W. (2008). A study on physical symptom,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the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437-444. 

  26. Visvanathan, R., Zaiton, A., Sherina, M, S., & Muhamad Y. A. (2005). The nutritional status of 1081 elderly people residing in publicly funded shelter homes in Peninsular Malaysia.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59, 318-324. 

  27. Ware, J. E., Jr., Kosinski, M., Dewey, J. E., & Gandek, B. (2001). How to score and interpret single-item health status measures: A manual for users of the SF-8 health survey (with a supplement on the SF-6 health survey). Lincolin, RI: QualityMetric Incorporated. 

  28. Yim, K. S., & Lee, T. Y. (2004). Sociodemographic factors associated with nutrients intake of elderly in Korea. Korean Journal of Nutrition, 37, 210-222. 

  29. Yu, H. H., & Kim, I. S. (2002). Health status, dietary patterns and living habits of the elderly in Jeon-Ju. Korean Journal of Nutrition, 5(2), 91-1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