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ISA 2015 과학 영역에 나타난 학생 성취수준 집단 및 성별에 따른 교육맥락 변인의 특성 및 영향력 분석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contextual variables in terms of student achievement levels and gender based on the results of PISA 2015 science domain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2 no.2, 2018년, pp.165 - 181  

구자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구남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PISA 2015의 과학 영역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학생의 성취수준 집단 및 성별 집단에 따른 다양한 교육맥락 변인의 특성과 학생들의 성취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PISA 2015는 과학이 주영역이었기 때문에 과학 영역과 관련된 교수 학습 변인 및 정의적 특성 관련 변인들이 다수 포함되었다. 다집단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서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수업 환경, 교사의 피드백 등과 같은 교수 학습 특성은 과학 교과의 정의적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의적 특성을 매개로 과학 성취에도 간접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교사의 지지와 맞춤식 수업 등의 교수 방법은 성취수준이 낮은 집단의 정의적 특성향상에 상대적으로 효과가 있었다. 또한 성취수준 집단 간에는 차이가 나타났으나, 성별 집단에서는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성취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적절한 교수 학습 환경과 전략을 제공하는 것에 대해 지속적으로 강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우리나라 교육 개선을 위한 시사점과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는 방안이 논의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various educational contextual variables according to students' achievement level and gender groups based on the results of PISA 2015 science domain. PISA 2015 included additional variables about teaching-learning and affective ch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Figure 2에서 지표로 산출되는 교육맥락 변인들에 대해서는 0에 해당하는 선을 강조하여 표시하였다. 그 이유는 지표로 정의되는 교육맥락 변인의 OECD 평균값은 0이기 때문에, 그림을 보고 OECD 평균과 우리나라에 해당하는 지표 값을 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하여, 우리나라 학생들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고자 함이다.
  • 본 연구에서는 PISA 2015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 성취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성취수준 및 성별에 따른 다양한 교육맥락변인의 차이 및 경향성을 비교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서 과학관련 교수·학습 변인과 학생들의 정의적 성취특성, 그리고 인지적 성취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파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PISA 2015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 성취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성취수준 및 성별에 따른 다양한 교육맥락변인의 차이 및 경향성을 비교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서 과학관련 교수·학습 변인과 학생들의 정의적 성취특성, 그리고 인지적 성취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PISA에서 수집하는 다양한 교육맥락변인이 성취수준 및 성별 집단의 특성에 따라서 어떻게 다른지 알아내고 이러한 차이점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과학교육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얻은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하는 연구 문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ISA란 무엇인가? 2016년 12월 OECD가 주관하는 국제학업성취도 PISA 2015의 결과가 발표되었다. 2000년에 시작되어 3년을 주기로 시행되는 PISA는 각국의 15세 학생을 대상으로 학생들이 미래 사회 시민에게 필요한 능력을 갖추었는지를 확인하는 역량 중심의 평가이다. PISA는 인지적 영역에서 읽기, 수학, 과학의 3가지 핵심 소양을 측정하지만 추가로 국제사회가 요구하는 여러 종류의 미래 역량을 주기마다 다르게 선정하여 혁신 평가 영역으로 측정하고 있다.
PISA의 평가 영역은 무엇인가? 2000년에 시작되어 3년을 주기로 시행되는 PISA는 각국의 15세 학생을 대상으로 학생들이 미래 사회 시민에게 필요한 능력을 갖추었는지를 확인하는 역량 중심의 평가이다. PISA는 인지적 영역에서 읽기, 수학, 과학의 3가지 핵심 소양을 측정하지만 추가로 국제사회가 요구하는 여러 종류의 미래 역량을 주기마다 다르게 선정하여 혁신 평가 영역으로 측정하고 있다. 한편, 본 연구의 대상인 PISA 2015의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PISA 2006 이후 9년 만에 과학을 주영역으로 시행한 평가이므로 학생설문에서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교수‧학습 관련 설문을 다수 포함하고 있어 과학 교육에 큰 시사점을 줄 수 있으며 둘째,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력, 협업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혁신적 평가 영역으로 도입하였고, 셋째, 디지털 시대의 매체 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기존 지필평가 방식에서 벗어나 전 영역의 시험을 컴퓨터 기반 평가 방식으로 시행하였다.
2016년에 OECD 국제본부에서 발표한 결과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하는가? 다만 2016년에 OECD 국제본부에서 발표한 결과는 각국의 학생들에 대한 성취 결과를 기술 통계적 방법으로 제시한 것이어서 학생들의 성취 특성을 보다 다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PISA 2015를 통해 얻은 다양한 자료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우리나라 학생들의 성취 특성과 다양한 교육맥락 변인들이 학생들의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과학이 주영역인 PISA 2015에서 과학 영역에서의 교수‧학습과 관련된 정의적 특성 변인들인 과학수업 분위기, 학생들에 대한 과학 교사의 지지, 교사가 선택하고 있는 과학 수업 모형, 피드백, 학생 맞춤형 수업 등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가 설문을 통해서 수집되었고 이를 과학 성취도와 관련지어 심층적으로 분석할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6). Direction and strategy of mid- and long-term education policy in response to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Sejong: Author. (Releases 2016.12.23). 

  2. Ku, J., Kim, S., Rim, H., Park, H., & Han, J. (2015). Comparative analysis on the achievement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educational contextual variables in high-ranking countries of PISA 2012 results (Research Report RRE 2015-6-1). Seoul: KICE. 

  3. Ku, J., Kim, S., Lee, H., Cho, S., & Park, H. (2016). OECD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s assessment: An analysis of PISA 2015 results. (Research Report RRE 2016-2-2). Seoul: KICE. 

  4. Ku, J., Cho, S., Lee, S., Park, H., & Koo, N. (2017). OECD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s assessment: An in-depth analysis of PISA 2015 results. (Research Report RRE 2017-9). Seoul: KICE. 

  5. Kwaug, S., & Rhee, K. (2009).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teachers' teaching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 Education Review, 29, 35-60. 

  6. Lee, E., & Choi, E. (2015). An analysis on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Korean academic achievem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50(2), 270-307. 

  7. Li, H. (2016). How is formative assessment related to students' reading achievement? findings from PISA 2009. Assessment in Education: Principles, Policy & Practice, 23(4), 473-494. 

  8.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016). PISA 2015 results (Volume I).: Excellence and Equity in Education. Paris, France: Author. 

  9. Ro, K., & Choi, S., (2000), PISA 2000 Initial Report: A Literacy Profile of Korean Students. (Research Report RRE 2001-9-1). Seoul: KICE. 

  10. Seo, H. (2011). Girls left behind in science gifted education: Gender differences in science affective domains among top 10% high achievers in PISA 2006.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1(1), 123-139. 

  11. Sohn, W. (2008). Multi-level Factors Influencing the Affective Domain of Korean Students: Results from PISA 2006.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1(4), 80-1-105. 

  12. Song, M., Kim, S., Ku, J. Rim, H, Park, H., Han, J., Son, S., & Yang, S. (2014). Analysis of Korean students' characteristics based on gender & achievement levels in PISA 2012. (Research Report RRE 2014-4-1). Seoul: KICE. 

  13. Stoet, G., & Geary, D. C. (2013). Sex differences in mathematics and reading achievement are inversely related: Within-and across-nation assessment of 10 years of PISA data. PLOS ONE, 8(3): e57988. doi: 10.1371/journal.pone.0057988. 

  14. Yum, S., & Kang, D. (2011). Influence of curricular context factors within studentand school-levels on the 2006 PISA science achievements of Korean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15(2), 284-30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