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ISA 2009 과학성취도 상중하 집단별 읽기태도 및 읽기방법의 영향
Effects of Reading Motivational and Behavioral Factors on the Population of High, Middle and Low Scores in Science Achievements of PISA 2009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3 no.2, 2013년, pp.538 - 551  

김동화 (부산대학교) ,  서혜애 (부산대학교) ,  김미정 (빅토리아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는 PISA 2009 과학성취도 영역에서 참여국가 65개국 가운데 4~7위로 상위권 국가에 포함되었으나, 제6수준의 최상위 집단에 포함되는 학생 비율은 1.1%로 18위를 기록하였다. 이러한 최상위 집단의 성적 저조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 보다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으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PISA 2009 과학성취도 상위 집단에게 미치는 동기적 요소의 읽기태도 및 행동적 요소의 읽기방법의 영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PISA 2009 과학성취도 자료와 학생용 설문조사 문항에서 읽기태도 및 읽기방법에 관련되는 변인을 추출하였다. PISA 2009 과학성취도와 읽기태도 및 읽기방법간에 인과관계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상위, 중위, 하위집단 모두의 과학성취도에는 읽기태도 및 읽기방법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위 집단은 읽기방법에서 암기학습이 과학성취도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위 및 하위 집단은 암기학습이 과학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 is reported as one of the highest performing OECD countries in PISA 2009 science achievement, ranking $4^{th}{\sim}7^{th}$ among 65 participating countries. However, the top level 6 percentage came only at 1.1% and ranks $18^{th}$ among paticipating countries. Such diss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상위 집단의 성적 저조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이들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PISA 2009 과학성취도 상위 집단에게 동기적 요소의 읽기태도 및 행동적 요소의 읽기방법은 과학 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PISA 2009 과학성취도 점수 자료와, 학생용 설문조사지 응답결과 가운데 읽기태도 및 읽기방법에 관련되는 변인을 추출하여 활용하였다.
  • 이러한 최상위 집단의 성적 저조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 보다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으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PISA 2009 과학성취도 상위 집단에게 미치는 동기적 요소의 읽기태도 및 행동적 요소의 읽기방법의 영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PISA 2009 과학성취도 자료와 학생용 설문조사 문항에서 읽기태도 및 읽기방법에 관련되는 변인을 추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PISA 2009 과학성취도와 관련된 읽기태도 및 읽기방법을 잠재변인으로 설정하였으며, 학생들은 과학성취도 수준에 따라 상위, 중위, 하위로 구분한 후, 상위 집단의 과학성취도에 읽기태도 및 읽기방법의 영향이 중위 및 하위 집단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분석 자료에서 과학성취도 수준의 상중하 집단의 사례를 추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PISA 2009 상위 집단 학생의 과학성취도는 읽기태도와 읽기방법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PISA 2009 과학성취도와 읽기태도 및 읽기방법 간에는 가설적 인과관계가 타당한가? 둘째, PISA 2009 과학성취도 상위 집단에 대한 읽기태도 및 읽기방법의 영향력이 중위 집단 및 하위 집단과는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상위 집단의 과학성취도를 높이는 데 읽기태도 및 읽기방법 관련 효율적 지도방안을 탐색하고 교육정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본 연구에서는 PISA 2009 과학성취도 상위 집단이, 중위 및 하위 집단사이에는 읽기태도 및 읽기방법이 과학성취도에 주는 영향력에는 차이가 있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먼저 상위 집단의 경로계수를 분석하였으며, 이어서 과학성취도 수준에 따라 과학성취도에 대해 읽기태도 및 읽기방법이 어느 정도 영향력을 가지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상위, 중위, 하위 집단의 차이를 비표준화 경로계수를 사용하여 개략적으로 비교해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PISA 2009 과학성취도, 읽기태도, 읽기방법을 잠재변인으로 설정하고, 첫째, 읽기태도와 읽기방법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 두 잠재변인은 과학성취도에 영향을 준다는 가설과, 둘째, 과학 성취도 상위 집단의 읽기태도 및 읽기방법이 과학성취도에 주는 영향력은 중위 집단 및 하위 집단과 차이가 있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먼저, 두 잠재변인이 과학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인과관계가 성립한다는 가설에 따른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한편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읽기방법이나 읽기태도를 들 수 있다. 학생들은 교과서와 그외 문자, 그림 등으로 제시된 인쇄자료를 활용한 대부분의 학습활동에 참여한다.
학생들이 학습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도와주는 인쇄자료는 무엇이 있는가? 한편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읽기방법이나 읽기태도를 들 수 있다. 학생들은 교과서와 그외 문자, 그림 등으로 제시된 인쇄자료를 활용한 대부분의 학습활동에 참여한다. 과학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개념중심 읽기수업 모형이 개발된 이유는 무엇인가? 과학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과학 교과서를 읽고 과학의 개념을 이해하고, 과학기술 관련 신문 기사를 읽고 과학에 대한 흥미를 증진시키거나, 최근 과학기술 관련 인쇄자료를 읽고 연구동향을 이해하고 유명한 과학자의 일화를 읽고 미래 과학자의 꿈을 키우게 되기도 한다. 따라서 교과서 또는 그외 인쇄자료를 읽는 방법이나 전략 또는 선호도 등이 읽기 또는 다른 교과 영역뿐만 아니라 과학성취도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읽기에 대한 동기를 높이거나 읽기를 효율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개념중심 읽기수업 모형을 개발하여 적용한 연구(Guthrie, McRae, & Klauda, 2007)도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김대석(2011). 학교 교육과정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PISA 2009 한국의 읽기영역에서 교과 및 교과외 활동과성취도 등과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29(4), 161-185. 

  2. 김경희, 시기자, 김미영, 옥현진, 임해미, 김선희, 정송, 정지영(2010). OECD 학업성취도 국제비교 연구(PISA 2009). 연구보고 RRE 2010-4-2. 서울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 김성숙(2005). 학업성취 국제비교 결과의 쟁점과 활용방안. 중등교육연구, 53(2), 27-50. 

  4. 김재철(2005). 성별과 학습선호도 유형에 따른 독서흥미, 독서량, 인지전략, 학문적 자신감, 읽기소양의 구조적관계. 교육심리연구, 19(1), 93-114. 

  5. 노형진(2005). SPSS/Amos에 의한 사회조사분석-범주형 데이터 분석 및 공분산구조분석. 서울 : 형설출판사. 

  6. 박정(2007). 우리나라 중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특성 변화와 수학성취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수학교육,46(1), 19-31. 

  7. 배병렬(2011). Amos 19 구조방정식 모델링-원리와실제. 서울 :도서출판 청람. 

  8. 서혜애, 박윤배, 정은영, 남정희, 우애자(2008). PISA2006 과학의 학생 성취?흥미도 비교조사 연구. 2008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교육정책연구 최종보고서 

  9. Assor, A., Kaplan, H., & Roth, G. (2002). Choice is good, but relevance is excellent: Autonomy-enhancing and suppressing teacher behaviors predicting students' engagement in schoolwork.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2(2), 261-278 

  10. Deci, E., Vallerand, R., Pelletier, L., & Ryan, R. (1991).Motivation and education: The self-determination perspective. Educational Psychologist, 26(3 & 4), 325-346. 

  11. Gagne、, M. (2009). A model of knowledge-sharing motivation. Human Resource Management, 48(4), 571-589. 

  12. Guthrie, J., McRae, A., & Klauda, S. (2007). Contributions of concept-oriented reading instruction to knowledge about interventions for motivations in reading. Educational Psychologist, 42(4), 237-250 

  13. OECD (2002). Reading for change: Performance and engagement across countries - results from PISA 2000. OECD: Paris. 

  14. OECD (2009). PISA 2009 assessment framework: Key competencies in reading, mathematics and science. www.oedc.org/ dataoecd/11/40/44455820.pdf 

  15. Reeve, J., Jang, H., Carrell, D., Jeon, S., & Barch, J. (2004). Enhancing students'engagement by increasing teachers' autonomy support. Motivation and Emotion, 28(2), 147-169. 

  16. Schiefele, U., Schaffner, E., M ller, J., & Wigfield, A. (2012). Dimensions of reading motivation and their relation to reading behavior and competence. Reading Research Quarterly, 47(4), 427-463. 

  17. Vansteenkiste, M., Lens, W., & Deci, E. (2006). Intrinsic versus extrinsic goal contents in self-determination theory: Another look at the quality of academic motiva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41(1), 19-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